사실 단수·복수의 수를 일치시키지 못하는 실수는 원어민들도 종종 저지른다.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미국인 강사들도 예외가 아니다. 그래서 단수·복수, 주어-동사-수의 일치는 토익 같은 영어시험에 매번 출제되는 것이다. 이 기회에 수의 일치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정리해두자.
▲단수, 복수 대명사의 일치
The twins spend all their time together. (their 자리에 its나 his를 쓰면 틀린다.)
I must admit the plan does have its merits.(O)
▲부사구는 주어 동사의 일치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together with, as well as, along with, in addition to, accompanied by, among은 수의 일치를 생각할 때는 무시하라.
George, together with his friends, is buying a Rolls-Royce.
▲or로 연결되는 주어구, not only…but also, neither…nor, not…but으로 연결되는 주어구는 보통 동사에 가까운 명사에 수를 일치시킨다.
Either Monday or Friday is OK.
Either my sister or the neighbors are looking after the baby.
▲수량 단위를 나타내는 주어(구)는 단수 취급을 한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시간, 거리, 수량의 개념은 그 전체의 양을 한 개념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Ten miles is too far to walk.
Thirty dollars is a reasonable price.
▲and로 연결되는 주어구는 복수 취급을 한다.
Both the management and the union are not content with the agreement.
Jane and Jamie go sailing at weekends.
▲그러나 and로 연결된 주어가 하나의 단일한 개념을 나타낼 때는 단수 취급을 한다.
Bread and butter was all we had.(버터 바른 빵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전부다.)
▲‘There + be + 주어’ 구문은 당연히 be동사 다음에 나오는 주어에 그 수를 일치시킨다.
There were several fights outside the stadium but no one was hurt.
There is no special way of doing it you just try your best.
▲each, every, the number of는 단수 취급을 한다.
Every pupil has to take a test. Each day was the same as the one before.
The number of letters we receive is increasing.
cf. A large number of letters were received.(a number of는 복수 취급을 한다)
▲‘many a…’ ‘more than one…’은 의미상 복수 개념이지만, 단수 취급을 하니 주의해야 한다.
More than one member has protested against the proposal.
Many a member has protested against the proposal.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