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태근 고령군수의 대가야 르네상스 플랜

“국내외 관광객 2000만명 찾는 국제문화관광특구 만들겠다”

이태근 고령군수의 대가야 르네상스 플랜

1/5
  • ● 10년 동안 지방세수, 총예산 규모 3배 증가
  • ● 딸기, 멜론, 수박 등 명품 농산물로 고소득 농가비율 전국 3위
  • ● 대가야교육원으로 교육경쟁력 확보
  • ● 잊힌 역사 대가야를 국가적 문화관광자원으로 복원
  • ● 대기업 유치 산업단지 조성, 은퇴자를 위한 전원도시 개발
이태근 고령군수의 대가야 르네상스 플랜
대구, 경남과 인접한 경북 고령군은 인구 3만5000명이 채 안 되는 작은 고장이다. 광역자치단체를 제외한 전국 158개 시·군 중에서 138번째로 적은 규모다. 면적도 384㎢로 전국 86개 군 중에서 5번째로 작다. 대기업은커녕 변변한 산업단지조차 없고, 넓은 평야나 대규모 목장도 없다. 그런데 2008년 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이 발표한 고령의 지역경쟁력은 전국 18위다.

처음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다. 1960년대 9만여 명에 달했던 인구가 1990년대 말 3만6000여 명으로 줄고, 이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20%에 달할 만큼 고령은 오랫동안 쇠락한 농촌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말부터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지방세수가 1999년 100억원에서 2010년 290여억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고, 예산규모도 630억원에서 2034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다. 군 전체가 활발하게 꿈틀거리고 있다는 증거다. 이 지역이 10년여 만에 남부럽지 않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된 비결은 뭘까, 궁금증을 안고 고령을 찾았다.

경북 내륙지역이라 교통이 불편한 오지일 것이란 선입관과 달리 서울톨게이트를 통과한 지 3시간여 만에 고령IC를 빠져나올 수 있었다. 전국 어디에서나 3시간대면 접근이 가능하다는 군청 직원의 말은 과장이 아니었다. 남북을 잇는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동서를 관통하는 88고속도로가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百年大計 다질 SOC구축

“고등학교 1학년 때 이곳으로 이사 왔어요. 전 대구에서 학교를 다녔기 때문에 여름방학이 되어서야 처음 집에 왔는데 하필 홍수로 다리가 잠겨 온종일 물이 빠지길 기다렸다 집에 갔지요. 겨울방학 땐 폭설로 버스가 다니질 못했고요. 뭐 이런 오지가 있나, 이런 곳에서 어떻게 사나 싶었습니다.”



“도로가 잘 되어 있다”는 기자의 말에 이태근(63) 고령군수는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고령 토박이가 아닌 이웃 성주 출신이다. 하지만 연고주의가 강한 농촌지역에서 1998년 민선군수로 당선된 뒤 내리 3선을 했다. 이례적인 일이다.

“고등학교 졸업 후 줄곧 고령에서 살았고, 아이들은 다 고령에서 낳았어요. 본적까지 이곳으로 옮겼죠. 그래도 선거 때마다 ‘객지 놈이 군수하려 한다’는 소리가 나오더군요. 그럴 때면 전 ‘능력 있는 용병을 채용해 고령을 발전시키자’고 호소했습니다, 허허.”

지난해 영남일보에서 실시한 대구·경북지역 지자체장에 대한 지역민 평가에서 그는 1등을 했다. 같은 해 전국지역신문협회에서 지역발전에 공로가 큰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수여한 ‘행정대상’도 받았다. 고령군으로서는 용병을 성공적으로 고용한 셈이다.

“고령에 터 잡고 살면서 어떻게 하면 낙후된 이곳을 잘살게 할 수 있을까 생각했어요. 고령은 사실 인구가 늘어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일자리, 교육여건은 물론 상하수도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는데 누가 이사를 오겠습니까.”

그는 군수로 당선된 뒤 ‘고령의 100년 초석을 다진다’는 마음으로 사회간접자본(SOC) 구축에 총력을 기울였다.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를 확충하고 도시계획을 정비했다. 35%에 머물던 상하수도 보급률을 85%로 높이고, 고령읍에는 도시가스를 공급했다. 노인이 많은 지역 특성에 맞게 호스피스 제도와 의료시설도 확충했다.

1/5
최호열│동아일보 전략기획팀 기자 honeypapa@donga.com│
목록 닫기

이태근 고령군수의 대가야 르네상스 플랜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