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다. 1960년대 9만여 명에 달했던 인구가 1990년대 말 3만6000여 명으로 줄고, 이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20%에 달할 만큼 고령은 오랫동안 쇠락한 농촌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말부터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지방세수가 1999년 100억원에서 2010년 290여억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고, 예산규모도 630억원에서 2034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다. 군 전체가 활발하게 꿈틀거리고 있다는 증거다. 이 지역이 10년여 만에 남부럽지 않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된 비결은 뭘까, 궁금증을 안고 고령을 찾았다.
경북 내륙지역이라 교통이 불편한 오지일 것이란 선입관과 달리 서울톨게이트를 통과한 지 3시간여 만에 고령IC를 빠져나올 수 있었다. 전국 어디에서나 3시간대면 접근이 가능하다는 군청 직원의 말은 과장이 아니었다. 남북을 잇는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동서를 관통하는 88고속도로가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百年大計 다질 SOC구축
“고등학교 1학년 때 이곳으로 이사 왔어요. 전 대구에서 학교를 다녔기 때문에 여름방학이 되어서야 처음 집에 왔는데 하필 홍수로 다리가 잠겨 온종일 물이 빠지길 기다렸다 집에 갔지요. 겨울방학 땐 폭설로 버스가 다니질 못했고요. 뭐 이런 오지가 있나, 이런 곳에서 어떻게 사나 싶었습니다.”
“도로가 잘 되어 있다”는 기자의 말에 이태근(63) 고령군수는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고령 토박이가 아닌 이웃 성주 출신이다. 하지만 연고주의가 강한 농촌지역에서 1998년 민선군수로 당선된 뒤 내리 3선을 했다. 이례적인 일이다.
“고등학교 졸업 후 줄곧 고령에서 살았고, 아이들은 다 고령에서 낳았어요. 본적까지 이곳으로 옮겼죠. 그래도 선거 때마다 ‘객지 놈이 군수하려 한다’는 소리가 나오더군요. 그럴 때면 전 ‘능력 있는 용병을 채용해 고령을 발전시키자’고 호소했습니다, 허허.”
지난해 영남일보에서 실시한 대구·경북지역 지자체장에 대한 지역민 평가에서 그는 1등을 했다. 같은 해 전국지역신문협회에서 지역발전에 공로가 큰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수여한 ‘행정대상’도 받았다. 고령군으로서는 용병을 성공적으로 고용한 셈이다.
“고령에 터 잡고 살면서 어떻게 하면 낙후된 이곳을 잘살게 할 수 있을까 생각했어요. 고령은 사실 인구가 늘어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일자리, 교육여건은 물론 상하수도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는데 누가 이사를 오겠습니까.”
그는 군수로 당선된 뒤 ‘고령의 100년 초석을 다진다’는 마음으로 사회간접자본(SOC) 구축에 총력을 기울였다.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를 확충하고 도시계획을 정비했다. 35%에 머물던 상하수도 보급률을 85%로 높이고, 고령읍에는 도시가스를 공급했다. 노인이 많은 지역 특성에 맞게 호스피스 제도와 의료시설도 확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