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7년 6·10국민대회가 열리고 있는 신촌로터리. 6·10항쟁은 386세대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 용어는 탄생 당시부터 정치적인 색깔을 띨 수밖에 없었다. 이 용어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 1987년 양김(兩金)의 대통령후보 단일화 실패로 ‘군정 종식’과 ‘수평적 정권 교체’라는 우리 사회의 민주화 요구가 좌절된 직후였다. 그럼에도 국민들은 민주주의에 대한 확신을 버리지 않았다. 바로 그 중심에 당시 대학을 갓 졸업하고 사회로 진출하던 386세대가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민주주의를 위해 광범위하게 저항한 최초의 세대였다. 비록 내부적으로 저항의 이데올로기와 동기는 달랐지만, 이들은 사회 참여의 범위와 속도에서 이전 세대와는 확연한 차이를 드러냈다. 그러니까 이들 세대 내부에서는 자부심을 담아, 그리고 선배 세대는 기대감을 담아 386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퍼뜨렸던 것이다.
그런데 이 용어가 386세대의 사회 참여가 본격화됨에 따라 점차 빛을 잃고 있다. 여기에는 ‘국민의 정부’의 출범이 한몫했다. 그 이전부터 386세대의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 진출이 잇달았지만, 국민의 정부 출범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개화(開花)하는 양상이었다. 수평적 정권 교체를 통한 민주주의 형식의 완성으로 이들 세대의 현실 참여를 가로막거나 주저하게 할 요소가 완전히 사라졌던 것이다.
여기에 국민의 정부는 386세대 내의 스타들을 ‘젊은 피’라는 명분으로 대거 수혈했다. 뒤이은 벤처 붐 당시 벤처 기업의 주역으로 등장한 이들도 386세대였다. 주류 기성세대에 본격적으로 편입하기 시작한 세대에게 자부심과 기대감을 상징하는 이 용어는 어딘가 모르게 잘 어울리지 않게 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참여 정부의 출범과 함께 점차 잊혀져가던 386이라는 용어가 부활했다는 점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386세대가 이 정부의 주역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사실 관계와는 무관하게, 상당수 국민들은 실제로 그렇게 믿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 자신이 정신적으로는 386세대의 일원이라거나, 참여정부의 실세는 386이라는 말들이 떠도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이번 세미나를 위해 실시한 ‘386세대 의식 조사’에서도 이 점은 분명히 드러났다.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여론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1%가 386세대가 참여정부의 정책과 인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영향력이 절대적이라고 보는 응답자도 18.3%나 됐다. 386세대에 비해 그 이전세대일수록, 그리고 한나라당 지지자일수록 386세대의 영향력을 더욱 크게 느낀다는 사실이 자못 흥미롭다( 참조).
그렇다고 386세대에 대해 부정적인 것도 아니다. 호의도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84.9%에 달하는 절대 다수가 386세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정적인 답은 15%에 불과했다.
세대별로 보면 386세대와 그 이후 세대에 비해 이전 세대, 즉 40∼50대 이상 나이 먹은 세대의 호의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부정적이라는 답은 21.7%에 그쳤다. 또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한나라당 지지자들 중에서도 긍정적이라는 응답자가 76%를 웃돌았다. 반면 부정적인 응답자는 24.3%였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