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황호택 기자가 만난 사람

무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윤석화

“내용 좋은데 흥행 안 된 작품? 그건 ‘마스터베이션’이죠”

  • 글: 황호택 동아일보 논설위원 hthwang@donga.com

무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윤석화

1/9
  • ● 연극 ‘위트’의 대박 요인은 ‘배우 윤석화의 힘’
  • ● 연극은 내 삶의 구도(求道)…모든 것을 연극에서 배웠다
  • ● 잊을 수 없는 작품? ‘목소리’ ‘딸에게 보내는 편지’ ‘덕혜옹주’
  • ● 예술가에겐 어느 정도 ‘자뻑’이 필요
  • ● 만날 트렌디한 아이돌 스타에 환호하는 우리 문화 답답
  • ● “윤석화는 관객의 영혼 치유하는 외로운 광대”
무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윤석화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는 한국 연극의 메카다. 가난한 연극쟁이와 연극을 사랑하는 관객이 어깨를 부딪히며 서로의 숨소리를 확인하는 거리다. 방송통신대학을 중심으로 어느 골목에 들어서든지 소극장 간판이 여기저기 눈에 띈다.

설치극장 ‘정미소’ 건물에 앙코르 공연을 알리는 ‘위트’의 현수막이 펄럭이고 있었다. 극장 정미소(精美所)는 쌀 방앗간 정미소(精米所)와 가운데 ‘미’자의 한자(漢字)가 다르다. 방앗간 정미소가 육신의 양식인 쌀을 도정하는 곳이라면, 정미(美)소는 정신의 양식인 예술을 창조하는 공간이다.

작명자 윤석화(尹石花·49)의 해석이 그럴 듯하지만 척박한 연극계와 사양길에 들어선 시골 정미소가 오버랩 되는 느낌은 어쩔 수 없다. 지금 농촌에 가도 발동기가 통통거리는 정미소는 찾아보기 어렵다.

봄바람에 나부끼는 현수막 속의 윤석화는 삭발이다. 난소암에 걸린 대학교수 역을 하느라 머리를 잘랐다. 17세기 영시를 전공한 영문학자 비비안 베어링 교수는 연극 공연 2시간 동안 죽어간다. 두 시간짜리 모래시계다.

정미소 건물 4층에 공연전문 월간지 ‘객석’의 사무실이 있다. ‘객석’은 창간 20년을 넘기는 동안 주인이 몇 차례 바뀌었다. 우리나라 유일의 이 공연전문지는 ‘가난한 예술’을 다루는 ‘활자매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정미소(精美所)’의 여주인

‘객석’ 도서실에서 만난 윤석화는 피곤해 보였다. 윤씨는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1805∼75) 탄생 200주년 홍보대사로 덴마크에 갔다가 전날 돌아왔다고 했다. 그는 “여독이 덜 풀려 어젯밤 1분도 못 잤어요”라고 했다.

그는 가발을 쓰고 있었다. 가발을 벗은 무대 위의 모습이 더 귀엽다는 생각이 든다. 앙코르 공연 때는 다시 가발을 벗어던지고 열정 어린 목소리로 17세기 영국 시인 존 던(John Donne)의 시를 낭송할 것이다.

덴마크가 임명한 안데르센 홍보대사는 500명 가량. 중국 출신 농구 스타 야오밍, 칠레 작가 이사벨 아옌데, 영국 배우 로저 무어, 덴마크의 라우렌티엔 공주 같은 세계 각국의 명사들이다. 한국에서는 윤씨와 이명박 서울시장이 영예를 안았다.

“안데르센 탄생 200주년 전야제 퍼포먼스 ‘당나귀와 캐비지 숲’은 음악, 무대장치, 의상, 발레가 총동원된 종합예술이었죠. 코펜하겐 로열 시어터에서 공연이 끝난 뒤엔 왕궁에서 새벽 1시30분까지 만찬이 있었습니다.

4월1일 아침에는 덴마크 국립교향악단과 동화 읽기 리허설을 했어요. 6월3일 그들이 우리나라에 옵니다. 안데르센이 태어난 4월2일에는 작가의 고향인 오덴세에서 각 부문에 상을 주는 행사가 있었죠. 시상식 뒤에는 생가와 박물관을 방문했습니다.

안데르센의 표기는 ‘앤더슨’으로 정정해야 합니다. 덴마크 발음이 앤더슨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안데르센으로 쓰고 있어요. 일본 글자로 앤더슨 발음을 못 적으니까 안데르센으로 적기 시작한 것 같아요. 식민지 잔재죠.

전야제 공연에서는 세계적인 소프라노 르네 플레밍, 영국 배우 로저 무어가 나와 안데르센 이야기를 했습니다. 팝 가수 티나 터너, 올리비아 뉴튼 존이 노래를 했죠. 중국 선양(瀋陽) 서커스 공연도 있었습니다. 안데르센의 초기 작품 ‘나이팅게일’의 무대가 중국이거든요.”

서울 강남의 우림 청담 씨어터에서 공연한 ‘위트’는 PMC프로덕션이 기획한 여배우 시리즈물이다. 여배우 시리즈는 윤석화를 첫 주자로 내세워 순조로운 출발을 했다. 6주 동안 2억8000여 만원의 티켓 판매고를 올렸다. 그만하면 소극장(280석) 공연으론 성공이다.

-언론에선 윤석화의 브랜드 파워라고 분석하던데요.

“브랜드 파워라는 말을 쓰고 싶지 않습니다. 일시적인 마케팅으로 생기는 허상의 브랜드 파워도 있으니까요. ‘연극배우 윤석화의 힘’이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싶습니다. 그만큼 최선을 다했습니다. 작품을 고르는 데도 1년 이상 고민했습니다.

30년 동안 연극을 하면서도 늘 ‘이번에 실패하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이 있습니다. 이름을 얻고 사랑을 받은 만큼 무대를 떠날 때도 달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관객이 더는 원치 않을 때 저는 스타답게 떠나야 해요. 그래서 매번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1/9
글: 황호택 동아일보 논설위원 hthwang@donga.com
연재

황호택기자가 만난 사람

더보기
목록 닫기

무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윤석화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