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8월호

산부인과 전문의 박금자 들깨수제비

‘1인5역’ 원기 북돋는 고소한 유혹

  • 글·엄상현 기자 gangpen@donga.com / 사진·김용해 부국장 sun@donga.com

    입력2005-08-16 18:1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들깨의 놀라운 효능은 이미 잘 알려진 터. 백발 노인이 들깨를 계속 먹었더니 머리칼이 검게 변했다는 이야기는 전설이 아닌 실화다. 들깨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당뇨 등 성인병에도 좋고, 여름철 허약해진 체력보강에도 그만이다. 그 들깨가 쫄깃쫄깃 오동통한 수제비를 만났다.
    산부인과 전문의  박금자 들깨수제비
    박금자 산부인과 박금자(朴錦子·52) 원장은 오십 나이에도 여전히 곱다. 그는 의사이자 병원장, 시민사회 운동가, 그리고 아내이자 두 자녀의 엄마로 1인5역을 해왔다. 한때는 비정한 정치권에도 발을 담갔다. 2004년 총선에 출마했다가 낙선하는 아픔도 겪었다. 그런데 겉모습만 봐서는 그다지 고생한 흔적을 찾기 어렵다. 뭔가 특별한 비결이 있는 걸까.

    박 원장은 어린 시절 스스로 진로를 선택했다. 의사의 길을 인생의 목표로 정한 것은 고교 1학년 때다. 거창하게 노벨의학상을 꿈꿨다. 부모는 “의사는 너무 힘들어서 여자가 하기는 어렵다”며 만류했지만, 박 원장은 뜻을 꺾지 않고 부모를 설득했다.

    박 원장은 의대를 졸업하고 전공의 과정을 마친 후 연세대 의대 산부인과 강사이자 세브란스 병원 전문의로 일했다. 그때 또 한 번 힘겨운 선택을 한다. 어느 날 병원으로 한 임신부가 긴급하게 실려왔다. 뱃속의 아이는 이미 숨을 거둔 뒤였다. 문제는 죽은 태아의 몸무게가 4kg에 달할 정도로 커서 제왕절개수술을 해야 했던 것. 사산(死産)을 하려고 산모의 배에 칼을 댄다는 것이 못내 박 원장의 마음에 걸렸다.

    그 순간 박 원장의 뇌리에 오래 전 의학책에서 본 구식 수술방식이 떠올랐다. 다소 위험이 따르지만 전통방식인 ‘수술적 분만방식’을 시도할 만하다고 판단했다. 주변의 만류에도 박 원장은 이를 시도했고, 결국 개복 수술 없이 사산아를 산모의 몸에서 빼내는 데 성공했다. 이 사실을 전해들은 교수들은 “정말 용감하다”고 박 원장을 극찬했다. 이때 박 원장이 깨달은 게 있다.

    산부인과 전문의  박금자 들깨수제비

    박금자 원장이 2004년 총선에 뛰어들었을 때 물심양면으로 도와줬던 선·후배가 모처럼 한자리에 모였다. 왼쪽부터 의학박사 송유봉, 방송인 이숙영, 하우스레서피 Tea & Cake 권혁란 대표, 박 원장.

    “의료업에 종사하다보면 새로운 시도를 한다는 게 참 쉽지 않아요. 환자의 생명이 걸렸기 때문이죠. 하지만 진정 환자를 위한다면 콜럼버스와 같은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어요.”



    하지만 모든 일이 용기만으로 되는 건 아니다. 박 원장은 산부인과를 운영하면서 여성 문제에 대해 조금씩 눈뜨기 시작했고, 자연스레 시민운동에 나섰다. 1995년에는 한국성폭력연구소 대표를 맡았다. 시민운동의 현실적 한계는 다시 그를 정치권으로 이끌었다. 박 원장은 2000년 총선을 앞둔 1999년 말 비례대표 ‘안정권 공천’을 약속받고 ‘젊은 피 수혈’ 차원에서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했다.

    그러나 정치권은 그에게 커다란 상처를 입혔다. 비례대표 순번 발표를 앞두고 치열한 당내 로비 과정에서 순번이 자꾸만 뒤로 밀린 것. 발표 결과 16대 국회의원 임기 중에는 의원직 승계를 기대하기 어려운 순번이 돌아왔다.

    산부인과 전문의  박금자 들깨수제비

    ‘중년의 수다’. 입담이 센 40~50대 아줌마들의 저녁식사에 초대된 박금자산부인과 박남수 기획실장(맨왼쪽)은 이날 마냥 웃을 수밖에 없었다.

    2003년 12월, 민주당에서 열린우리당이 분당하면서 비로소 비례대표 의원직을 물려받았지만, 남은 임기는 고작 5개월 남짓했다. 그래서 박 원장은 2004년 4월 총선에 과감히 도전장을 냈다. 비례대표가 아닌 지역구 후보로. 그러나 탄핵 역풍에 휘말려 힘없이 떨어지고 말았다.

    “탄핵 후폭풍 탓에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해 아쉽지만 인생에서 정말 큰 경험을 했다. 아무런 후회도 없다”는 게 그의 소회다. 이처럼 담담하게 아픔을 이겨낼 수 있는 배짱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남편? 아니면 가족?

    “저는 항상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살아왔어요. 어떤 식으로든 이 사회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신념이 강합니다. 그게 저를 버티게 하는 것 같아요.”

    박 원장은 어릴 때부터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지 않았다. 수제비는 더욱 싫어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취향을 바꿔놓은 음식이 바로 들깨수제비다. 어느 날 저녁, 한 음식점에서 유황오리와 함께 먹은 들깨수제비가 너무도 맛있어서 주방장에게 특별히 부탁해 요리방법을 알아냈다고 한다. 그때부터 들깨수제비는 박 원장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됐다.

    산부인과 전문의  박금자 들깨수제비

    갓 출산한 여성들에게 산후관리와 신생아를 키울 때 주의해야 할 내용을 설명하는 박금자 원장. 그는 자신이 세운 이 병원에서 여성과 육아문제에 대해 눈을 떴다.

    들깨수제비를 만들려면 먼저 밀가루를 반죽해 냉장고나 선선한 곳에서 하루 정도 숙성시킨다. 그래야 반죽이 부드럽고 쫄깃쫄깃해진다. 국물은 조개, 표고버섯, 다시마로만 낸다. 멸치를 넣으면 깨의 고소한 맛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국물이 끓으면 감자와 호박, 당근을 적당한 크기로 썰어 넣는다. 한소끔 끓인 다음 수제비를 떼어 넣고, 여기에 찬물에 푼 쌀가루를 넣으면 국물이 걸쭉해진다. 그 다음 콩가루와 깻가루를 넣는다. 이때 쌀가루와 콩가루, 깻가루의 비율은 1:1:2 정도가 적당하다. 이렇게 해서 끓이면 깨의 고소한 맛과 콩의 담백한 맛이 어우러져 영양가 높고 맛있는 들깨수제비가 완성된다. 주객이 전도되기 쉽지만 유황오리와 궁합이 딱 맞는다. 한여름 보양식으로 제격이다.

    정치인에서 의료인으로 돌아온 그는 요즘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면서 재충전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지난 2004년 말, 한 해를 보내며 자신이 운영하는 병원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박 원장은 정치권에 대한 재도전의 의지를 강하게 시사했다.

    “열정과 뜨거운 마음으로 지내온 20년이었습니다. 또 다른 20년 후의 제 모습은 비쳐 보이질 않습니다. 그것은 제가 그려야 할, 또 책임져야 할 몫이라고 믿습니다. 성숙한 의사로서, 중년 여성의 원숙함과 어머니의 강인함으로 주민에게 받은 사랑을 되돌려 드리겠다는 꿈을 그리겠습니다. 저의 의지를, 저의 희망을 다시 굳건히 세우고자 합니다. 건강한 나라를 위해.”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