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박근혜·이명박의 복심(腹心), 유승민 vs 정두언

유(劉) “이명박은 정계개편 계략에 말려들지 말라”
정(鄭) “박근혜 경선 불참 가능성이 더 걱정”

  • 이동훈 한국일보 정치부 기자 dhl3457@naver.com

박근혜·이명박의 복심(腹心), 유승민 vs 정두언

1/5
  •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요즘 말을 아낀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정책 투어에 나섰다. 둘 다 대선 정국의 중심에서 한 발 비켜서 있다. 그들의 핵심 측근인 유승민, 정두언 의원을 통해 두 대선주자의 속내를 읽어봤다.
박근혜·이명박의 복심(腹心), 유승민 vs 정두언
한나라당 유승민(劉承旼) 정두언(鄭斗彦) 의원은 여러모로 닮았다. 우선 연배가 비슷하다. 정 의원은 1957년생, 유 의원은 1958년생이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서울대 경제학과(유 의원)와 무역학과(정 의원)를 다녔다. 정치 입문의 시기와 계기도 유사하다.

정 의원은 행정고시에 합격, 19년간 국무총리실에서 근무했다. 고위 공무원 같지 않은 끼와 튀는 행보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유 의원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성가(聲價)가 높던 경제전문가였다. 김대중 정부의 경제정책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다 DJ 정권의 견제 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이들은 약속이나 한 듯 2000년 정치판에 발을 담근다. 정 의원은 4·15 총선 때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서울 서대문구에 출마했고, 유 의원은 한나라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장을 맡았다. 두 사람 모두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로 말미암아 정계에 입문했다.

두 사람은 퍽 친하다. 17대 국회에서 친한 의원을 대보라면 서로의 이름을 들 정도다. “이 전 총재를 함께 모시면서 죽이 잘 맞았다”고 한다. 서로 인정하는 사이라고 했다.

대나무가 두 쪽 나듯…



최근엔 닮은 점이 한 가지 더 늘었다. 여론조사에서 1~3위권을 형성하는 유력 대선주자의 대표적 핵심 측근 의원이 됐다는 점이다. 유 의원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원내 브레인으로 통한다. 정 의원은 이명박 전 시장에 의해 서울시 정무부시장에 발탁된 바 있는 ‘이명박계 정책통’의 대명사다. ‘이회창 대통령 만들기’라는 공통의 신념으로 뭉쳤던 두 책사(策士)가 2007년 대선을 앞두고는 대나무가 두 쪽 나듯 갈라져 상대를 향해 서로 창을 겨누는 모양새다.

유 의원에 대해 정두언 의원은 이렇게 평했다.

“승민이는 자기 장사를 안 한다. 경우에 어긋난 일도 절대 하지 않는다. 누구에게든 충성하면, 확실하게 한다. 우리끼리는 실력 있다는 것 서로 인정한다.”

이번에는 정 의원에 대한 유승민 의원의 평가다.

“이회창 캠프에 어중이떠중이들이 몰렸다. 순수한 뜻을 가지고 온 사람이 몇이나 됐겠나. 하지만 정 의원은 돋보였다. ‘저 친구는 진심이다’는 생각이 들 만큼 사심 없이 일하더라.”

‘이회창’이라는 한뿌리를 가진 데다 사적으로, 업무적으로 동지였던 두 사람은 왜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됐을까. 그리고 이들의 선택 중 어느 쪽이 더 옳은 것일까.

2001년 11월 교통사고를 당해 병원 신세를 지고 있던 정두언 당시 서울 서대문을 지구당 위원장을 이명박 의원이 방문한다. 단순한 문병은 아니었다. 이 의원은 다음해 서울시장선거 출마를 준비하고 있었다. 이 의원은 한 시간 동안이나 병실에 앉아 정 위원장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눴다. 이명박 의원은 다음해 1월 정 위원장에게 “나 서울시장 나가는데 좀 도와주라”며 정식으로 손을 내밀었다. 이 시장이 자신을 참모로 낙점한 이유에 대해 정 의원은 이렇게 해석한다.

1/5
이동훈 한국일보 정치부 기자 dhl3457@naver.com
목록 닫기

박근혜·이명박의 복심(腹心), 유승민 vs 정두언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