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肝의 달’ 특별부록

B형·C형 간염 치료의 대안, 차세대 인터페론

  • 최영철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ftdog@donga.com

B형·C형 간염 치료의 대안, 차세대 인터페론

2/2
B형·C형 간염 치료의 대안, 차세대 인터페론

C형 간염 치료제로 개발된 로슈사의 페가시스 주사제.

B형 간염 e항원 음성 환자(48주 치료 후 24주 경과)의 간수치(ALT) 정상화율은 페가시스 단독 치료군 59%, 라미부딘 치료군은 44%였다. 또한 B형 간염 DNA 반응 면에서도 페가시스 단독 치료군이 더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NICE)이 B형 간염의 1차 치료제로 페가시스를 인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B형 간염보다 환자 수는 턱없이 적지만 간과할 수 없는 질환이 또 있다. C형 간염이 바로 그것. C형 간염은 주로 환자의 혈액을 통해서 전염되며, 혈액투석, 문신, 귀를 뚫는 행위, 비위생적인 침술 행위, 칫솔질 등으로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C형 간염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약 50%가 수혈이나 침 등을 맞은 병력이 없는 점으로 미뤄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다른 중요한 전염 경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만성화 경향이 높아 급성 간염의 약 80%가 만성 간 질환을 유발하므로 일단 감염된 것으로 확진되면 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치료의 목적은 간염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감염의 진행을 억제해 간 섬유화나 간 경변으로 가는 것을 막는 것이다. 특히 B형 간염과 달리 C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효과 좋은 치료제 개발이 급선무였다.

C형 간염 치료의 새 장 열다

사실 B형 간염 치료제로 쓰이는 페가시스는 C형 간염 치료의 유일한 치료제이던 인터페론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하지만 페가시스의 등장으로 C형 간염의 치료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된다. 페가시스는 인터페론에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을 부착해 인터페론의 약효 반감기를 길게 한 페그 인터페론(Pegylated interferon) 제제로 로슈사가 개발해 2004년 국내에 처음 발매된 약품이다.



지금껏 만성 C형 간염의 유일한 치료제였던 인터페론은 치료 성공률이 10~15%에 불과했다. 그 후 인터페론 치료에 리바비린(ribavirin)을 병용하면서 치료 성공률(48주 치료)이 31~43%로 높아지긴 했으나, 성공률이 드라마틱하게 높아졌다고는 말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1주일에 3회씩 주사해야 하는 불편함과 약물의 부작용 등이 더해지면서 C형 간염은 일종의 난치병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새롭게 개발된 페가시스는 인터페론에 비해 효과가 높을 뿐 아니라, 주1회 투여로 사용이 간편하고 부작용이 적어 C형 간염 치료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B형과 C형 간염 치료에 모두 승인을 받은 페그 인터페론은 현재 페가시스가 유일한 형편이다.

페가시스의 임상시험에서 페가시스와 리바비린 병용 요법으로 12주간 치료했을 때 항바이러스 반응이 있는 환자(전체 대상자의 86%)는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치료 성공률이 높았다. 이는 치료 개시 후 12주가 되었을 때 페가시스를 이용한 C형 간염 치료의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치료 성공률이 높은 환자에겐 치료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치료 무반응 환자에겐 일찍 치료를 그만두게 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를 줄 수 있게 됐다. 기존 인터페론 치료의 경우는 치료 후 24주가 지나서야 치료의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페가시스는 간수치(ALT)가 정상인 경증의 만성 C형 간염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는 승인을 받은 유일한 페그 인터페론 약품이기도 하다. 경증의 만성 C형 간염에까지 적응증이 확대됨으로써 훨씬 더 많은 환자가 치료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됐으며 간 조직검사를 받지 않고서도 치료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 이는 C형 간염환자들이 치료를 받기까지 불필요하게 낭비했던 시간이 그만큼 단축됐음을 의미한다. 즉 간 손상이 진행되기 전에 치료를 받음으로써 환자의 치료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여러 차례의 임상시험 결과, 페가시스는 치료가 어려운 환자를 포함한 여러 환자군에서도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전자 제2형 또는 3형 C형 간염 환자를 페가시스와 리바비린 800mg 병용요법으로 6개월간 치료하자, 치료 성공률은 84%에 이르렀으며 기존의 리바비린 용량을 800mg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런 모든 임상시험을 마친 환자를 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페가시스-리바비린의 병용 치료를 받은 환자의 99.4%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페가시스에 의한 C형 간염의 치료 효과가 매우 장기간 지속된다는 것을 시사하며 멀지 않은 장래에 C형 간염 완전 정복의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다는 뜻이다.

신동아 2006년 10월호

2/2
최영철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ftdog@donga.com
목록 닫기

B형·C형 간염 치료의 대안, 차세대 인터페론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