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RI 검사 사진. 왼쪽 화살표 부분이 종양이다.
▼ 알코올 또는 홀미움 주입법 초음파검사로 간암을 보면서, 직접 바늘로 간암을 찌르고, 100% 알코올이나 홀미움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알코올은 간암을 녹이고, 홀미움은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간암에 주입된 후 방사선을 방출해 간암을 파괴시킨다. 알코올 주입은 3~4회 시행해야 하나, 홀미움은 1회만 시행하기 때문에 간편하다. 문제는 드물게 홀미움이 혈액으로 유출될 경우 골수 기능이 저하되는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에도 제약은 있다. 우선 초음파 검사에서 간암이 잘 보이는 경우에만 시술할 수 있고, 횡격막 근처의 깊은 부분은 접근이 쉽지 않으며, 간암 주변에 중요한 혈관, 담도, 담낭 등이 있는 경우는 부담이 된다. 또 간암이 간의 표면에 있으면 주입한 물질이 간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으며, 크기가 큰 간암은 시술 후 재발하기 쉬우므로 2cm 이하의 간암에서 주로 시술한다.
간이식 성공률 70∼80%
▼ 고주파 열 치료 및 냉동요법 알코올 주입법과 마찬가지로 바늘로 찔러서 시술한다. 바늘 끝에 고주파를 통하게 한 후 열을 발생시켜 간암을 태우거나, 냉동시켜 치료하는 방법이다. 고주파 열 치료는 통증이 있을 수 있으나 냉동요법은 통증이 거의 없고, 두 방법 모두 바늘로 찔러서 시술하므로 알코올 주입법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현재는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시술비가 수백만원으로 비싸지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간암의 크기가 3cm 이하인 경우에 주로 시행하고 있다.
▼ 간 동맥 화학색전술 정상적인 간은 주로 간 문맥(정맥)이 영양을 공급하지만, 간암은 깨끗한 피를 공급받기 위해 간 동맥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결국 간 동맥이 간암을 먹여 살리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간 혈관 촬영을 통해 간암을 먹여 살리는 간 동맥을 찾아 항암제와 혈관을 막아버리는 색전물질(리피오돌, 기름성분)을 섞어서 주입하고, 마지막으로 간 동맥에 또 다른 색전물질(젤폼)을 주입하는 시술이다. 젤폼은 이미 간암에 주입한 항암제와 리피오돌이 빠져나오지 못하게도 하지만, 자체가 간암을 먹여 살리는 혈관을 막아 간암이 먹고 살지 못하게도 한다. 시술 후 간 부위의 통증, 구토, 발열, 간 기능 이상이 생길 수 있으나 90% 이상은 회복된다.

간동맥 화학색전술
일반적인 치료가 어렵거나 재발하는 간암도 간이식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말기 간경변증도 대상이 된다. 일반적으로 3cm 이하의 간암이 3개 이하인 경우에 시행하는데, 근래에는 더 큰 간암에도 시도하고 있다. 상당히 진행된 간암은 새로 이식된 간에 간암이 재발할 확률이 높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간암을 예방하려면 간암이 생길 위험이 높은 집단에 들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간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B형 간염인 만큼 간염 항체가 없는 사람은 B형 간염 백신을 꼭 맞아야 하며, 특히 어머니가 B형 간염인 경우는 신생아에 대한 예방접종이 필수다. 간암을 조기 발견해 완치한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간경변증이 있는 경우는 간의 다른 부위에 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암 치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검사해야 한다. 검사 결과 다시 간암이 발견되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