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 원자력史 속에서 본 한국 원자력史 - 제1부

원폭 투하 결심한 트루먼, 원자력 이용 천명한 아이젠하워

세계 원자력史 속에서 본 한국 원자력史 - 제1부

1/6
  • 북한의 갑작스러운 단전(斷電)으로 미국으로부터 발전함(發電艦)까지 지원받는 신세이던 한국이 세계 6위의 원전(原電)대국(大國)이 된 요인은 무엇인가. 원폭을 만든 미국은 핵개발 도미노 현상이 일어나자 재빨리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으로 핵정책의 방향을 틀었다. 한국은 이 변화에 편승했다.
세계 원자력史 속에서 본 한국 원자력史 - 제1부

1945년 8월6일 미국의 B-29 폭격기가 우라늄 원자폭탄을 투하한 직후의 일본 히로시마.

1945년 광복이 되었을 때 4년제 대학을 나온 조선인은 205명에 불과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4년제 대학은 일제가 세운 경성제국대학 하나뿐이었는데, 이 대학에는 조선에 와 있던 일본인과 친일 조선인만 입학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성제대와 일본 그리고 구미의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조선인은 매우 드물었다.

광복을 맞은 조선은 미국의 군정(軍政)을 받게 됐다. 한심한 조선 사정을 파악한 미 군정장관 대리 찰스 헬믹 미 육군 소장은 “한국은 자국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훈련을 받은 인력이 없어 높은 생활수준을 누리지 못할 것이다. 미군이 지원을 중단하면 한국 경제는 소달구지가 끄는 수준으로 추락할 것이고 농사를 짓지 않는 900만 한국인(당시 남한 인구)은 굶주림에 직면할 것이다”라고 예언했다.

‘희망 없는 나라’에서 세계 6위의 ‘원전대국’으로

광복 당시 한국(남한)이 갖고 있던 전력 생산시설은 한반도에 설치된 전력 생산 시설의 11.5%에 불과했다. 그런데 광복이 되자 일본과 만주 그리고 중국에 있던 동포들이 돌아오기 시작했다. 북한에서 시작된 공산 독재를 피해 적잖은 사람이 남한으로 넘어왔으므로 한국의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그로 인해 한국의 전력 자급률은 4%대로 떨어졌다.

미군정이 끝나가던 1948년 5월14일, 북한은 한국을 상대로 전력 송출 중단 조치를 취했다. 그로 인해 일순간에 전력 부족 현상이 일어나 곳곳에서 ‘블랙아웃’과 ‘브라운아웃’ 현상이 발생했다. 당황한 미군은 2만㎾급 전기를 생산하는 자코나(Jacona)와 6500㎾급 전기를 생산하는 엘렉트라(Electra) 발전함(發電艦)을 인천항과 부산항에 보내, 전력난에 대처케 했다. 이후 북한은 1950년 6월25일 기습공격을 감행해 한국을 잿더미로 만들어버렸다.



이러한 한국이 불과 반세기 만에 세계적인 산업국가이자 IT(정보기술)산업을 주도하는 나라로 발전한 것은 기적이 아닐 수 없다. 산업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기가 있어야 한다. 풍부한 전기가 있되 값이 싸야 산업체들은 생산비 부담이 적어져 가격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한국의 전기 값은 1982년 이래 거의 변화가 없다. 1982년 1월부터 2005년 12월 사이 물가는 평균 193% 올랐다. 하지만 전기 값은 2.4%밖에 오르지 않았다.

한국의 전기 값이 이렇듯 싼 것은 원자력 발전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 현재 20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는데 이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력이 한국에서 소비하는 전체 전력의 40% 정도이다. 한국 원전에서 생산하는 전기는 다른 발전소, 예를 들면 유연탄 화력발전소나 가스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기보다 가격이 훨씬 더 싸다. 한국은 세계 6위의 원자력발전 대국이기 때문에 전기 값을 낮출 수 있었고 값싼 전기 덕분에 재빨리 정보화 시대로 진입할 수 있었다.

일본은 세계 3위의 원자력발전 대국이다. 일본에서 원자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30% 정도로 한국보다 약간 낮다. 일본의 전기 값은 한국보다 두 배 이상 비싼 편이다.

2004년 기준으로 한국의 kWh당 전기값은 74.58원이고 일본은 165.88원이다.

한국과 일본은 원자력발전 비율을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는데 왜 한국의 전기 값은 일본보다 싼 것일까. 그 비밀은 원전의 ‘무정지(無停止) 운영’에 있다. 한국은 운전 무정지 기간이 가장 긴 나라이다. 원전을 멈춰 세운 일이 적다보니 한국 원전은 그만큼 전기를 많이 생산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전체 전기 값을 낮출 수 있는 요인이다. 한국이 세계 11위의 산업국가로 도약하는 데는 원자력발전이 큰 뒷받침이 되었다.

1/6
이정훈 동아일보 신동아 편집위원 hoon@donga,com
목록 닫기

세계 원자력史 속에서 본 한국 원자력史 - 제1부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