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최고위원은 ‘노무현 대통령 지킴이’를 자처해왔다. 그래서 최근까지 ‘당 사수파’로 분류됐다. 그러나 그는 ‘열린우리당 무조건 지키기’ 식의 근본주의를 지향하지는 않는 듯했다. ‘통합신당’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를 보였다. 다만, ‘도로 특정지역당’이 아닌, ‘제대로 된 통합’이어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동쪽 중진’의 희소성
열린우리당 내 소위 ‘친노계’는 ‘진보적 386 그룹’이 주축을 이룬다. 김 전 최고위원은 중도실용 성향이면서 친노계로부터도 거부감이 없는, 희소성 있는 중진(重鎭)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통합신당파’와 ‘사수파’의 ‘통합’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할 것인지 주목받는 이유다. 정동영, 김근태, 이해찬, 한명숙, 천정배 등 당내 유력 정치인이 ‘서쪽’에 쏠려 있는 점도 상대적으로 김혁규의 존재가치를 부각하는 측면이다.
▼ ‘반드시 열린우리당을 지키겠다’는 자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만.
“나는 ‘열린우리당 해체 불가’를 말한 적이 없어요. 다만, ‘노무현 대통령을 배제하자’는 일부의 주장에 반대했을 뿐입니다. 현재의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지지율이 10% 이하입니다. 수권 정당의 생명력을 잃었어요. 2006년 5·31지방선거 참패는 우리당에는 사형선고나 마찬가지였어요.”
▼ 당 해체를 통한 신당 창당에 어느 정도 뜻을 같이하는 건가요.
“지금의 당명, 당 시스템, 인적 구성으로 도저히 안 될 때는 바꿔야 하지 않겠습니까. 열린우리당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다 압니다. 문제가 있으면 이를 고쳐서 다시 국민적 지지를 받는 정당으로 새로 태어나야 해요. 이런 시도는 당연한 겁니다.”
▼ 한나라당은 여권의 정계개편 추진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는데요.
“정계개편이 반드시 나쁘다고 할 수는 없죠. 어차피 한나라당 1개 정당만으로는 민의(民意)를 모두 국정에 담아낼 수는 없잖아요. 민의를 반영해야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정치세력이 좀 개선해보겠다고 노력하는 건데, 그걸 무조건 반대하는 건 옳지 않다고 봐요. 자기들이 현재의 우리와 같은 처지였어도 아마 신당 창당을 추진할 겁니다. 대신 우리는 ‘대통합신당’을 정치발전의 계기가 되도록 해야겠죠.”
‘대통합신당’. 분명히 ‘통합신당’과는 다른 용어다. 김혁규 전 최고위원은 “향후의 신당은 통합신당이 아닌, 대통합신당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당 비대위와 천정배 의원 등이 추진 중인 통합신당 방식에 무조건 따라가지는 않겠다는 의지가 녹아 있는 듯했다. 또한 이는 “현재 당내 주류가 구상하는 통합신당 구도가 통합의 의미와 다소 동떨어져 있다”는 평가이기도 했다.
“대통합신당 만들자”
▼ 당내 일각에서 추진 중인 통합신당 움직임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합니까.
“그들의 논의 구조를 가만히 보니까, ‘통합신당’이라는 것이 주로 열린우리당 일부 의원과 민주당의 합당을 의미하는 것 같아요. 대통령도 처음에 그렇게 분석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건 ‘도로 민주당’이죠. 열린우리당 창당정신에도 위배되는 ‘퇴행’이에요. 그런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