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종 정신질환 ‘애견사망 증후군’

우울증, 거식증, 알코올 중독, 자살… 겪지 않고는 모르는 ‘죽음보다 깊은 슬픔’

  • 최영철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ftdog@donga.com 이윤진 자유기고가 nestra@naver.com

신종 정신질환 ‘애견사망 증후군’

1/4
  • 가족처럼 기르던 애견을 잃고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은 끝에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식음을 전폐하고 알코올에 의존하는가 하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도 속출한다. 신종 정신질환인 이른바 ‘애견사망 증후군’. 자신의 분신인 애견이 사라진 후 겪는 죽음 같은 슬픔과 상실감의 실체. 그 충격적 사례와 치료법, 대안을 살펴봤다.
신종 정신질환 ‘애견사망 증후군’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맺어주는 연결고리가 약해진 탓일까, 아니면 세상살이가 각박해진 탓일까. 사람보다 애완견과의 관계에서 정신적 안정을 찾는 이가 늘고 있다. 하지만 애완견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깊어질수록 그 존재의 상실로 인한 충격도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지경이 됐다.

애견이 죽자 가족이나 친지의 죽음 이상으로 큰 충격을 받고 좀처럼 슬픔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시적 감정이라고 가볍게 보기 쉽지만 당사자가 겪는 충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들은 “애완견을 제대로 키워보지 않은 사람들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그 고통의 정도를 설명한다.

11월1일, 애완견이 죽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30대 미혼여성 이야기가 신문에 났다. 이 여성은 3년 동안 키우던 개가 병으로 죽자 ‘내 탓’이라며 자책감에 시달리다 공원에서 목을 맸다. 상당수 네티즌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애견인들은 그의 죽음에 남다른 공감과 동정을 표했다. 애견인에게 키우던 개의 질병과 죽음은 자신에게도 그만큼 커다란 상처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언론매체도 그녀의 죽음이 심각한 정신적 장애의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적시하지 못했다.

결혼생활 내내 아이가 생기지 않아 10년째 강아지 ‘예삐’에 의지해 살던 김정화(37)씨. 그녀에겐 밤늦게 들어와 새벽같이 나가는 남편보다 예삐와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았다. 김씨 부부는 서로의 호칭을 ‘예삐 엄마’ ‘예삐 아빠’라고 부를 만큼 애견에게 각별한 애정을 쏟았다. 강아지를 키우게 된 계기가 자신의 불임이었던 만큼 예삐에 대한 그녀의 애정은 각별함 그 이상이었다. 예삐는 멀어져가던 부부 사이를 이어주는 매개자 노릇도 톡톡히 했다.

우울증 → 거식증 → 간경변



그러던 지난 2월 큰일이 터졌다. 산책 중 김씨가 잠시 한눈을 판 사이 예삐가 차에 치여 목숨을 잃고 만 것. 김씨는 그때부터 정서적 이상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화장(火葬)을 하고 남은 예삐의 뼛가루를 화장대 위에 올려놓고는 틈만 나면 만지고 우는가 하면 사람들과의 대화나 만남을 일절 거부한 채 종일 집안에 틀어박혀 예삐의 사진과 장난감, 옷을 끌어안고 눈물을 흘리는 게 일상사가 됐다. 더욱이 대낮에도 술에 취해 있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면서 술 외에 먹은 음식은 모두 토해내는 거식증 증상까지 나타났다. 그녀는 7개월 만에 몸무게가 17kg가량 줄어 현재는 32kg밖에 나가지 않는다. 우울증에 거식증, 알코올 중독까지 겹친 것.

“죽고 싶다”는 말만 되뇌는 김씨를 보다 못한 남편이 그녀를 정신과로 데려갔지만 처방받은 우울증 약은 이렇다 할 치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심한 구역질 증상이 생기면서 정신과 치료에 대한 혐오만 커졌다.

건국대 의대 하지현 교수(신경정신과)는 이 같은 증상에 대해 “애완견이 죽은 후 나타나는 우울증과 상실감은 정상적인 ‘애도반응’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고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 환자의 경우엔 상담만으로 치료할 수 없으니 반드시 약물치료를 동반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1/4
최영철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ftdog@donga.com 이윤진 자유기고가 nestra@naver.com
목록 닫기

신종 정신질환 ‘애견사망 증후군’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