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15일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승리한 정동영 후보.
대세론에 눌려 변변한 ‘반전’의 기회조차 잡지 못하던 범여권에 ‘이회창 출마 쇼크’는 언뜻 기회로 비치기도 했다.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 범여권 후보의 지지율까지 동반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해보나마나’라는 패배주의를 더욱 확산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다급해진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범여권 통합 작업에 박차를 가하며 ‘막판 뒤집기’를 시도하고 나섰다. 11월12일 ‘4자 회동’을 통해 신당과 민주당이 당 대 당 통합과 후보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것도 대선이 ‘이명박 대 이회창’ 양자 대결구도로 굳어지는 것을 막고, 3자 대결구도로 활로를 뚫기 위한 고육책의 성격이 짙다.
“정치생명 걸었다”
2007년 대통령선거에 임하는 정동영 후보의 각오는 남다르다. 한마디로 정치생명을 걸었다. 민주당과의 합당 합의를 둘러싸고 신당 내부에서 ‘재협상’ 논란이 일자 정 후보는 “12월 대선에 내 정치인생의 전부를 걸었다. 이번 선거는 내 선거일 뿐 아니라, 당의 선거이고 역사적 책무가 있다. 이번 대선에 모든 것을 걸었다. 대선만이 모든 의미”라고 호소했다.
140석의 원내 제1당 대통령후보가 겨우 8석의 민주당에 5대 5의 지도부 구성 약속을 하면서까지 ‘합당’에 합의한 것만 봐도 이번 대선을 향한 정 후보의 염원이 얼마나 간절한지 짐작할 수 있다.
정 후보의 대선 플랜은 우여곡절이 없지 않았지만, ‘이회창 변수’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비교적 순조로웠다. 특히 낮은 지지율에도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승리한 것은 그가 얼마나 치밀하게 이번 대선을 준비해왔는지를 엿보게 했다.
정동영 후보는 당내 경선을 통해 후보로 선출되는 것을 1차 목표로, 경선 이후 조기에 경선 후유증을 수습하고 당내 통합을 이뤄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1대 1 구도를 형성하는 것을 2차 목표로 삼았다. 이어 대선후보 등록 직전까지 범여권 후보 단일화를 통해 지지율을 끌어올려 ‘해볼 만하다’는 평가를 받는 것을 3차 목표로 삼았다. 후보 등록 이후엔 TV토론 등을 통해 차기 대통령감으로 비교우위를 인정받아 대선 승리를 거머쥐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갖고 있었다.
치밀하게 준비된 후보답게 경선 통과라는 1차 목표는 보란 듯이 달성했다. 그 과정에 대통령 명의도용과 ‘박스 떼기’ 등 몇 차례 위기가 있었다. 하지만 두 차례에 걸쳐 열린우리당 의장으로 선출된 경선 노하우와 2004년 총선과 2006년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한 경험 등을 살려 슬기롭게 극복했다.
경선 이후 당내 통합작업도 매끄러웠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경선 이후 선대위를 꾸리는 데 두 달이 걸린 반면 정 후보는 1주일 만에 손학규, 이해찬 등 경쟁자들로부터 공동선대위원장 수락을 받아내고 2주 만에 선대위를 출범시켰다. 지지율도 경선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경선 직후 20% 가까이 치솟았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