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작가 박희숙의 Art 에로티시즘 ⑥

거울을 보는 여자

거울을 보는 여자

2/2
거울을 보는 여자

‘아침욕실’ 1971년, 캔버스에 유채, 192×113cm, 개인 소장

여자의 방 특유의 분위기를 잘 표현한 오토 프리드리히(1862~1937)의 이 작품에서 애완용 원숭이가 드레스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데, 젊음을 파괴하는 시간과 유혹의 문란함을 암시한다. 프리드리히는 빈 분리파에 속하나 동시대 예술가들과 다르게 여인의 누드를 왜곡하지 않고 부드럽고 밝게 표현했다.

거울은 속임수가 없다. 거울은 결점까지 드러내지만 여자는 자신의 아름다움만을 보고 싶어한다. 자신의 결점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 여자를 그린 작품이 보테로의 ‘아침욕실’이다. 침대 앞에 대형 거울이 있음에도 뚱뚱한 여인은 작은 손거울로 자신을 보고 있다. 작은 거울 속 여인의 얼굴은 거울의 크기만큼이나 작다. 여인은 지금 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이다.

거울 속 여인의 모습은 앙증맞고 귀엽다. 하지만 화면을 넓게 차지한 그녀의 모습은 기형적일 정도로 뚱뚱하다. 풍만한 허벅지는 살이 쪄 한 치의 빈틈도 허용하지 않고, 신발은 살찐 다리와 발을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빈약해 보인다. 그녀의 엉덩이와 허리는 구분이 되지 않는다. 여자는 자신의 결점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에 얼굴만 보고자 작은 거울에 의지한다. 페르난도 보테로(1932~)는 뚱뚱한 사람을 즐겨 그린다.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비틀어서 과장되게 표현한다. 이 작품 속 여인도 그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거울을 보는 여자

‘거울 앞에 선 누드 여인’ 1897년, 마분지에 유채, 63×48cm, 뉴욕 하우프트 컬렉션 소장

매춘부에게 거울은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도구가 아니다. 그녀들에게 거울은 삶의 서글픔이다. 거울을 통해 보이는 것은 스러져가는 젊음과 미래에 대한 공포다. 매춘부가 거울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들여다보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 로트레크의 ‘거울 앞에 선 누드 여인’이다.

거울을 보는 여자
박희숙



동덕여대 미술학부 졸업

성신여대 조형대학원 졸업

강릉대학교 강사 역임

개인전 8회

저서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클림트’‘명화 속의 삶과 욕망’ 등


거울 앞에 선 매춘부는 평범한 검은 스타킹을 신은 채 자신을 바라보고 있다. 그녀의 손에는 방금 벗은 듯한 블라우스가 들려 있다. 거울 앞에 선 그녀는 손님과 사랑을 나누기 위해 자신의 모습을 보고 있지만 매춘부의 부드럽고 탱탱한 젊은 육체는 남자에게 사랑받는 시간이 짧다는 것을 암시한다. 화면 왼쪽의 헝클어진 침대는 매춘부가 나이 들면 사랑받지 못한다는 것을 상징한다. 앙리 드 로트레크(1864~1901)는 이 작품에서 남자에게 상처 받는 매춘부의 마음과 시들어가는 육체의 덧없음을 표현했다.

신동아 2009년 6월호

2/2
목록 닫기

거울을 보는 여자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