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영화 속 술 이야기 ⑨

‘완전히 이해할 수 없어도 완전히 사랑하는’

‘흐르는 강물처럼’과 폭탄주

  • 김원곤│서울대 흉부외과 교수│

‘완전히 이해할 수 없어도 완전히 사랑하는’

1/2
  • 20세기 초 미국의 한 목사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 수작 ‘흐르는 강물처럼’엔 뜻밖에도 ‘폭탄주’가 등장한다. 과감한 제조법과 독특한 세리머니까지 우리 사회의 음주문화와 꼭 닮았다. 한국 특유의 ‘속전속결’ 음주문화로만 알았던 폭탄주가 동서양 애주가들로부터 오랜 사랑을 받는 이유는?
‘완전히 이해할 수 없어도 완전히 사랑하는’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은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A river runs through it)’은 영화배우 출신 로버트 레드퍼드가 감독을 맡은 1992년 작품으로, 미국의 저명한 장로교 목사 노먼 매클린(1902~90)의 자전적 소설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 최우수 촬영상을 수상한 명성에 걸맞게 수채화 같은 영상을 펼쳐 보인다. 미국 몬태나주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을 배경으로 한 플라이 낚싯줄의 예술적인 움직임과 더불어 가족 간의 사랑과 아픔 그리고 인생의 참 의미를 잔잔하게 전달한다.

영화는 1900년대 초반 미국 몬태나주 서부에 있는 미줄라 마을의 한 목가적인 강가를 무대로 펼쳐진다. 노먼(크레이그 셰퍼 분)은 스코틀랜드 출신 장로교 목사인 아버지 리버런드 매클레인(톰 스커릿 분)과 인자한 어머니(브렌다 블레신 분) 그리고 동생 폴(브래드 피트 분)과 함께 풍족하지는 않지만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낸다. 아버지는 성실하게 목회 활동을 하는 한편 미끼 없이 하는 플라이 낚시를 종교와 동일시할 정도로 심취해 있었다. 아버지는 “낚시하는 법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낚시를 해 고기를 모독하는 것은 용서할 수 없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두 아들에게 낚시를 제대로 가르치려 한다. 그뿐만 아니라 아들들의 교육을 떠맡을 정도로 고지식한 성격이다. 그러면서도 오후 시간만은 자연과 마음껏 벗하라고 아들들을 자유롭게 풀어놓는 자상한 아버지다.

순종적인 노먼, 반항적인 폴

‘완전히 이해할 수 없어도 완전히 사랑하는’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에서 장남 노먼이 폭탄주를 들이켠 뒤 양주잔을 입에 물었다.

두 아들 노먼과 폴은 각기 아주 다른 개성을 지녔다. 강한 성격과 튼튼한 체력은 닮았으나, 장남인 노먼이 질서에 순응하며 책임감이 강한 성격인 데 반해 폴은 자유분방하고 반항적인 기질이었다. 그래서 폴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 반항도 하고 돌출적인 행동도 서슴지 않았다. 이런 폴의 성격은 아버지의 가르침에서 한발 나아가 독창적인 플라이 낚시 기법을 개발하는 바탕이 되기도 해 형 노먼의 부러움을 샀다. 두 형제는 장성해 각자의 길을 걷는다. 노먼은 바라던 대로 미국 동부 명문 다트머스대학에 합격, 집을 떠나 영문학을 공부한다. 반면 고향 몬태나와 낚시에 남다른 애착을 가진 폴은 ‘아직까지 잡아보지 못한 고기를 잡기 위해’ 그 지역 대학에 진학해 고향에 남는다.



그로부터 수년 뒤 노먼은 대학을 졸업하고 고향에 돌아온다. 폴도 대학을 졸업하고 지역 신문 기자가 되었다. 노먼은 고향에서 열린 미국 독립기념일 축제 때 제시(에밀리 로이드 분)라는 아름다운 아가씨를 보고 첫눈에 사랑에 빠진다. 할리우드에서 영화 관련 일을 하다 잠시 고향에 들른 그녀 오빠의 과시적인 행동으로 인해 두 사람은 약간의 우여곡절을 겪지만 결국 사랑의 결실을 본다. 이즈음 노먼은 명문 시카고대학으로부터 대학원 합격 소식과 함께 학부 학생들에게 영문학 강의를 해달라는 편지를 받는다. 부모가 더없이 기뻐하는 가운데 노먼은 제시와 함께 시카고로 떠나기로 한다.

가족의 한없는 사랑

한편 폴은 여전히 활발하고 역동적인 삶을 살고 있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이 그를 파멸로 몰아넣는다. 당시 백인사회에서는 유색인종과의 연애가 금기시됐다. 그런데 폴은 아랑곳하지 않고 아메리카 원주민과 공개적으로 교제한다. 이런 돌출행동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도박 빚이었다. 도박에 빠져 삶이 피폐해져가는 와중에도 폴은 이런 사실을 숨긴 채 아버지, 형과 함께 결국 일생의 마지막이 되는, 빅 블랙풋 강으로 낚시를 하러 떠난다. 폴은 아버지와 형 앞에서 이미 예술의 경지에 도달한 낚시 솜씨를 한껏 뽐낸다. 그러나 노먼과 제시가 시카고로 떠나기로 한 날 아침, 가족들은 경찰로부터 폴이 총에 맞아 거리에 버려진 채 발견됐다는 연락을 받는다. 도박과 관련 있는 타살이었다. 가족의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어느새 세월이 흘러 두 아이의 아버지가 된 노먼이 어머니, 아내 제시와 함께 교회에서 이제는 늙어버린 목회자 아버지의 마지막 설교를 듣고 있다. 아버지는 설교 중에 죽은 폴을 그리며 “비록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어도 완전히 사랑할 수는 있다”고 말한다. 생전 일탈 행동에 관계없이 아들에 대한 한없는 사랑을 표현한 것이다.

영화의 마지막은 늙은 노먼이 사랑하는 아내 제시를 포함해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어도 완전히 사랑할 수는 있는’ 주위 사람들을 다 떠나보내고 홀로 과거를 회상하며 낚시하는 장면이다. 변함없이 흐르는 강을 바라보면서.

1/2
김원곤│서울대 흉부외과 교수│
목록 닫기

‘완전히 이해할 수 없어도 완전히 사랑하는’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