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기고

‘한글의 중국 수입’ 주장한 원세개, 전 세계에 한글 알린 선교사 헐버트

한글 세계화 열전

  • 곽경 | 건축사·한국어정보학회 회원 http://blog.naver.com/ken301

‘한글의 중국 수입’ 주장한 원세개, 전 세계에 한글 알린 선교사 헐버트

2/2
‘한글의 중국 수입’ 주장한 원세개, 전 세계에 한글 알린 선교사 헐버트

선교사 헐버트가 발행한 한글 전용 교과서 ‘사민필지’(왼쪽)와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는 내용의 헐버트 메모.

헐버트의 업적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역시 한글의 가치를 알아보고 한글의 보급으로 조선의 근대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해 행동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1889년 ‘사민필지(士民必知)’라는 이름의 한글 전용 교과서를 처음 펴냈다. 사민필지는 조선의 양반과 상민이 반드시 갖춰야 할 지식만을 담아놓은 일반인 대상 교육용 책자였다.

최초의 한국어 신문인 독립신문의 편집 책임을 맡았던 주시경 선생이 바로 헐버트의 제자였으며, 박사가 운영하던 삼문출판사의 인쇄시설과 기술자 등이 있었기에 독립신문의 발행이 가능했다. 그는 주시경과 함께 최초로 한글의 띄어쓰기와 점찍기 등의 맞춤법과 문법을 연구 발전시켰다. 그 후 주시경은 국어문법 등의 방대한 저술과 최초의 국어사전 등의 편찬으로 조선어 연구에 큰 자취를 남겼다. 주시경의 사후 제자들이 조선어학회를 설립해 국어·국문의 연구와 그 보급을 통해 국민을 계몽하고 민족의 상징인 한국어를 통해 민족적 통일을 꾀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는 어문민족주의를 표방한 애국계몽사상을 보급하는 것이었으니 모두 박사로부터 시작된 사업이었다.

또 고종황제가 한글 보급 목적으로 추진한 국문연구소의 설립도 헐버트 박사와 주시경 선생의 건의로 이루어졌다. 헐버트는 한글의 우수성을 정확히 간파해 조선의 관리와 양반들이 당장에는 한글의 가치를 절하하고 있으나 언젠가는 한글을 사용하게 될 것이며, 궁극에는 한자가 유럽의 라틴어 같은 처지가 될 것으로 예견했으며, 또 중국인들도 한자를 버리고 한글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대한제국 멸망사(The Passing of Korea·1906)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중국인들이 세계 어떤 문자보다도 간단하고 음운을 폭넓게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을 채택해야 한다고 나는 감히 주장해왔다.”

1910~20년경 그가 쓴 제목 불상의 원고에서는 이런 대목도 발견된다.



“필자(헐버트)는 200개가 넘는 세계의 문자를 검토해본 결과, 형태의 간결성에서나 음운의 일관성에서 한글을 따를 문자는 없다고 말할 수 있다. 한글은 현존하는 문자 중 가장 훌륭한 문자임이 분명하다. 누구라도 한글을 대하면 배운 지 나흘 만에 책을 읽을 수 있다. 일본이 한글을 채택한다면 최선의 선택이 될 것이다.”

헐버트는 이외에도 한글에 관한 연구를 논문의 형태로 발표해 국내의 영문지 외에 미국 정부와 의회에 보내는 보고서에 수록되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한글의 특징과 독창성, 우수성을 전 세계에 다양하게 소개했다. 한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한국학을 개척한 그의 노력과 업적은 알려져 있는 것보다 훨씬 컸으며 조선의 근대화에 큰 도움이 됐다.

YMCA 창립총회 의장이기도 했던 헐버트는 YMCA 창립 당시 일부 선교사들이 YMCA의 설립 목적을 선교에 국한하자고 주장했으나, YMCA가 만인에게 교육의 장을 제공해야 하며 계몽활동을 하는 사회단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해 관철했다. 선교사였던 그는 이런 식으로 우리나라 근대교육에 초석을 놓았다. 한글학회 김종택 회장은 “한글 암흑기에 한글운동을 펼친 헐버트 박사를 겨레의 스승으로 받들어야 한다”고 했고 이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는 “헐버트 박사는 한글사랑의 표상일 뿐 아니라, 우리에게 자주정신을 불어넣어준 진정한 은인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원세개와 헐버트는 동시대 사람으로, 한 사람은 조선에서 입신해 중국 역사의 주역이 되었고 다른 사람은 미국에서 태어났으나 조선을 위해 헌신하고 나중에 조선에 뼈를 묻어 조선 근대화의 초석을 놓은 선구자의 한 사람으로 역사에 남아 있다. 두 사람 모두 한글을 생활 속 깊이 접해 한글의 특징과 가능성을 알았고 한글을 보급할 수 있는 중심 위치에 서 있었으나, 한 사람(원세개)은 세종대왕의 거룩한 정신이 담긴 한글의 도입과 문자 개혁에서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견지했고, 시대의 사명인 중국의 근대화에도 소홀한 채 권력에 집착하다 중국 역사의 그늘 속으로 사라져갔다.

‘한글의 중국 수입’ 주장한 원세개, 전 세계에 한글 알린 선교사 헐버트
곽경(郭炅)

건축사, 한국어정보학회 회원

1953년 대구 출생

1976년 서울공대 건축과 졸업

1978년 서울공대 건축과 대학원 졸업

現 ㈜아키덤 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한글세계화 포럼’ 카페 및 블로그 운영


반면 다른 한 사람(헐버트)은 조선에 발을 디디자마자 한글의 가능성을 간파해 한글을 하늘이 한국인에게 내린 희망으로 보고, 근대화와 근대교육의 핵심이 한글 속에 있음을 깨달아 몸을 던져 이를 실천했다. 이러한 노력이 근대조선의 형성에 큰 등불이 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우리도 등한히 했던 가치를 살려냄으로써 한글 세계화의 기초를 만든 것으로 볼 수 있다.

원세개(袁世凱·1859~1916 중국의 군인, 정치가, 중화민국 초대 총통)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경군통령(慶軍統領)인 오장경(吳長慶)을 따라 조선에 부임했고 후에 총리교섭통상대신으로 취임해 국정을 간섭하고 일본, 러시아를 견제했다. 1894년 청일전쟁에 패한 뒤 서양식 군대를 훈련시켜 북양군벌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개혁파를 배반하고 변법운동을 좌절시켰다. 이후 의화단의 난을 진압했으며 신해혁명(1912)으로 탄생한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 손문(孫文)을 사임시키고 임시 총통(1913)이 됐다. 이어 국민당을 해산시키고 정식 총통이 되었으며 이후에 스스로 황제(1916)라 칭했으나 시대를 역행한 군주제로 열강의 비웃음과 계속되는 국민의 반대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화병으로 죽었다.

헐버트(Homer B. Hulbert·1863~1949 선교사)

미국 명문가 태생. 구한말 근대교육을 위해 설립된 관립교육기관인 육영공원(育英公院)의 교사로 23세에 조선에 파견되어 19년간 체류했다. 800쪽이 넘는 초대형 역사책인 ‘한국사’와 역사, 문화, 풍습, 사회제도 등 한국의 모든 것을 집대성한 ‘대한제국 멸망사’(1906)를 출판해 국제사회에 한국을 소개했다. 직함은 고문이지만 실제적인 조선 교육정책의 최고책임자(1887)였다. 헤이그 밀사 파견 사건 후 일제에 의해 조선에서 추방된 후에도 미국에서 조선의 독립운동에 기여했다. 1949년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한국에 초빙되어 건국문화훈장을 받았으나 귀국 일주일 후 서거했고 양화진에 묘소가 있다.


신동아 2012년 1월호

2/2
곽경 | 건축사·한국어정보학회 회원 http://blog.naver.com/ken301
목록 닫기

‘한글의 중국 수입’ 주장한 원세개, 전 세계에 한글 알린 선교사 헐버트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