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노광우의 ‘영화사회학’

할리우드는 주전파(主戰派)일까?

  • 노광우 │영화 칼럼니스트 nkw88@hotmail.com

할리우드는 주전파(主戰派)일까?

1/2
미국의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은 세계적으로 관심을 모으는 행사다. 지난 2월 열린 2012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선 ‘아르고’(Argo·벤 애플렉 감독)가 작품상을 받았다.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는 영화는 일반적으로 그전에 몇 개 부문에서 수상하고 마지막에 작품상을 받는다. 대체로 훌륭한 시나리오에 바탕을 두고 제작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오리지널 각본 또는 각색상을 받은 작품이 작품상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아르고’도 각색상과 편집상을 받은 뒤 작품상을 받았다.

참전과 작품상의 상관관계

그러나 역대 작품상 수상작이 대개 5, 6관왕인 반면 아르고는 3관왕에 그쳤다. 이는 ‘아르고’가 기술적으로, 예술적으로 그리 뛰어난 작품은 아니라는 의미다. 이런 작품이 작품상을 수상하는 경우는 충분히 정치적 해석이 가능하다. 해당 작품이 미국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경향성에 편승한 덕에 수상의 영예를 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경향성 중 대표적인 것이 미국이 벌이는 전쟁 내지 무력사용에 대한 지지 여론이다. ‘아르고’는 이란 주재 미국대사관 인질 구출작전을 다뤘다. 9·11테러 이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 이어 이란이 미국의 다음 전쟁 타깃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러한 영화가 제작됐고 작품상을 받은 것이다.

실제로 역대 아카데미상 수상작 목록을 보면 미국이 개입한 전쟁과 작품상이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41년 12월 일본의 진주만 기습 이후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그러자 1942년 독일의 공격을 견디는 영국인들을 우호적으로 그린 ‘미니버 부인’(윌리엄 와일러 감독)이, 1943년 유럽에서의 로맨스로 시작해서 결국 항독(抗獨) 레지스탕스 운동으로 주인공의 입장을 정리하는 ‘카사블랑카’(마이클 커티즈 감독)가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독일이 점령한 유럽 지역과 일본이 점령한 아시아 지역에선 미국 영화의 수입이 불허됐다. 할리우드 처지에선 해외시장의 대부분을 잃은 셈이다. 할리우드가 2차대전 기간 중 미국 정부의 주전론(主戰論)에 입각한 영화를 많이 제작한 데에는 판로 회복이라는 상업적 이유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차대전이 끝난 후 평화의 시기가 찾아오자 아카데미상은 태도를 바꾼다. 1953년과 1957년 각각 반전론을 펴거나 군에 회의적인 시선을 담은 ‘지상에서 영원으로’(프레드 진네만 감독)와 ‘콰이강의 다리’(데이비드 린 감독)에게 작품상을 줬다.

이후 미국이 베트남전쟁에 돌입하자 아카데미상은 다시 주전론을 주창하는 영화 ‘패튼’(프랭클린 샤프너 감독)에 작품상(1970)을 안겼다. 베트남전쟁이 끝난 뒤엔 다시 반전론으로 돌아서 1978년과 1986년 각각 ‘디어 헌터’(마이클 치미노 감독)와 ‘플래툰’(올리버 스톤 감독)이 작품상을 받았다.

할리우드의 이러한 경향은 미국이 1991년 제1차 이라크전쟁, 2001년 9·11테러, 2001년 아프가니스탄전쟁, 2003년 제2차 이라크전쟁을 치르는 과정에서 더 견고해졌다. 다만 최근 들어선 반전론에 입각한 작품들이 과거에 비해 좀 더 자주 발표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미국 내에서 전쟁 찬반 여론이 일상적으로 갈리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이나 베트남전쟁 시기에 비해 할리우드 영화산업이 훨씬 세계화했고, 해외시장을 잃을 우려가 사라졌으며, 굳이 미국 정부에 의존할 까닭이 없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지금도 할리우드와 아카데미상의 기본적 기조는 ‘미국 정부가 수행하는 전쟁에 대한 우호적 태도의 견지’라고 할 수 있다.

反美엔 무관심

이라크전쟁이 정리되는 시점인 2009년 이라크전쟁을 다룬 ‘허트 로커’(캐스린 비글로 감독)가 작품상을 받았다. ‘허트 로커’는 이라크 내 테러가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폭발물 제거라는 위험천만한 작업을 하는 미군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전투의 격렬함은 마약과 같아서 종종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중독된다”라는 내용을 남겼다. 이 작품은 이듬해 전 세계적으로 ‘3D 열풍’을 일으킨 영화 ‘아바타’와 작품상을 놓고 경합했다. 미국이 참전한 이라크전쟁을 다뤘다는 점이 당대의 영화인 아바타를 누른 요인 중 하나일 것이다.

1/2
노광우 │영화 칼럼니스트 nkw88@hotmail.com
목록 닫기

할리우드는 주전파(主戰派)일까?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