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On Green

꿈과 사랑을 스윙하고 남은 생을 퍼팅하다

‘골프 시인’ 김영진 성서원 회장

  • 글·정현상 기자 doppelg@donga.com 사진·조영철 기자 korea@donga.com

꿈과 사랑을 스윙하고 남은 생을 퍼팅하다

1/3
꿈과 사랑을 스윙하고 남은 생을 퍼팅하다
흰 새는 초원 위에서 난다

‘나의 꿈은 푸른 초원을 향해 달린다/ 아침 이슬 내린 잔디를 밟고/ 십팔 홀이라는 멀고 먼 여행을 떠난다/ 나의 욕망과 자유와 승리를 위하여/ 하얀 날개를 달고/ 하늘 높이 나는 새가 된다….’

5월 29일 오전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울·한양컨트리클럽. 김영진(69) 시인은 클럽하우스 식당에서 기자를 만나자마자 자작시 ‘흰 새는 초원 위에서 난다’를 읊기 시작했다. 주변에 사람이 많았지만 그는 개의치 않고 ‘모드’를 급전환해서 시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짐작했겠지만 ‘흰 새’는 골프공이고, ‘초원’은 페어웨이다.

시인은 이 시를 쓰고 며칠을 울었다고 한다. 어린 시절 미래를 꿈꾸던 경북 예천의 시골마을 초원과 골프장의 푸른 페어웨이가 겹치고, 신산한 삶의 여정과 그것의 축소판인 골프 라운드의 은유가 교차하는 순간 가슴이 뜨거워졌다. 골프에 ‘미친(狂)’ 사람이야 차고 넘치지만, 골프를 철학적으로 궁구해서 골프 시(詩)에 ‘미친(及)’ 이는 드물다.

꿈과 사랑을 스윙하고 남은 생을 퍼팅하다

올드코스 12번홀 파5. 오른쪽으로 굽은 도그레그 홀이다(위). 그린의 깃발에 이 골프장의 역사적 의미가 담긴 ‘1927’이라는 숫자가 선명하다.

골프에 대한 애정이 듬뿍 담긴 그의 우렁찬 시 낭송을 들으며 이날 라운드 분위기가 얼마나 시적(詩的)으로 고양될지, 아니면 기자의 잦은 실수로 그 반대가 될지 궁금해졌다.



한국잡지협회장을 지낸 김영진 시인은 성경·찬송 전문출판사 성서원 회장이자 어린이 잡지 ‘새벗’ 발행인이기도 하다. 한국문인협회 동포문학상(1994), 한국수필문학상(1997), 한국문학예술대상(2004), 은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골프 실력은 한때 출판계 1인자였다. 칠순에 다다른 지금도 핸디캡 3의 고수다.

서울·한양CC는 한국 골프의 초창기 역사와 함께했다. 그린에 꽂힌 깃발에는 ‘1927’이라는 숫자가 선명하다. 1927년은 영친왕이 서울 군자리 코스를 조성하도록 거금을 하사한 해다. 서울·한양CC는 1921년 효창원 코스에 만들어진 경성골프구락부의 후신인 서울CC와, 1964년 지금의 원당 코스에 들어선 한양CC가 합쳐져 탄생했다.

이곳의 구코스는 서삼릉(정릉, 효릉, 예릉) 자락의 자연림 안에 펼쳐져 있다. 홀 사이엔 수령 100년이 넘은 아름드리 노송들이 들어차 그 기운이 특별하다. 가히 ‘왕가의 기운’이 느껴진다고 할까. 페어웨이의 굴곡이 심하고 그린이 잘 관리돼 매끄러운 편이라 쉽지 않은 코스이지만, 주변 경관이 아름답고 전장이 비교적 짧아 특히 여성 및 시니어 골퍼들이 좋아한다. 신코스는 전장이 길고 골프대회가 자주 열린다.

구코스 첫 홀 파5 444m. 새벽까지 장맛비가 쏟아졌는데도 배수가 잘 되는지 코스엔 빗물이 고인 흔적이 거의 없다. 김 시인은 드라이브샷으로 공을 230m쯤 보냈고, 안정적인 아이언샷으로 버디 기회를 만들었다. 그러나 퍼팅한 공이 홀 컵을 약간 벗어나 파를 기록했다.

“신기한 건, 요즘 나이 칠십이 다 됐는데 비거리는 오히려 더 늘어난다는 겁니다.”

허를 찔린 느낌이다. 60이 넘으면 해마다 3야드씩 비거리가 줄어든다고도 하는데 어떤 비결이 있는 걸까.

1/3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꿈과 사랑을 스윙하고 남은 생을 퍼팅하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