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포커스

대장 對 대위

제 35대 재향군인회장 선거 파격 기류

  • 이정훈 편집위원 | hoon@donga.com

대장 對 대위

1/5
  • ● ‘별들의 전쟁’에 대위 출신 도전장
  • ● “국방장관 상대할 장성 출신 원로라야”
  • ● “재정위기 타개할 사업가 출신 필요”
  • ● 성우회와 향군의 역할 분담 필요하다?
대장 對 대위

김대중 - 노무현 정부 시절 재향군인회는 안보단체로 변신해 보수 여론을 주도했다. ‘노병’들이 시위를 하는 동안 향군의 재정은 급속도로 나빠졌다.



4월 10일 실시하는 제 35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향군) 회장 선거가 관심을 끈다. 장성 대 비(非)장성 출신의 대립 구도가 형성될 것 같기 때문이다. 비장성 출신이 향군회장에 도전한 사례는 딱 한 번 있었다. 해군 병장 출신으로 서울시 향군회장을 지낸 김병관(62) 씨가 32대와 34대 회장 선거에 나섰다가 실패한 적이 있다.

이번에는 육군 3사관학교(6기) 출신의 예비역 대위인 신상태(65) 씨가 도전한다. 과거 육군에서 3사 출신 장교는 ‘서자’로 여겼다. 육군사관학교 출신과 마찬가지로 직업군인의 길을 걷지만 진급에 실패해 조기 전역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요즘은 달라져 대장 3명(박영하, 박성규, 이순진)을 포함해 170여 명이 ‘별’을 달았다. 그런데 그들은 가만히 있고 ‘밥풀데기’ 출신이 도전한다니 결과가 궁금해지는 것이다.

‘밥풀데기’의 도전

1952년 창설돼 63년의 역사를 가진 향군사(史)에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는 김영삼 정부 때다. 김영삼 정부는 노태우 정부 때 부활한 지방자치제를 확대 실시해 자치단체장을 선거로 뽑았다. 이후 대한민국은 ‘선거공화국’이 돼버렸다. 교육장과 대학 총장도 선거로 뽑는 문화가 조성됐고 향군도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 상급자가 예하 지휘관을 임명하는 상명하복(上命下服)에 젖어 있던 군 출신은 향군 회원이 되는 순간 180도 다른 문화에 ‘접속’하게 된 것이다.



1994년 향군은 처음으로 회장(27대)을 대의원 직선제로 선출했다. 1979년 12·12 사태 때 신군부의 지시로 서울로 진입하던 9사단 기동부대를 막으려 했던 장태완 전 수도경비사령관(소장 출신)이 그 주인공. ‘수도를 지켜야 한다’는 본분에 충실했던 장씨는 12·12사태 직후 강제 예편당했다. 그러한 인물이 향군회장에 선거로 당선됐으니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한국군은 미군정 치하에서 만들어졌기에 최초의 장교는 군사영어학교에서 배출됐다. 이어 육사의 전신인 경비사관학교를 만들었다. 과거에는 입대 장정을 신체검사해 건강하다고 판단되면 ‘갑(甲)’, 그다음이면 ‘을(乙)’로 평가했다. 건군 후 한국 육군은 급팽창했기에 장교가 부족했다. 그래서 고졸로 갑종 판정을 받은 이를 선발해 광주 보병학교에서 교육시켜 소위로 임관했다(갑종장교). 그때가 1950년 1월이다.

5개월 뒤에 6·25전쟁이 일어났다. ‘소모품 소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초급 장교의 희생이 컸다. 부산으로 수도를 옮긴 정부는 동래고등학교에 육군종합학교를 만들어 부족한 소위를 양산했다. 갑종보다 더 짧은 기간 교육을 받고 임관한 ‘종합’ 장교를 배출한 것. 종합은 임시로 만든 제도라 전쟁이 끝나자 10기로 막을 내렸다.

한미군사동맹이 맺어지면서 ‘미군과 대화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을 받은 장교가 필요했다. 1951년 정부는 단기 과정이던 육사를 4년제로 재편했는데 그것이 바로 정규 육사 1기로 불리는 11기다.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한 10·26과 정승화 계엄사령관을 체포한 12·12사건을 계기로 11기는 ‘신군부’로 등장해 전두환-노태우 대통령을 배출했다.

육군은 1961년 학군(ROTC), 1981년 학사장교(OCS)를 도입해 대졸 장교를 늘렸다. 갑종제도도 개선했다. 1968년 북한군 특공대가 청와대를 기습한 1·21사태 뒤 2사와 3사를 창설해 갑종장교 제도를 흡수한 것. 그리고 2사를 3사에 통합했다.

그때의 3사는 몇 개월에서 십수 개월만 교육했으니, 여전히 단기사관 양성 과정이었다. 3사는 1972년 전문대(2년제), 1996년 4년제 학사 과정으로 재편됐다. 이로써 한국군은 대졸자만 장교로 임관하게 됐다.

이는 향군회장 선거에도 영향을 끼쳤다. 장태완 씨가 선출되기 전까지 정부는 20명을 향군 회장에 지명했는데(연임자 포함), 하나같이 단기 과정으로 장교가 된 사람이었다. 장씨(육군종합학교 출신)를 포함시켜도 4년제 대학 교육을 받고 임관한 이는 없었다.

1/5
이정훈 편집위원 | hoon@donga.com
목록 닫기

대장 對 대위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