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이 기축통화국? 외환보유고부터 확대하라”

김대종 세종대 교수

  • 이현준 기자 mrfair30@donga.com

“한국이 기축통화국? 외환보유고부터 확대하라”

김대종 세종대 교수.

김대종 세종대 교수.

21일 TV토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한국이 곧 기축통화국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 나온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김대종 세종대 교수는 “국제금융 경쟁력을 올리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한국의 외환보유고를 2배 늘려야 한다. 현재 외환보유고는 한국 경제 규모에 비해 매우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한국은행은 외환보유고가 세계 8위라고 국민을 안심시키나 GDP 대비 비중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스위스의 GDP는 한국의 절반도 안 되지만 두 배 이상의 외환 보유액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GDP 대비 외환보유고 비중은 28%로 스위스 148%, 홍콩 143%, 싱가포르 123%, 대만 91%, 사우디아라비아 59%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제안한 한국의 적정 외환보유고는 9300억 달러다.

출처: 김대종 교수 ‘기축통화와 한국 외환보유고 연구’, 한국은행

출처: 김대종 교수 ‘기축통화와 한국 외환보유고 연구’, 한국은행

김 교수는 “한국이 기축통화국이 되려면 원화의 국제금융 경쟁력을 올려야 한다. 우리나라는 제조업 기준으로 세계 5위, GDP 기준 세계 9위다. 그러나 국제금융 경쟁력은 세계 30위권으로 매우 낮다. 차기 대통령과 정부는 한국 외환보유고를 90%까지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동아 2022년 3월호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한국이 기축통화국? 외환보유고부터 확대하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