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중문화

노랫말에 비친 10대 정서

날것 언어로 드러내는 육체적 욕망의 변주곡

  • 염희진│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salthj@donga.com

노랫말에 비친 10대 정서

1/3
  • 어느 때부터인가 가수의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웅얼거리는가 싶더니 과거엔 보지도 듣지도 못한 선정적인 가사로 노래한다. 10년 전 가요와 지금 가요, 얼마나 어떻게 달라졌을까.
노랫말에 비친 10대 정서

사진제공 스포츠동아

중독성 있는 후렴구, 반복되는 여덟 마디 멜로디로 구성된 이른바 ‘후크송(hook song)’은 이제 히트곡의 공식이 됐다. 하지만 여기에 하나를 추가한다면? 쉽게 잊히지 않는 직설적인 제목과 이를 뒷받침하는 노랫말이다.

‘아임 소 핫/난 너무 예뻐요/아임 소 파인/난 너무 매력 있어’가 인상적인 원더걸스의 ‘소 핫’부터 샤이니의 ‘누난 너무 예뻐’ 2PM의 ‘10점 만점에 10점’, 손담비의 ‘미쳤어’, 바나나걸의 ‘키스 해죠’까지…. 요즘 대중을 사로잡는 가요의 필요조건은 튀는 제목과 노랫말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가수의 노랫말이 노래로만 그치지 않는다는 사실. 대중가요는 이를 수용하는 사람들의 생각에 영향을 끼침과 동시에 그들의 가치관과 욕망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씨는 “이런 가사들이 무리 없이 받아들여진다는 건 그만큼 요즘 세대의 연애관이 개인의 욕망을 더 중시한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10년 전 가요는 어땠을까. 1998년은 서태지 이후 아이돌 그룹들이 10대들의 인기를 독식하며 전성기를 누리던 해다. 1998년 H.O.T.와 S.E.S 핑클 젝스키스 베이비복스의 히트곡 노랫말과 최근 아이돌 그룹의 부활을 주도하고 있는 빅뱅 원더걸스 동방신기 등의 노랫말을 비교해봤다.

‘난 네 것’ → ‘넌 내 것’



10년 전 인기를 끌었던 가요의 노랫말을 들여다보자. ‘소망’ ‘영원’ ‘꿈’ ‘약속’ 등의 단어가 유독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1998년 발표된 핑클의 ‘내 남자친구에게’(내 모든 걸 원한다면 너에게 줄게/기다려왔던 나의 사랑은 너를 위한 거야(중략) 내 모든 걸 원한다면 너에게 줄게/난 니 꺼야)와 S.E.S의 ‘아임 유어 걸’(너에겐 그 어떤 말보다 넌 내 거란 말이 듣고 싶어)이 대표적인 예. 핑클 S.E.S 등 1998년 인기를 끌었던 여성 아이돌 그룹의 노랫말 속에서 나는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길 소망한다.

그러나 요즘 아이돌 가수의 노랫말 속엔 누군가를 소유하겠다는 욕망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10년 전에 소망(wannabe)이었다면 현재는 소유욕(want you)으로 변한 것이다.

노랫말에 비친 10대 정서

1990년대 아이돌 그룹인 핑클. 이들의 노랫말에는 내가 누군가에게 의미가 되고 싶다는 소망이 담겨 있다.

동방신기의 ‘주문’(넌 내게 미쳐/넌 나의 노예)은 ‘노예’라는 표현을 통해 상대방을 독점적인 소유물로 표현하고, 원더걸스의 ‘노바디’(I want nobody nobody but you/난 다른 사람은 싫어 네가 아니면 싫어)에서는 ‘너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을 당당히 드러낸다.

휘성의 ‘우린 미치지 않았어’라는 곡에서는 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표현이 등장한다. ‘난 네가 고른 옷을 태워서 내 맘대로 쓰레기통에 넣었어/이런 의미 없는 옷을 네가 입고 있을 때 왠지 모르게 난 참을 수 없었어/나만 봐주는 인형으로 만들고 나서/난 오직 너만의 주인처럼 놀고 싶어’

연인과의 정신적 교감보다 육체적 애정행위를 강조하는 경향은 종종 타인의 육체를 대상화, 사물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 박진영이 작사 작곡하며 프로듀싱한 그룹 2PM의 ‘10점 만점에 10점’(그녀의 입술은 맛있어 입술은 맛있어/10점 만점에 10점/그녀의 다리는 멋져 다리는 멋져/10점 만점에 10점)에서는 여자의 신체 부위에 각각 점수를 매기는 가사로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패러디됐다.

웹진 ‘음악취향 Y’의 칼럼니스트 최지호씨는 “10년 전 아이돌이 추상적인 가치를 에둘러 표현했다면 요즘에는 좀 더 구체적이고 날것의 언어로 욕망을 드러내거나 성적 행위를 묘사한다”고 말했다.

10년 전 10대에게 인기를 끌었던 노랫말은 겸손과 자기희생의 정서가 강했다. 하지만 요즘은 다르다. 자기주장을 당당하게 드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1/3
염희진│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salthj@donga.com
목록 닫기

노랫말에 비친 10대 정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