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키아벨리’ 레오 스트라우스 지음, 함규진 옮김/구운몽/ 492쪽/2만5000원
하지만 그의 우려와 달리 이에 대해 크게 놀랄 사람은 드물 것 같다. 그것은 그야말로 마키아벨리 시대부터 있어온 “구식의 단순한 견해”이기 때문이다. 정작 놀랄 만한 것은 스트라우스가 이 짤막한 결론을 대단히 복잡한 독법(讀法)을 통해 도출했다는 점이다.
사실 스트라우스(그리고 그의 추종자들)의 두드러진 특징은 어떤 텍스트에 담긴 주장보다 그 속에 감추어진 ‘비의(秘義)’를 ‘해독’하는 독특한 방식에 있다. 스트라우스에 따르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리비우스 논고’(본서에는 ‘로마사 논고’로 번역되어 있으나 이 편이 더 낫다)와 같이 그 의도가 불분명한 저작들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읽어서는 안 되며, 마키아벨리가 권위 있는 것으로 간주했던 독법에 따라 읽어야 한다. 그런데 마키아벨리가 지침으로 삼은 작가는 리비우스이므로, 마키아벨리가 리비우스를 읽은 방식을 연구하면 그것과 똑같은 식으로 쓴 마키아벨리 저작들도 제대로 읽을 수 있다. 그 독법이란 과거의 신학자들이 성서를 읽던 방식이다.
스트라우스의 秘義 독법
비의를 해독한다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어떤 작가가 자신의 텍스트를 어떤 이유 때문에 비의적 방식으로 썼다는 확신이 있어야 하며, 그러한 확신은 비상한 방식으로 읽어낸 비상한 내용의 메시지로 입증되어야 한다. 하지만 비의적 텍스트의 독법은 대개 집단 내부의 극소수 사람에게만 알려져 있으므로 그것을 보통의 독자가 이해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스트라우스는 이 책에서 자신의 독해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는 친절을 베풀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자상한 안내에도 불구하고 지성이 뛰어나지 못하거나 이미 마키아벨리에 오염된 학자들과 독자들은 그 과정 자체를 납득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스트라우스는 우리가 알아채지 못하는 비의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을 지녔다. 그는 우선 마키아벨리가 ‘군주론’과 ‘리비우스 논고’에 세상사의 모든 것에 통달한 자신의 지식을 남김없이 담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그가 한 말은 무엇이나 의미가 있다. 모순적으로 보이거나 오류로 생각되는 경우도 다 어떤 중요한 의미가 있어서 그렇게 해놓은 것이다. 심지어 어떤 주제에 대해 침묵한다면 그 또한 숨은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스트라우스에 따르면,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양심, 공동선, 왕과 참주/폭군의 차이, 하늘에 대해 침묵했다. 반면 ‘리비우스 논고’에서는 이에 대한 언급이 자주 나온다. 이런 주제는 통념상 중요하기 때문에 마키아벨리의 침묵은 범상치 않다. 바로 이 지점에서 스트라우스의 비의 독법이 작동된다.
‘리비우스 논고’에는 돈이 전쟁의 원동력이라는 통념을 반박하는 부분이 있다. 여기서 마키아벨리는 그러한 주장에 대한 전거로 리비우스를 들며, 전쟁에 필수적인 세 가지 요소로 다수의 훌륭한 병사, 분별 있는 지휘관, 행운을 꼽았으나 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마키아벨리는 리비우스가 돈 문제에 대해 아예 침묵함으로써 전쟁에 돈이 중요하다는 통념을 부정했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 방법을 자신의 글쓰기에 적용했다는 것이 스트라우스의 주장이다.
이러한 ‘마키아벨리 코드’ 해독법을 앞에서 제기한 ‘군주론’의 침묵 문제에 적용해보면, 마키아벨리는 양심, 공동선, 폭정, 기독교 신앙이 정치를 하고 국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상식과 통념을 부정한다는 숨겨진 의미가 비로소 드러난다. 이만하면 무릎을 칠 만하지 않은가.
진부한 주장? 진정한 의도!
암호 해독법에서는 대개 숫자가 중요한 법인데, 스트라우스 식 해독법 또한 텍스트에 숨겨진 숫자의 의미에 남다른 관심을 보인다. 마키아벨리는 ‘리비우스 논고’ 2권 5장에서 세계의 영원성이란 주제를 논했다. 마키아벨리는 이 세계가 출발점을 가지고 있다는 통념이 근거 없음을 논증한다. 스트라우스는 마키아벨리가 여기서 기독교 창조론을 부정함을 직감한다. 하지만 마키아벨리가 이 문제에 대해서 침묵하기 때문에, 스트라우스는 다시 비장의 암호 해독기를 작동시킨다. 그러고는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는 하늘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시작된 것이며, 1666년에서 3000년 사이의 수명을 가진다”고 한 마키아벨리의 불경한 의도를 읽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