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일하는 학과의 학생들은 베트남에서 온 두세 명을 제외하곤 전원이 중국인 유학생이다. 한국어를 배우겠다고 굳이 바다 건너온 이들을 위해 학기마다 한 번씩 우리네 문화유적지를 답사하는 과목을 개설해놓았다. 나는 경주, 안동을 가더라도 꼭 바다를 거치는 일정을 고집한다. 대륙에서 나고 자란 녀석들이기에 스무 해를 살면서도 바다를 본 경험이 거의 없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이 이국의 땅에서 생전 처음 망망대해를 대하며 갖는 감개는 실로 형언키 어려운 것이 된다.
안동을 찾아간 지난해 가을에 굳이 울진을 여정에 포함시킨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 도산서원에서 청량산을 거친 뒤 불영계곡을 통과해 울진 망양해수욕장까지 가는 코스였다. 훤칠한 금강송 춘양목이 우거진 산간을 통과하는 내내 골짝 물이 잘생긴 바위들을 어루만지며 흐르는 멋진 풍경이 차창 밖에 펼쳐졌다. 그런데도 이를 보겠다고 눈동자를 빛내는 녀석은 없었다. 온종일 차를 달려도 산의 모양새를 볼 수 없는 대평원에 익숙한 녀석들이라, 굽이굽이 산길을 돌아 달리는 이곳 찻간에서는 금세 멀미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망양정의 望洋之歎
녹초가 된 학생들이 심신을 추스르도록 불영사 주차장에 차를 세웠다. 다리를 건너고 숲길을 걸어 이윽고 마주한 절집 풍광은 여느 때 찾아도 정갈하고 소담스럽다. 주변 산세가 인도의 천축산을 닮았다고 해서 ‘천축산 불영사’라고 이름 붙였다. 이곳의 아름다움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것은 다른 절간에서 쉬이 보기 어려운 연못이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연못은 안팎으로 가지가지 수생식물들을 키우며 화폭인 양 둘레의 풍경까지 죄 담고 있다. 특히 물가의 배롱나무들이 다투어 꽃망울을 터뜨리는 때는 자못 몽환적인 분위기를 빚어내기도 한다.
불영계곡을 흐르는 광천의 물줄기는 울진의 민물고기연구센터 앞에서 왕피천 본류와 합해져 동해로 든다. 내륙의 하천이 긴 여정을 마치고 바다로 드는 곳에 모래톱이 만들어졌는데, 그곳이 망양해수욕장이다. 바다를 만난 외국의 젊은이들이 언제 지쳐 떨어졌던가 싶게 환호성을 지르며 다투어 모래밭을 내달린다. 그리고 마주한 망망대해. 넘실대는 짙푸른 바다, 쉼 없이 밀려오는 물결 앞에서 그들은 한순간 넋을 앗기고 만다. 바다는, 그들에게 경이(驚異) 자체였다.
강이 어떻게 바다의 품을 파고들며, 뭍과 바다가 어떻게 만나 속살거리는지 볼라치면 그 모래톱 어귀의 허름한 마을 뒤편 길로 해서 야트막한 산꼭대기에 오르면 된다. 겹처마에 팔작지붕을 한 날렵한 정자 하나가 이곳에 서 있다. 망양정(望洋亭)이다. 날갯짓하듯 지붕을 펼치고 있는 모습은 가벼운 듯하면서도 당당하다.
정자에 오르면 왕피천 물줄기가 하얀 포말을 일으키는 바다와 만나는 모습이 내려다보이고 가없는 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정자에서 바라보는 경치가 관동팔경 가운데 으뜸이라 하여 조선 숙종이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라는 현판을 하사했다고 하지만 지금의 정자는 예전의 그 정자가 아니다. ‘바다 밖은 하늘이니 하늘 밖은 무엇인고…’ 하고 송강 정철이 ‘관동별곡’의 마지막을 망양정으로 장식하고 있지만 그 또한 지금의 망양정이 아니다. 본래의 망양정은 울진 기성면 망양리에 있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오래 허물어진 채로 방치돼 있었다. 1858년(철종 9년) 새로 정자를 지을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겼으며 2005년 기존 정자를 완전 해체하고 새로 건립했다.
정자에는 정철의 관동별곡과 함께 숙종이 하사한 편액과 시, 정조의 어제시(御製詩), 이산해, 김시습의 시 등이 걸려 있다. 망양정을 단순히 ‘바다를 바라보는 정자’라고 새기기보다는 ‘자신의 힘이 미치지 못함을 탄식한다’는, 망양지탄(望洋之歎)에서 나온 말로 보는 것이 훨씬 그럴싸하다.
울진을 찾아가는 방법은 나처럼 봉화 쪽에서 불영계곡을 통해 가는 방법도 있지만 많은 사람은 강릉에서 동해, 삼척을 지나 7번 해안도로를 타고 남쪽으로 내려가는 길을 택한다. 이 경우 울진 땅에 들어서서 처음 만나는 포구가 죽변항이다. 예부터 죽변은 어업기지로 이름이 난 포구였는데, 근래는 드라마며 예능 프로그램 촬영지로 유명해 찾는 이가 많다. 특히 죽변등대와 그 주변은 그 독특한 풍광으로 유명세를 치르고 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