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가 김주욱(46) 씨는 10월 16일 아침 한 일간지에 실린 제44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발표 기사와 수상자 인터뷰를 읽으면서 ‘세상이…’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승우(53) 작가의 장편소설 ‘지상의 노래’가 올해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이 작가는 대산문학상, 동서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등을 수상한 문단의 중견이다. 조선대 교수로 후진도 양성하고 있다. ‘지상의 노래’는 인간 내면에 자리 잡은 폭력성, 구원에 대한 갈망 등을 치밀한 플롯으로 표현한 수작으로 평가받았다.
동인문학상 수상작 ‘지상의 노래’ 중 6장 ‘카다콤’이 자신의 소설 ‘허물’ 등을 표절했다는 게 김 씨의 주장이다.
“이승우 선생님이 동인문학상 수상 인터뷰에서 ‘‘지상의 노래’는 최소한 부끄러움이 없다. 이 작품으로 받아서 감사하다’고 말한 대목이 특히 가슴을 후볐다.”
김 씨는 2008년 단편소설 ‘보드게임’으로 ‘동양일보’ 신인문학상을 받았다. 올해 9월엔 ‘미노타우로스’로 천강문학상 소설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캐릭터, 모티프, 설정 유사
‘신동아’는 2013년 3월호에서 ‘지상의 노래’와 관련한 표절 시비를 보도한 바 있다(“표절시비 붙은 이승우 장편소설 ‘지상의 노래’” 제하 기사 참조).
지방지 문학상을 받고 등단한 작가는 으레 중앙지 신춘문예를 통해 재등단을 시도한다. 김 씨도 그랬다. 200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서는 최종단계에서 낙선했다. 당시 이 작가가 심사위원이었다. 이 작가는 심사평에서 김 씨의 소설 ‘허물’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미용사를 주인공으로 아름다움과 욕망, 혹은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이라는 문제를 꽤 집요하게 다뤘다. 낯선 소재에 대한 취재도 성실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주요인물이 만들어내는 갈등이 평면적이고 진부한 데다 같은 자리를 맴도는 듯한 서술의 지루함도 아쉬움을 주었다.”
김 씨는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때도 ‘허물’을 개작한 연작 형태의 중편소설 ‘핑크빛 허물’ ‘우로보로스’로 응모했다. 이승우 작가는 그해에도 심사위원을 맡았다.
김 씨 주장의 요지는 “이승우 작가가 신춘문예에 응모한 내 작품을 표절해 ‘지상의 노래’ 6장 ‘카다콤’을 썼다”는 것이다.
‘신동아’ 3월호는 김 작가의 소설과 ‘지상의 노래’를 비교했다. 주요 인물 캐릭터와 모티프 설정 등에서 나타난 유사점을 소개하면서 중립적 위치에서 김 씨의 주장과 이 작가의 견해를 게재했다. 또한 교수이면서 문학평론가인 K씨, 소설가 K씨에게 비교분석을 의뢰했다. 두 전문가의 견해는 다음과 같았다.
“신춘문예 때 텍스트를 한 번 읽고 내다버린 뒤 머릿속에 있었던 게 나온 수준이 아니라 ‘지상의 노래’를 쓸 때 그 텍스트를 가져다놓고 다시 읽으면서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모티프와 설정 등을 가져온 것은 분명해 보인다. 법적으로는 모르겠으나 도덕적, 윤리적으로는 문제가 상당하다. 문단에서 그런 일이 비일비재한 것으로 안다”(문학평론가 K씨)
“이승우 작가를 변호하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다. 언론계 은어를 빌리면 ‘우라까이’(남의 기사를 참조해 자신의 기사를 쓰는 행위)라고 봐야 할 듯하다.”(소설가 K씨)
‘신동아’는 3월호에서 김주욱 씨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이승우 작가의 의견을 200자 원고지 18매 분량으로 게재했다. 이 작가는 “참고, 참조한 적도 없다. 무의식적으로 표절했을 소지도 없다”고 밝혔다.
학술논문과 다르게 문학작품은 ‘표절이다’ ‘표절이 아니다’라고 양단하기 어렵다. 또한 모티프나 설정, 캐릭터 등은 우연의 일치로 비슷해질 수도 있다. 문학평론가 K씨, 소설가 K씨의 견해 역시 주관적인 것일 뿐이다.

이승우 장편소설 ‘지상의 노래’(왼쪽)와 김주욱 씨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응모한 작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