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애증의 섬 대마도

통신사 오가던 교린의 징검다리, 약탈과 정벌에 상처입은 갈등의 진앙

애증의 섬 대마도

1/6
  • 한국인의 역사에서 대마도는 무엇인가.
  • 일본인의 역사에서 대마도는 무엇인가.
  • 일본에 속해 있으되 한반도에 더 가까운 섬. 일본 방송은 하나밖에 안 나오지만 한국 방송은 난무하는 섬. 양국 사이에서 역사를 가로지르며 화평과 폭력을 매개하던 섬. 면암 최익현부터 왜구에 납치된 김개동에 이르기까지, 대마도 곳곳에 남아 있는 조선 백성들의 흔적을 찾아봤다.
애증의 섬 대마도

대마도 최북단에서 본 대한해협. 자위대 레이더 기지 너머로 부산과 남해안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

한말 풍운의 시대를 온몸으로 부딪친 의사(義士)의 이름이다. 일제에 항거하다 대마도로 유배되어 거기에서 단식 끝에 숨져간 꼬장꼬장한 유학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2004년 4월부터 시로 승격했다)에 있다. 섬에서 가장 오래고 큰 항구로, 이 섬의 ‘수도’라고 할 만한 이즈하라쇼(嚴原町)항의 절 슈젠지(修善寺)에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1907년 그가 순국했을 때 장례를 치른 절로, 1986년 한일 양국의 유지들이 뜻을 모아 비를 세운 것이다. 2005년 1월21일 필자가 이 절에 들렀을 때 비 앞에는 누가 바친 것인지 모를 몇 송이 꽃이 놓여 있었다. 비문도 새겨져 있었다.

‘최익현 선생은 대한제국의 위대한 유학자요, 정치가였다. 한말의 어려운 정세에도 소신을 굴하지 않고 애국 항일운동을 일으켜 일본 관헌에 의해 대마도로 호송되어 왔으며 여기에서 순국하셨다. 슈젠지 창건에는 백제의 비구니가 관여한 것으로 전해져 한국과는 인연이 깊다. 선생이 순국한 후 대마도 유지들이 유체(遺體)를 모시고 충절을 되새겨 제사를 올렸다. 이렇듯 유서 깊은 곳에 순국비를 세워 선생의 애국애족의 뜻을 기리고자 한다.’

자세히 보니 비문 한 켠에 일해재단이 기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촛불 훔쳐 성경 읽는다’는 것이 이런 것일까. 말썽 많던 5공화국의 일해재단이 한말 열사의 위령비 건립에 힘을 보탰다는 게 흥미롭다.



찾을 수 없는 죽음의 흔적

최익현이 대마도에 끌려온 것은 1906년 8월28일. 그는 이즈하라 언덕 위의 당시 대마도 수비대 영내에 갇혔다. 그리고 1907년 1월1일 숨을 거뒀다. 지금 그 자리엔 자위대 경비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역사학자인 이진희 와코대 명예교수와 함께 경비대를 찾아갔다. 혹시 영내 어딘가에 최익현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을까 싶어서였다. 영창이 있던 터가 남아 있거나 아니면 그의 죽음의 흔적을 기록한 비석이라도 있지 않을까….

초소의 경비병은 친절했다. 역시 준(準)전시상태인 한반도 군대와는 달랐다. 성큼 문을 열어주면서 우리가 타고간 렌터카가 진입할 수 있게 안내했다. 경비병의 명찰을 본 이 교수가 한마디를 건넨다.

“성씨가 아비루(阿比留)군요. 아비루는 대마도의 터주에 해당하는 오랜 내력의 성씨지요. 에도시대 대마도를 주름잡은 소(宗)씨 일가가 아비루씨를 제압할 때까지 이곳을 지배했지요. 소씨 일파는 원래 규슈에서 들어와 대마도를 장악했습니다.”

애증의 섬 대마도

이즈하라쇼 슈젠지에 있는 면암 최익현 선생 순국 기념비.

안내실에서 한참 구내전화를 주고받더니 홍보 담당장교 나가토메(永留)씨가 나왔다. 나가토메라는 성씨도 대마도에서는 흔한 성인 모양이다. 이 교수가 사학자 나가토메 선생을 아느냐고 물으니 먼 친척이라고 답한다. 역시 좁은 섬이다.

“글쎄요. 수비대 시절의 흔적은 별로 남아 있지 않고요, 당시 감옥 터가 어디였는지도 명확치 않습니다. 남아 있는 기록만으로는 누가 어디에 갇혀 있었는지 알 수 없고요. 최익현이 누구인지는 더더욱 모릅니다. 다만 옛 수비대의 외곽 석축을 보실 수는 있습니다.”

홍보담당 장교의 말이다. 다시 부대 밖으로 나왔다. 석축 앞에 비석이 하나 서있다.

‘1811년, 조선통신사에 대한 막부 접대의 지(地)’

17~18세기 무렵 에도(도쿄)를 다녀온 조선통신사는 300~500명에 이르는 대형 방문단이었다. 방문단을 이끄는 정사와 부사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서산사(西山寺·슈젠지의 맞은편)에 묵었다. 깃발을 들고 풍악을 울리는 일 등을 맡은 실무그룹은 이곳에 묵었던 것이다. 에도시대부터 관용으로 쓰이던 이 터가 개항무렵 군대주둔지가 되고, 그 군부대 영내에 최익현 일행이 투옥됐던 것이다.

‘천동설(天動說)적’ 애국애족

최익현은 1833년 12월5일 경기도 포천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재능이 뛰어나서 집안에서는 ‘기남(奇男)’으로 불렀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가 네 살 무렵부터 집안이 충청도 단양으로 이사하는 등 여러 군데를 전전한다.

1/6
김충식 동아일보 도쿄지사장 seescheme@donga.com
목록 닫기

애증의 섬 대마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