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이어 부동산(14.6%), 주식(12.6%),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9.1%), 기타(7.3%), 보험(2.7%)이 그 뒤를 이었다. 아무리 이율이 낮아도 안정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는 금융상품이 은행의 예·적금이라는 얘기다.
3월 9일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finlife.fss.or.kr)’에 따르면 정기예금 평균금리 중 세전 이자율이 가장 높은 상품은 광주은행의 ‘쏠쏠한마이쿨예금’이다. 이자율은 1.90%, 가입기간은 1년이다. 스마트폰으로만 100만 원 이상 가입할 수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가입하는 KDB산업은행의 ‘KDB Hi 정기예금’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도 1.70%로 이자율이 높은 편이다. 두 상품 모두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e-그린세이브예금은 전화(텔레뱅킹)로도 기입할 수 있다.
적금 상품 중에선 스마트폰으로 가입하는 광주은행 ‘쏠쏠한마이쿨적금’(2.0%)의 기본 금리가 가장 높다. 월 1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다. 우리은행의 ‘우리스마트폰적금’은 우리꿈통장으로 연결해 가입하면 0.2% 우대금리를 적용받아 연 2%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국내 최초로 일반 통장과 포인트 통장을 결합한 부산은행의 ‘MySUN포인트적금’은 기본 금리가 1.80%다. 롯데포인트인 L.point(엘포인트)를 적립하면 적금으로 자동 저축해준다. 모바일 통장 자동이체 8회차 이상 불입, 모바일 통장 기중평잔(적금가입기간) 30만 원 이상, 계좌이동 건수 2건 이상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최고 0.5%를 더해 2.30%까지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 전용상품으로 ‘썸뱅크 모바일 홈페이지(m.sumbank.co.kr)’에서만 가입할 수 있다.
스마트폰 게임하듯 소액 저축

[부산은행 썸뱅크 인터넷 홈페이지]
신한은행이 출시한 ‘한달애(愛) 저금통’은 하루 3만 원, 한 달 30만 원까지 1원 단위로 입금한 후 매달 적립금을 돌려받는 소액 입·출금 상품이다. 예를 들어 카페모카(4500원) 대신 아메리카노(2000원)를 마셔서 2500원의 차액이 생겼다면 아낀 만큼 저금통 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연 4% 금리를 제공하는 이 상품은 한 달간 모은 적립금을 매월 고객이 설정한 입금계좌에 자동 입금해준다. 입금된 자금은 다른 적금이나 펀드, 보험에 투자하거나 카드결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소액이라도 저축하는 습관이 몸에 배지 않으면 결실을 얻기 쉽지 않다. 저축 습관을 들이지 않은 젊은 층이라면 더욱 그렇다. 시중은행들이 선보인 스마트폰 전용 상품들은 마치 모바일 게임을 하듯 쉽게 돈을 모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게임하듯 돈을 모으거나 소액이라도 저축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KEB하나은행이 선보인 ‘셀프-기프팅(Self-Gifing) 적금’은 개인과 개인사업자를 가입 대상으로 하며 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적립 할 수 있다. 우대금리 항목을 충족할 때마다 고객이 직접 선물상자 코너에서 ‘금리 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금리가 올라간다.
금융상품에 게임 요소를 도입해 고객이 저축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했다는 점에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이 상품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은 ▲선물퍼즐 완성(연 1.0%) ▲신규손님 우대(0.5%) ▲추가거래 우대(0.5%) ▲친구추천 우대(0.3%) ▲자동이체 우대(0.3%) 등 총 5가지다. 하지만 최고 연 1.8%를 초과할 수 없다. 적용금리는 기본금리 연 1.1%에 우대금리 최고 연 1.8%를 포함하면 연 2.9%까지 가능하다.
KB국민은행의 ‘KB SMART★폰 적금’은 소비를 줄이고자 하는 항목의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금액만큼 출금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스마트폰 전용 예금이다. 계좌 잔액을 농장으로 표현해 얼마나 돈이 모였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데, 아이콘 적립으로 돈도 모으고 농장을 풍성하게 가꾸는 재미가 있다.
이 상품의 기본 금리는 1.3%이지만 상품 가입할 때 발급되는 추천번호를 다른 고객이 상품 가입 시 입력하면 0.1%포인트 우대이율을 제공한다. 추천번호를 제공하는 계좌와 추천번호를 입력한 계좌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내 아이콘을 눌러 저축한 횟수가 10회 이상이면 연 0.1%포인트, 20회 이상이면 연 0.2%포인트 우대이율을 준다.
이 상품들은 출시 이후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신한은행의 ‘한달애(愛)저금통’은 지난해 12월 기준 11만3167좌로 전년 대비 4만2157좌 증가했고, KB국민은행의 ‘KB내맘대로 적금’은 같은 기간 신규 금액이 180억 원에서 1930억 원으로 늘었다. 금리가 일반 예금보다 높은 데다 저축의 즐거움과 성취감을 부담 없이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