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를 시키지 않는다’가 50.8%, ‘과외를 시킨다’ 46.2%, ‘앞으로 시킬 예정이다’ 3%로 나왔다. 단순 통계만 보면 과외를 시키지 않는 국회의원이 더 많다. 하지만 여기에는 허수가 있다. 바로 국회의원 부부의 연령이다.
초등학생 89.8% 과외한다
연령별로 분석하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50세 미만에서는 과외 비율이 높게 나타나다가 50세 이상에서는 급격이 떨어진다. 즉 50세 이상의 경우 자녀가 대부분 대학을 졸업했거나 현재 대학 재학중이라는 얘기다.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경우만 따로 분석하면 과외 비율이 81%로 올라간다. 초등학교 89.8%, 중학교 83.3%, 고등학교 68.4%의 순이다. 한편 ‘과외를 시키지 않는다’는 16%, ‘앞으로 시킬 예정이다’는 3%였다.
한달에 자녀 1인당 평균 50만원 미만의 사교육비(과외비 포함)를 지출하는 경우가 전체의 89.4%를 차지했다. 30만원 미만이 63.6%, 30만원 이상~50만원 미만 25.8%,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7.6%,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2.3%, 200만원 이상 0.7%였다.
과외를 시키는 경우가 그러지 않는 경우에 비해 사교육비 비용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과외를 시키지 않는 쪽은 학원비 등으로 사교육비를 지출한다고 답변했다.
과외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게 분포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층간 위화감, 공교육 저해 등 피해가 많으므로 금지해야 한다’가 31.8%, ‘현행 학교교육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반드시 시켜야 한다’ 22%, ‘교육과정이 개선돼도 과외는 필요하다’ 15%, ‘남들이 다 하므로 어쩔 수 없이 한다’ 9%, 기타 의견 22%였다.
50대 미만은 과외 금지 우세
하지만 초·중·고 자녀가 있는 응답자만 분석하면 ‘반드시 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36.2%로 올라간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응답자는 40%, 중학생은 39%, 고등학생은 30%로 나타났다.
과외를 찬성하는 쪽에서는 ‘개인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필요하다’가 다수였으며, 반대하는 의견으로는 ‘고액 과외가 위화감을 조성한다’ ‘공교육 정상화에 힘써야 한다’ 등이 나왔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미만에서는 ‘과외 금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에서는 ‘반드시 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했다. 또한 현재 과외를 시키고 있는 사람들의 35.3%가 ‘반드시 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시키지 않고 있는 사람들의 40%는 ‘과외 금지’를 주장했다.
조기유학에 대해서는 무려 77%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조기유학에 찬성한다’고 답한 사람은 14%, 기타 의견이 9%였다. 이것은 답변자들이 조기유학에 대한 최근의 비판 여론을 의식한 결과로 풀이된다.
조기유학에 찬성한다는 의견으로는 ‘견문을 넓힐 수 있다’ ‘일찍 나가야 외국어를 제대로 배울 수 있다’ ‘선택의 자유를 막아서는 안된다’ 등이 있었다. 또한 반대 의견으로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상실할 수 있다’ ‘도피성 유학이 많다’ ‘부모가 없을 경우 탈선이 우려된다’ ‘외화낭비가 심각하다’ ‘사회적 위화감을 조성한다’ 등이 나왔다.
과외 여부와 비교 분석하면 과외를 시키는 사람들의 24.2%가 조기유학에 긍정적인 반면, 과외를 시키지 않는 사람들의 81.1%는 조기유학에 대해서 거부감이 큰 것으로 나타냈다.
자녀의 조기유학 시기에 대해서는 중학교가 50%로 가장 많고, 고등학교 40%, 초등학교 10% 순이었다. 하지만 이 질문에 답한 사람은 10명에 그쳤다.
이것은 최근까지 조기유학 자체가 불법이었던 한국 현실을 감안, 응답자들이 소극적으로 답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행 법상 조기유학은 중학교 졸업자부터 가능하다. 하지만 3개월 전만 해도 고등학교 졸업자에게만 유학이 허용됐다. 이런 까닭에 유학을 가기 위해서는 자퇴를 하거나, 외국에서 장기 체류하는 등의 편법을 써야 했다.
조기 유학을 보낸 나라는 미국이 69.6%를 차지했다. 이 밖에 영국(8.7%), 캐나다(6.5%), 호주(4.3%), 뉴질랜드(2.2%) 등으로 영어권 국가가 전체의 91.3%로 나타났다. 조기유학자의 상당수가 영어를 배우기 위해 떠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 일본 2.2%, 기타 6.5%로 조사됐다.
조기유학 시기에 대한 답변자가 10명인데 비해, 조기유학 국가에 대해서는 46명이 응답했다. 이것은 답변자가 조기유학과 일반유학을 혼동한 데서 온 결과로 보인다.
조기유학 규제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가 41.7%인 반면 ‘규제를 완화해 초등학생까지 확대시켜야 한다’는 12.1%에 그쳤다. 조기유학을 전면적으로 허용하는 것에는 다소 부정적인 셈이다. 이 밖에 ‘관심없다’ 12.1%, 기타 의견 34.1%였다.
기타 의견도 두 부류였다. 조기유학에 긍정적인 쪽은 ‘법에 융통성을 두어야 한다’ ‘원하는 사람에게 공부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주장을 폈고, 부정적인 쪽에서는 ‘재능도 없이 입학하는 사람들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조기 유학에 찬성하는 사람의 38.9%는 ‘초등학생까지 허용해야 한다’고 답했고, 반대하는 사람의 51.7%는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기 해외연수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엇비슷해 ‘찬성’ 53%, ‘반대’ 47%였다. 찬성 이유로는 ‘시야가 넓어진다’ ‘새로운 동기가 생긴다’ ‘문화적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방학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등이 나왔다. 반대 의견은 ‘투자에 비해 효과가 없다’ ‘짧은 기간에 얻을 게 없다’ ‘계층간 위화감을 조성한다’ ‘돈만 쓰고 올 뿐이다’ 등이었다.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응답자만 따로 분석하면 찬반의 비율이 역전된다. 반대가 54.4%, 찬성은 44.6%다.
과외 여부와의 관계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과외를 시키는 사람의 57.6%는 단기 해외연수에 반대했다. 반면 과외를 시키지 않는 사람의 57.9%는 찬성했다. 이것은 초·중·고등학생들의 과외와 단기 해외연수가 갖는 현실적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과외는 입시교육의 부산물이고, 해외연수는 어학공부가 주목적이다.
응답자의 과반수는 유학중인 자녀가 외국 국적이나 영주권을 취득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찬성 52.3%, 반대 47.7%였다. 이것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와 비교되는 결과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