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아직도 야구 ‘보냐?’ 우리는 야구 ‘한다!’”

야구팀 1만1000개, 소속 선수 11만명 사회인 야구단 열풍

“아직도 야구 ‘보냐?’ 우리는 야구 ‘한다!’”

2/4
“아직도 야구 ‘보냐?’ 우리는 야구 ‘한다!’”

사회인 야구단 ‘지원사랑’의 감독을 맡고 있는 배우 박철민씨(오른쪽)와 동료 선수들.

‘지원사랑’이라는 이 팀의 명칭은 배우 엄지원(34)씨의 이름에서 따온 것. 2007년 개봉한 야구영화 ‘스카우트’의 배우·스태프들이 의기투합해 지인들과 더불어 만든 야구단이기 때문이다. 당시 주연배우였던 엄씨는 기꺼이 이름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지원사랑’ 구단주도 맡고 있다. 박 감독은 “‘스카우트’가 평론가들 반응은 꽤 좋았는데 흥행에 참패했다. 그때 함께 작업한 김현석 감독과 엄지원씨, 나 세 사람이 술을 마시다 야구단을 만들자고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창단 첫해 6위를 기록하며 리그 플레이오프전에 올라간 ‘지원사랑’은 뒷심을 발휘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도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며 순항 중이다.

리그 단위로 치열한 우승 경쟁

“아직도 야구 ‘보냐?’ 우리는 야구 ‘한다!’”

유니폼을 갖춰 입은 사회인 야구단 선수들.

국민생활체육회 산하 전국야구연합회(이하 연합회) 측에 따르면 사회인 야구가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건 20여 년 전. 그러나 베이징올림픽 전까지 연합회에 등록된 사회인 야구단 수는 전국적으로 2640개 팀, 등록선수는 6만6000명이었다. 이후 폭발적으로 늘기 시작해 현재는 5200개 팀, 10만여 명의 선수가 등록돼 있다. 연합회가 주최하는 전국 규모 대회는 국민생활체육회장기배,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배 등 12개가 있고 대회마다 약 30개 팀이 출전한다.

사회인 야구단이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이는 리그는 1년을 기준으로 운영된다. 2~3월경 소속 팀 모집이 끝나면 시즌이 개막되고 그해 10~11월이면 막을 내린다. 사회인 야구단 중 특정 리그에 소속돼 활동하는 팀은 약 6000~7000개로 추산되는데, 리그 소속 팀은 연간 12~14게임을 뛰게 된다.

전국에 있는 1만1000개 정도의 야구단 가운데 절반 정도만 리그에 소속될 수 있기 때문에 리그에 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일정 수준의 야구 실력을 갖추지 못하면 리그 등록은 꿈도 꾸지 못한다. 지난해 5월 한 인터넷 쇼핑몰이 주최한 사회인 야구대회의 경우 128개 팀 선정에 6400여 개 팀이 지원해 5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사회인 야구단 사이에서는 “리그 우승보다 리그 참여가 더 어렵다”는 푸념이 나올 정도다.



사회인 야구단은 동창, 인터넷 동호회, 직장 동료, 친구와 지인 등 다양한 인맥을 중심으로 결성된다. 문인 야구단, 국회의원 야구단, 연예인 야구단, 시니어 야구단, 장애우 야구단, 여자 야구단 등 면면도 다양하다. 최소 10명의 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이들은 야구 관련 카페 등을 통해 선수 영입에 나서기도 한다.

사회인 야구단 전용 야구장인 인천 IPA볼파크 김대웅(34) 대표는 “우리 리그 소속 팀은 50개로 주말마다 경기를 치른다. 가끔 번외경기로 리그에 속하지 않은 일반 팀에도 경기장을 대관하는데 그때 보면 사회인 야구가 각계각층에서 얼마나 큰 인기를 끌고 있는지 실감한다”고 했다. 그가 소개한 일화 한 토막. 어느 날 조직폭력배로 구성된 야구팀이 구장을 대관했다. 경기 도중 비교적 매너 있게 굴던 이들은 타석에 선 ‘형님’이 상대 투수의 공에 맞는 순간 전부 그라운드로 달려 나와 ‘형님 괜찮으시냐’며 수선을 피웠다. 이후 경기 진행 내내 심판도, 상대 팀도 엄청 떨었다.

땀 흘리는 쾌감, 승부의 짜릿함

사회인 야구단에서 뛰는 선수들의 나이는 주로 30~40대. 1980년대 초 프로야구가 출범하면서 아버지 손에 이끌려 야구장을 찾았던 아이들이 이제 아버지 세대가 돼 그라운드를 누비는 셈이다. 프로야구뿐만 아니라 청룡기와 봉황대기 등 고교야구 열기도 뜨거웠던 그 시절 동대문운동장과 잠실야구장을 찾아 열광하던 이들에게 야구는 잊지 못할 추억과 향수의 대상이다. 김 대표는 “젊은 아빠들은 과거 자신의 아버지가 그랬듯 자녀들을 야구장에 데려온다. 하지만 이제는 나란히 앉아 관람하지 않고 자신이 선수로 뛰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사회인 야구 마니아들은 “선수가 되어 직접 몸으로 부딪히는 야구는 ‘보는 야구’보다 훨씬 재미있고 매력적이다”라고 입을 모은다. 2000여 개의 팀을 회원으로 둔 전국사회인야구연합회 회장이자 사업가인 성상민(39)씨는 대구 지역 야구단 ‘마당놀이’에서 2루수와 유격수로 뛰고 있다. 그는 “시합을 앞둔 금요일 밤은 잠을 못 잔다. 주말이 지나면 월요일 아침부터 다음 주말을 기다린다. 안타 치는 순간의 짜릿함, 안타성 타구를 잡아냈을 때의 희열에 빠지면 거의 중독 수준이 된다”고 했다.

2/4
박은경| 신동아 객원기자 siren52@hanmail.net
목록 닫기

“아직도 야구 ‘보냐?’ 우리는 야구 ‘한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