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부터 소개할 스테판 브라우닝이라는 사람은 일찍이 1870년대부터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한 거리에서 전당포를 경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직업적 환경에 타고난 꼼꼼함까지 더해진 메모광(狂)이었습니다. 날이 가고 해가 갈수록 그의 메모장도 두꺼워졌는데, 그가 사망한 1939년 무렵에는 창고의 한쪽 구석에 최소한 3m 높이로 쌓여 있었다는군요.
오래 전부터 이 메모의 가치에 대해 흥미를 갖고 있던 그의 조카 패트릭 워드는 스테판 브라우닝이 사망한 뒤 일가친척의 승낙을 얻어 창고에 들어가서 거의 반년이라는 세월을 보내며 쌓여 있던 메모와 격투를 벌입니다. 훗날 ‘에든버러타임스’의 편집장을 지낸 패트릭은 브라우닝의 메모야말로 당시 시민생활을 엿볼 수 있는 최고의 ‘이면사’를 남겼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결국 브라우닝의 메모에서는 상상하기 쉽지 않던 세상의 그늘이 확인됩니다. 상류계급 고귀한 가문의 후손이 겉으로 드러난 훌륭한 행동과는 달리 조상 대대로 물려져 내려오던 가보를 심야에 몰래 저당잡히기도 했고, 여행 도중에 돈이 떨어져 곤경에 처한 네덜란드의 왕후가 평범한 여자로 가장해 그의 점포에 왔던 사실도 밝혀집니다.
전당포 주인과 엘리트 관료
이처럼 메모광이었던 스테판 브라우닝은 전당포 주인이었을 뿐 아니라 주위로부터 어이없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심각한 골프광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골프를 할 때도 그날그날의 게임 내용은 물론 날씨, 승패의 향방, 동반 경기자의 인물평까지 거의 모든 것을 망라해 세밀한 관찰력으로 생생하게 기록해두었습니다. 조카인 패트릭은 그 메모들 가운데 의외의 사실 하나를 발견하고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세상에 소개합니다.
골프는 심판이 없는 경기다. 이 때문에 골프에서는 남을 속이는 행위가 가장 심한 경멸을 받곤 한다. 영국 왕 제임스 2세는 볼의 라이를 건드려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거나 스코어를 줄여 신고하는 행위는 “사형에 처해져야 한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어떠한 변명도 용인되지 않는 중죄인 것이다.
브라우닝은 참지 못하고 다그쳤다.
“포터씨! 당신은 지금 볼의 라이를 건드렸어요. 이전에 같이 라운드할 때에도 클럽 끝으로 교묘하게, 적어도 세 번이나 라이를 건드리더군요. 저는 오늘도 당신이 그렇게 하는 것을 눈으로 똑똑히 보았습니다.”
그 무렵 잉글랜드는 스코틀랜드에 대해 대담한 세제개혁을 단행하고 있었다. 예측할 수 없는 사태에 대비해 런던으로부터 수많은 관리가 스코틀랜드에 파견되던 시대였다. 포터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한낱 시중의 전당포 주인이 엘리트 관료에게 시비를 건 셈이었다.
“당신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소? 전당포 주인인 주제에 건방지게시리…. 어디 증거라도 있소? 그렇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소.”
“그렇다면 말씀드리지요. 우선 당신은 지금 ‘전당포 주인인 주제’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골프라는 경기는 신분이나 지위에 따른 차별 따위는 불허하고 있습니다. 클럽하우스에 들어오기 전에 지위와 신분은 밖에 두고 와야 하는 것입니다. 당신은 저와 대등한 골퍼에 지나지 않습니다. 당신은 신분과 지위가 골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무엇보다도 위세 부리는 태도야말로 골프가 자랑하는 ‘평등의 정신’에 크게 반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