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서평

서양사 ‘벨 에포크’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 글: 표정훈 출판평론가 medius@naver.com

서양사 ‘벨 에포크’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1/2
서양사 ‘벨 에포크’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b>‘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b><br> 스티븐 컨 지음/박성관 옮김/휴머니스트/768쪽/3만원

한시대의 전체 모습을 밝혀 보려는 열망은 모든 역사학자의 꿈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어느 특정 시대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려는 시도는 좌절되기 쉽다. 활용할 만한 사료(史料)가 극히 제한적일 뿐 아니라 그 사료 중 일부를 취사선택하는 과정에 역사학자 나름의 관점이 개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꺾이기 십상인 꿈을 향한 역사학자들의 도전. 이런 의미에서 역사학자들은 밀랍으로 붙인 날개를 달고 하늘 높이 날아오르려다 끝내 태양열에 녹아내려 추락하고 만 신화 속 인물 이카로스의 후예다.

역사학자 스티븐 컨의 저서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은 바로 이카로스의 후예가 만든 날개라 할 수 있다. 그 후예가 택한 방법은 일단 영리하다. 인용만으로 이뤄진 책을 쓰고 싶어했다는 발터 벤야민이 했던 것과 유사하다. 문학, 미술, 영화, 사진, 군사, 음악, 철학, 기술, 심리학, 물리학, 건축, 천문학 등 무척이나 다양한 인간의 지적, 심미적, 기술적, 사회적 활동 및 그 성과들을 자유자재로 적재적소에 인용, 배치했기 때문이다. 박사(博士)라는 말에서 ‘박’을 글자 그대로 ‘넓다’로 풀이한다면 스티븐 컨은 명실상부한 박사가 아닐 수 없다.

근본적인 구조가 바뀐 시기

그런데 문제는 ‘일이관지(一以貫之)’다. 잡다해 보일 정도로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종횡으로 주유하는 저자가 도대체 무엇을 실마리로 삼아 어떤 것을 밝히려 했느냐는 것이다. 제목에 실마리가 있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1880∼1918년이라는 시기. 저자의 말을 들어보자.

“모든 경험은 반드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범주는 광범위한 문화적 발전 양상들, 예를 들어 입체파, 동시적인 시(詩), 그리고 래그타임 음악(당김음의 효과를 강조한 흑인음악 양식으로 재즈 음악의 시초다)은 물론이요 증기선, 마천루, 기관총까지 모두 함께 담아낼 수 있는 포괄적인 틀을 제공해준다.”



왜 하필 1880∼1918년인가. 1880년부터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의 시기를 이른바 ‘벨 에포크(belle 럓oque)’, 즉 아름다운 시절이라 부르곤 한다. 사상 초유의 세계대전의 참화를 겪기 전 시대에 대한 향수가 개입된 표현이다. 그리고 4년 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은 끝났다.

저자는 이 시기에 전화, 무선통신, X선, 영화, 자동차, 비행기 등 과학기술 부문의 혁신은 물론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정신분석, 입체파, 상대성이론 등 학문과 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양상이 대거 등장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요컨대 저자는 이 시기에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새로운 관념, 즉 근대적 시간과 공간 개념이 형성됐고, 이로 인해 인간이 세계를 경험하는 근본적인 구조가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근본적으로 구조가 변화한 구체적인 사례에 어떤 것이 있을까? 중세 이후로 모든 것은 각각에 합당한 제 자리가 있으며 그 자리는 고정불변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그런 인식을 무너뜨렸다. 전화를 한 예로 들 수 있다. 전화는 공간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과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라는 구분, 즉 물리적·지리적 거리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더구나 그것은 사회 계층적 구분에도 균열을 불러일으켰다. 전화번호만 알면 누구든지 누구에게나 전화를 걸어 통화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시간과 공간의 구분선과 위계질서가 흔들리는 일대 계기였다.

미술은 또 어떤가. 미술의 입체파는 여러 시점에서 바라본 대상의 내부와 외부를 하나의 화폭에 펼쳐놓았다. 전통적인 회화의 제약을 뛰어넘은 것이다. 흥미롭게도 그러한 입체파의 특징은 카무플라주, 즉 위장술에서도 볼 수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전장에 군용 트럭은 배경과 구별하기 힘들게끔 카무플라주를 입고 등장했다. 전경과 배경, 내부와 외부의 명확한 구분은 가뭇없이 사라져버렸다. 이에 대해 저자는 이렇게까지 말한다.

“제1차 세계대전을 입체파적인 은유로 해석할 수도 있다.”

문학도 예외는 아니다.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객관적 시간과 다른 속도로 진행되는 ‘사적인 시간’을 서술했다. 누구에게나 균질하고 동일하며 보편적인 시간이 무너지고 다양한 사적인 시간들이 갈마들고 겹치는 양상이 시작됐던 것이다.

철학적으로는 앙리 베르그송이 그러한 시간을 탐구했다. 양적이고 물리적이며 기하학적인 시간이 아니라 인간 의식의 흐름으로서 시간을 천착했던 것이다.

우리 시대를 그려보려는 노력

그밖에도 작가 제임스 조이스가 ‘율리시즈’에서 시도한 몽타주 기법은 영화 분야에서 시간과 공간을 조작하는 몽타주 기법과 상통한다. 몽타주 기법은 현실적인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을 무시하고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관념들 혹은 개별 사건이나 장면, 아이템들 사이의 결합을 강조한다. 이렇게 본다면 사실 스티븐 컨의 이 저서야말로 몽타주 기법을 차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2
글: 표정훈 출판평론가 medius@naver.com
목록 닫기

서양사 ‘벨 에포크’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