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경영’ 조타수 장병주 전 (주)대우 사장, 처음으로 입 열다

“김우중은 관료들이 조종하는 채권단에 당했다”

‘세계경영’ 조타수 장병주 전 (주)대우 사장, 처음으로 입 열다

1/7
  • 1998년 기업어음·회사채 발행 제한은 누가 봐도 대우 겨냥한 조치
  • 1999년 7월 대우가 발표한 구조조정 계획은 금감위가 써준 것
  • 세계경영이 부실? 누가 공장설립부터 100% 가동하나, 그건 마술
  • 기업 살리는 데는 경제 관료보다 판사가 나았을 것
  • 급속도로 성장한 기업은 대부분 분식(粉飾)
‘세계경영’ 조타수 장병주 전 (주)대우 사장, 처음으로 입 열다
“차나 한잔 하고 간다면…” 하는 전제로 만난 자리였기에 취재수첩을 꺼낼 수 없었다. 마주앉은 사람은 장병주(張炳珠·61). 그는 1998년 1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그러니까 금융위기 이후 대우그룹이 본격적으로 자금 압박을 받을 때부터 해체될 때까지 그룹의 모태인 (주)대우의 사장을 지냈다. 장 전 사장은 김우중 전 대우 회장을 제외하면 가장 오랫동안 대우에 근무했으며, 또 하고 싶은 말이 가장 많았을 사람이다.

갑작스러운 그룹 해체, 회장의 해외 도피, 이어진 채권단의 고발, 수감 생활, 세 번의 재판을 거치고 나니 6년의 세월이 훌쩍 지나갔다. 그의 손에 쥐어진 것은 3조1000억원의 추징금 통지서뿐이다. 물론 그만 고통을 당한 것은 아니다. 이상훈 전 (주)대우 전무는 추징금이 21조원에 달했다. 대우에 인생을 걸었던 수많은 대우맨의 고통은 또 얼마나 되는가. 한번쯤, 대우 패망의 원인을 털어놓고, 도피한 ‘주군’을 위해 변명이라도 할 법했지만 그는 그러지 않았다.

그의 말대로 “살다보면 자기 뜻대로 안 되는 게 더 많다”는 숙명론적인 태도 때문일 것이다. 국민이 대우그룹을 ‘금융위기의 주범’이자 재벌 경영의 폐단을 드러낸 ‘죄인’이라고 보는 점도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사정이야 어떻든 그가 (주)대우 대표이사로서 실정법을 위반한 명백한 사실 역시 입을 무겁게 했을 것이다. 주위 변호사들의 권고도 한몫 했을 것이다. 누구라도 꺼내보기 싫은 과거를 낯선 기자에게 털어놓고 싶진 않았을 것이다. “다음에 차분하게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한 그의 부탁을 결과적으로 들어주지 못했다.

“각오하고 들어왔는데 뭘 후회해요?”

대우그룹은 1999년 해체될 때까지 32년 동안 한국경제를 견인했다. 재계 2위까지 올랐던 그룹은 그러나 하루아침에 망했고, 여기엔 숱한 우여곡절이 있었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 대우 사람들은 입을 열지 않았다. 해체에 관여한 당시 경제 관료들 역시 입을 다물고 있다. 간헐적으로 인터뷰가 실렸지만, 정작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무엇이 진실인가. 1998년 7월 대우그룹 자금 압박부터 1999년 10월 김우중 전 회장의 해외 도피까지 1년3개월 동안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정부 고위 관료들은 그에게 어떤 약속을 하며 도피를 권유했는가. 관료들을 불신하며 법정관리까지 검토하던 김 전 회장은 왜 결국 무릎을 꿇었는가. 대우는 1997년 금융위기의 주범이었나, 희생자였나. 장병주 전 사장과 두 시간 남짓 나눈 대화는 이런 물음을 풀어가는 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

-김우중 전 회장이 요즘 귀국한 것을 후회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식구들 입에서는 그런 얘기가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안됐잖아요. 몸 상태도 안 좋고…. 회장 본인은 그렇지 않을 거예요. 다 각오하고 들어왔는데, 지금 와서 뭘 후회합니까. 우리 처지에선 귀국이 조금 빨랐으면 했는데….”

1/7
박성원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parker49@donga.com
목록 닫기

‘세계경영’ 조타수 장병주 전 (주)대우 사장, 처음으로 입 열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