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 첫날 만찬장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오른쪽)과 이종석 NSC 사무차장.
●장면2. 정부 실무부처의 한 과장급 당국자는 이보다 조금 앞선 4월 중순, 즉 정상회담 개최가 아직 확정되기 전에 “미국이 수개월 전에 정상회담을 제의했지만 청와대가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례적인 것은 이 이야기를 한 사람이 주한미군 관계자였다는 것. 청와대에 대한 서운함을 실무부처 사람에게 털어놓는 것도 이상한 일이지만, 이를 대사관이나 행정부 인사가 아닌 주한미군 관계자가 한다는 것 또한 전에는 보지 못한 일이었다.
●장면3. 역시 5월 중순, 안보분야에서 명망이 높은 예비역 장성도 비슷한 이야기를 들었다. “이종석 차장이 미국의 정상회담 제의를 뭉갰다”는 내용이었다. 이 장성은 “펜타곤의 의중이 궁금하면 그에게 물어보라”고 할 정도로 이전부터 미 국방부·합참 관계자들과 두터운 친분을 유지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런 말이 흘러다니는 것 자체가 의미심장한 일이라고 생각한 그는 가까운 옛 동료에게 관련내용을 들은 적이 있는지 확인해보기도 했다.
‘월간조선’, “4월 조사는 정상회담 관련”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같은 내용의 이야기가 오가자 외교안보 실무부처 일각과 정치권은 술렁이기 시작했다. 말이 많으면 결국은 세상에 나오게 마련. 6월 중순 발매된 ‘월간조선’ 7월호는 ‘이종석은 부시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제안을 묵살했다’라는 톱기사를 통해 “1월 말 미 NSC는 이종석 차장에게 정상회담을 제안하는 문건을 전달했으나 이 차장은 이를 정동영 통일부 장관 겸 NSC 상임위원장에게 보고하지 않고 뭉갰다”고 보도했다.
사실 이러한 내용은 5월18일자 ‘내일신문’에 간략하게 언급된 적이 있다. 5월 중순 전략적 유연성 문제 처리와 관련해 NSC와 이 차장에 대해 두 차례의 ‘조사성 회의’가 열렸다는 사실이 공개된 직후였다. ‘내일신문’은 ‘‘이종석 삼면초가’ 진원지는 미 국방부 한미동맹 협상팀’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 2월 초 부시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이 캠프 데이비스에서 정상회담을 여는 문제에 대해 미국 NSC측이 한국 NSC에 협의를 요청한 바 있다. 한국측의 답변이 없자 2월말 미 국방부 라인에서 한국 외교팀에 ‘이 차장이 뭉개고 있는 것 아니냐’며 의문을 제기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