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총력특집 | ‘X-파일 사건’ 핵심 3인방 증언

‘X-파일 제작자’ 공운영 전 안기부 미림팀장 검찰진술

“대통령 빼고는 다 도청 대상이었다…폭우 속에 국정원 내쫓기던 날 피눈물 흘려”

  •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X-파일 제작자’ 공운영 전 안기부 미림팀장 검찰진술

1/5
  • “미림팀 출신 6~7명 현재도 국정원에 재직 중”
  • “미림팀 훨씬 이전인 중앙정보부 창설 때부터 도청 시작”
  • “국정원 직원들에게 도청 사실은 공공연한 비밀”
  • “DJ 정권 초기 호남 출신 득세하고 ‘살생부’ 나돌아 반출 결심”
  • 274개 미공개 테이프, 쓸 만한 건 적다?
‘X-파일 제작자’ 공운영 전 안기부 미림팀장 검찰진술

공운영 전 안기부 미림팀장.

지난해 터진 ‘X-파일’ 사건은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정리하면 이렇다.

2004년 재미교포 박인회씨가 MBC 이상호 기자에게 옛 국가안전기획부 도청 테이프와 녹취록을 제공했다. 그 안에는 1997년 이학수 삼성전자 부회장(당시 삼성기업구조조정 본부장)과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의 대화 내용이 들어 있었다.

MBC가 수개월째 보도를 미루고 있던 상황에서 2005년 7월21일 ‘조선일보’는 국가정보원이 미림팀을 구성해 주요 인사들을 조직적으로 불법 도청해왔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그러자 다음날 MBC는 이른바 X-파일 내용을 자세하게 보도했다.

이후 검찰은 공운영 전 안기부 미림팀장에게서 공개되지 않은 도청 테이프 274개 등을 압수했다. 검찰은 김대중 정부 때도 국정원이 주요 인사들을 도청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신건 전 원장 등 당시 국정원 관계자들을 기소했다.

X-파일 제공자인 박인회씨는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공갈미수 혐의로 구속돼 징역 1년2개월형을 선고받고 복역하게 됐다. 공운영씨도 1년6개월형이 확정됐다. 이상호 기자는 통신비밀보호법 위반혐의로 검찰에 의해 기소됐으나 2006년 8월11일 서울지법에서 무죄판결을 받았다.



“휴일 없는 근무 탓에 기피 부서”

공운영(孔運永·58) 전 안기부 미림팀장은 ‘X-파일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검찰이 압수한 274개의 미공개 도청 테이프와 13권의 녹취록을 제작한 당사자다. 검찰과 국정원은 X-파일 수사 결과를 지난해 발표했다. 그러나 이 발표로 국정원 도청의 실태가 모두 밝혀졌다고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공 전 팀장의 검찰 진술 내용을 살펴보기로 했다.

공 전 팀장은 검찰에서 안기부의 불법 도청과정을 생생히 밝혔다. 그의 진술은, 그의 발언을 정제해서 전달한 사정기관의 발표와는 다른 느낌을 준다. 같은 내용이라도 도청을 수행한 사람이 직접 말하는 경험담이 더 믿음을 줄 수 있다. 국정원측 처지를 고려해 ‘뺄 건 뺀 것’이 아니라서 도청조직 운영실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 전 팀장은 국가기관에 소속된 직원이면서도 ‘거물급 인사 불법도청’이라는 매우 특별한 업무를 수행했다. 그런 업무를 하면서 그가 무슨 생각을 했는지도 알아봤다. 공 전 팀장이 불법 도청 자료를 몰래 복사해 국정원을 나온 순간 이미 X-파일 사건은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이 때 그가 느낀 격정과 인간적 고뇌는 특히 눈길을 끈다.

미림팀은 2차에 걸쳐 운영됐다. 1991년 9월부터 1993년 7월까지가 1차, 1994년 6월부터 1997년 11월까지가 2차다.

1차 미림팀은 노태우 대통령 재임 때인 1991년 9월 안기부 국내수집 담당국장의 지시로 공운영씨 주도하에 4명으로 편성됐다. 1992년 초부터 도청활동이 본격화됐다. 공씨는 안가에서 녹음테이프를 풀어 보고서를 작성한 뒤 담당 과장에게 보고했다. 대상은 주요 정치인과 주변 인사였다. 그러나 대선 정국이던 1992년 12월 활동중단 지시가 내려졌다. 대선이 끝난 뒤 녹음테이프 40여 개는 청사내 소각장에서 소각했으며 미림팀은 1993년 7월 해체됐다.

1/5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X-파일 제작자’ 공운영 전 안기부 미림팀장 검찰진술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