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만들기 올인 ’ 손익계산서

안보리 진출 연기, 國際線 기금 부과, 막대한 외교자원 투입…

  • 황일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만들기 올인 ’ 손익계산서

1/5
  • 지난 2월 유엔 사무총장 출마를 선언한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최고의 외교관’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각국의 지지를 받으며 10월초로 예상되는 최종결정을 향해 순항 중인 그에게 정부는 광범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몇 가지 결정사안에 대해 국민적 동의 확보나 전략적 고려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제기되는데…. 과연 유엔 사무총장은 어떤 자리이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보이지 않는 국익’의 실체는 무엇인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만들기 올인 ’  손익계산서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 유엔 사무총장은 사무국 7000여 직원과 전문기구 5만여 직원을 지휘·감독하는 막강한 자리다.

9월4일 새벽, 청와대와 외교통상부를 발칵 뒤집는 기사가 뉴스를 장식했다. 교도통신, 산케이신문, 도쿄신문 등 일본의 주요 언론이 ‘매우 민감한’ 내용을 보도한 까닭이었다.

“지난 8월초 일본을 방문한 반기문 외교부 장관이 일본의 차기 총리로 유력시되는 아베 신조 관방장관을 만나 한일 정상회담 재개에 응할 용의가 있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전달했다.”

지난해부터 독도와 역사왜곡 문제로 대일외교에서 ‘외교전쟁’에 가까운 강경노선을 유지해온 정부 분위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었다. 외교부는 이날 오전 긴급하게 해명자료를 냈다. 일본 언론의 보도내용을 부인하는 내용이었다. 그 요지는 이러했다.

“반 장관이 8월9일 하시모토 총리 장례식 조문사절로 방일한 계기에 아베 장관을 만나 한일 관계의 어려움과 갈등요인이 빠른 시일 내에 해소돼 한일 정부간 정상적인 교류가 재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것은 맞다. 그러나 한일 정상회담 개최나 일본 차기 총리의 방한 등에 관해 언급한 바는 없다.”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청와대의 움직임도 분주했다. 무엇보다 노 대통령 본인의 진노가 컸다는 후문. 청와대 관계자들 역시 ‘정상회담’이라는 말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상적인 교류 재개’ 의사만 해도 문제가 있다는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그간의 강경 분위기를 주도해온 한국 정부가 먼저 화해의 제스처를 내보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뿐더러, 무엇보다 청와대의 최종 재가를 거치지 않은 의사 전달이었다는 것이다.



청와대의 분노가 전해지자, 당국자들 사이에서는 반 장관이 굳이 ‘앞서 나간’ 메시지를 전달한 이유가 무엇인지 다양한 해석이 쏟아져 나왔다. 우선은 본질적으로 대립보다 협조관계를 선호하는 직업외교관 특유의 마인드가 반영된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다소 음모론적인 시각으로는, 일본이 다가오는 유엔 사무총장 선거에서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투표권을 갖고 있음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흘러나온다. 일본은 사무총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10월에 순번에 따라 안보리 의장국을 맡는다.

1/5
황일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목록 닫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만들기 올인 ’ 손익계산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