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30년 경력 호텔리어가 털어놓은 서울 특급호텔 野史

낮엔 ‘제2 국무회의장’, 밤엔 ‘야화(夜花)’ 들의 밀실

  • 최영수 SR레저개발(주) 대표이사 0319ysgd@hanmail.net

30년 경력 호텔리어가 털어놓은 서울 특급호텔 野史

1/5
  • 서울시내 호텔, 정치권력과의 유착으로 급성장
  • 박정희, 혁명자금 대준 인사에 호텔 지을 땅 내줘
  • 일본 최고 호텔 지배인 빼내와 지은 신라호텔
  • 김우중, 美 재무장관 설득으로 ‘힐튼’ 상호 써
  • 아프리카 대통령 객실로 들여보낸 미모의 탤런트
  • 외도한 장관, “벗어둔 속옷 찾아내라”
  • 노태우·김대중·김영삼, 호텔 사우나에서 ‘나체 회담’
30년 경력 호텔리어가 털어놓은 서울 특급호텔 野史
특급호텔은 부와 명예, 자본주의의 상징이다. 또한 이면의 역사가 흐르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의 호텔이 어떠한 과정으로 현재의 상황에 이르게 됐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필자는 1978년 서울 하얏트호텔에 취업한 이후 인천 송도비치호텔 사장, 서울 뉴월드호텔 사장, 대학 호텔경영학과 겸임교수 등으로 일하며 지금까지 28년간 줄곧 호텔과 인연을 맺고 있다. 이에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호텔과 호텔리어 117년 역사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만주로 가는 열차식당 풍경

한국 최초로 등장한 근대식 호텔은 1889년 인천 서린동에서 개관한 대불호텔이다. 그러나 서양식으로 세워진 호텔은 1902년 서울 정동의 손탁호텔을 효시로 본다. 1909년에는 고종 황제가 프랑스 여성에게 희사한 하남호텔(이화여고 정문 앞)이 개업했다.

나라를 빼앗긴 뒤인 1912년 일제가 부설한 경의선 철도를 중심으로 부산 철도호텔과 신의주 철도호텔이 문을 열었다. 조선호텔은 1914년 개관했다. 북한 지역에서는 1915년 금강산 온정리에 금강호텔, 1918년 내금강에 장안사호텔, 1922년 평양에 유옥호텔이 설립됐다.

일제 강점기의 호텔리어 사이에는 규율과 기강이 대단했다. 당시 신의주 철도호텔은 한국에서 만주로 가는 열차식당을 운영했는데, 이 식당의 캡틴은 강모씨(후에 서울 C호텔 커피숍 지배인 역임)였고, 최모씨(후에 서울 N호텔 총지배인 역임)는 그의 밑에서 일했다. 최씨는 그후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강씨를 만나면 ‘수장님’이라고 깍듯이 호칭했다.



당시 열차식당에서는 햄버거스테이크가 손님들에게 가장 인기였는데, 호텔측은 이를 ‘개떡’이라고 불렀다. 열차식당에서 일하는 일부 호텔 직원들은 고기 대신 밀가루를 규정보다 더 많이 섞는 방식으로, 원래 100개를 만들도록 한 햄버거스테이크를 120개로 늘려 만들었다. 이를 적발하기란 쉽지 않았는데, 이런 식으로 직원들이 챙기는 수입이 꽤 짭짤했다고 한다. 직원들이 돈을 많이 만지게 되어 만주에 ‘꾸냥(기생)’을 두고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 광복이 된 뒤 열차식당은 주로 공무원이 운영하다 1990년대 들어 한화 프라자호텔이 맡았다. 열차식당은 프라자호텔의 효자산업이 됐다.

1936년 반도호텔이 ‘탄생’했다. ‘탄생’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이 호텔이 비로소 한국 사회에 호텔산업의 진면목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반도호텔은 정치·경제·사회 지도층이 만나는 공간이 되어갔고, 한국 상용호텔(commercial hotel)의 대표적인 숙박시설로 손색이 없었다.

광복 직후 반도호텔의 룸서비스 웨이터이던 민모씨는 이승만 대통령의 눈에 들었다. 호텔이 많지 않던 시절이라 호텔을 이용하는 것은 일종의 특권이었다. 자연히 권력과 호텔리어는 가까운 관계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민씨의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는 프란체스카 여사의 후원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주미 한국대사관 소속으로 머물게 됐다. 가끔 대통령 부처가 대사관으로 전화해 민씨의 안부를 묻자 대사관에서는 그를 무척 떠받들었다고 한다. 민씨가 귀국한 후 대통령 주변에선 청와대 근무를 권유했으나 그는 이를 사양하고 호텔에 남았다. 뒤에 그는 모 호텔 총지배인이 됐다.

1/5
최영수 SR레저개발(주) 대표이사 0319ysgd@hanmail.net
목록 닫기

30년 경력 호텔리어가 털어놓은 서울 특급호텔 野史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