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O 인문학 고승철 지음/ 책만드는집/ 436쪽/ 1만5000원
2008년 봄 회사 선배 한 분이 AFP 2기에 들어가게 됐다는 낭보를 전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데이비드 덴비의 ‘Great Books’가 떠올랐다. 이 책은 10년 전쯤 ‘호메로스와 텔레비전-미디어 시대의 고전 읽기’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가 2008년 ‘위대한 책들의 만남 1,2’(씨앗을뿌리는사람 펴냄)로 완역 출간되었다. 덴비는 미국의 영화평론가이자 잡지 ‘뉴요커’의 칼럼니스트다. 그가 마흔여덟 나이에 모교인 컬럼비아대학을 찾아가 자식뻘인 학부생들 속에 섞여 교양필수과목인 ‘현대문명’과 ‘인문학과 문학’ 강좌를 1년 동안 청강한다. 그리고 ‘Great Books’를 쓴다. 여기서 Great Books란 서양문명의 정수가 담긴 고전들을 가리킨다.
“덴비처럼 쓰세요! ” 나는 그 선배에게 27년 기자 감각을 발휘해서 강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수들의 일거수일투족, 수강생들의 반응까지 놓치지 않고 기록해두면 한국판 ‘Great Books’가 나올 수 있지 않겠느냐고 귀띔했다. 그 원고는 해를 넘겨 2009년 봄 ‘CEO 인문학’이라는 제목으로 세상에 나왔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다
이 책이 여타 ‘고전 읽기’와 다른 점은 정규 강의뿐만 아니라 가슴 설레는 입학식에서 기말리포트 제출과 수료식까지 AFP 강좌 전 과정을 시간의 흐름대로 보여준다는 것이다. 덕분에 독자는 저명인사들과 함께 ‘서울대 인문학 과정’을 청강하고 있는 기분이 든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인문학에 매료되었을까?
“공학을 전공했기에 인간에 대해 좀 더 깊게 연구하고 싶었다”(김기열 KTF 부사장). “30여 년간 광고업에서 일했는데 아이디어가 고갈된 듯해서 인문학으로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서 왔다”(김낙회 제일기획 대표이사). “집사람과 딸이 나를 빼고 다양한 주제로 대화하는 것을 듣고 퇴출되지 않는 남자가 되기 위해 왔다”(문재우 금융감독원 감사). “일본사, 중국사를 공부하고 일본인, 중국인과 상담(商談)을 벌이니 훨씬 심도 있는 대화가 진행됐다.”(윤동한 한국콜마 회장). 표현은 다르지만 수강생들은 모두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대하고 있었다. 입학특강을 맡은 이어령 교수는 다음과 같이 수강생들의 마음을 콕 짚어낸다.
“…오늘 CEO들이 인문학 과정을 배우러 이 자리에 온 것은 그동안 반(反)인문학적 사고를 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CEO는 상품 개발, 조직 관리 등에 필요한 경제 경영 지식을 익히느라 바쁘지요. 이제는 그런 지식만으로는 안 됩니다. 오늘의 시장경쟁은 이종격투기 경기장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복싱, 레슬링, 유도 등 각종 격투기를 한데 묶은 경기를 진행하려면 룰을 완화해야 합니다. 한 종목의 룰에 얽매여서는 안 됩니다.”
AFP 과정 부주임인 배철현 교수(서울대 종교학과)는 “인문학이란 인간을 인간답게 여기도록 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한 뒤 인문학의 세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첫째, 사회구성원으로서 인간을 둘러싼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 함양. 둘째, 우리 사회에서 위험에 처한 기본 가치에 대한 이성적 토의. 셋째, 다른 사람들 특히 다른 문화에서 경험된 소중한 유산에 대한 이해. 5개월 동안 진행되는 AFP 강좌는 말 그대로 ‘인문학의 뷔페’다. 저자는 31개 강좌를 역사, 문학, 철학·종교, 예술 그리고 현장답사 5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그리고 각 강좌마다 저자의 개인적 경험을 포함한 예습-강의-복습 및 심화학습 순서로 기술한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배철현 교수의 ‘중동의 뿌리를 통해 본 중동 분쟁과 세계 평화’ 강의가 시작되기 전 저자는 1990년 신문사의 파리특파원 시절을 떠올린다.
오늘날 중동의 현실을 이해하려면 이슬람의 기원을 알아야 한다. 배 교수의 강의는 이슬람 종교와 오리엔트 문명, 일부 원리주의자들에 의한 이슬람 테러리즘의 뿌리로 이어진다. 강의를 메모하면서 저자는 왜 ‘세계사를 바꾼 사람들’(마이클 하트 지음, 에디터 펴냄)에서 세계 역사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100명 가운데 무하마드가 1위였는지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저자는 ‘인문학의 뷔페’에서 중동 코너를 어슬렁거리다 예정에 없던 ‘고대문자’를 슬쩍 접시 위에 올려놓는다.
AFP 과정을 마치면 수강생들은 기말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저자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키우리라’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먼저 비즈니스에서 왜 인문학적 교양이 필요한지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한국에서 명문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한국인 지사장과 미국 유통업체 임원의 만남. 마침 미국인 임원도 영문학도였던지라 제임스 조이스와 밀턴과 존 업다이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했다. 하지만 한국인 지사장은 묵묵부답이었다. 상품과 골프 외에는 할 말이 없었던 것이다. 그 자리에 배석했던 변호사의 탄식이 이어졌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만 읽었더라도 5000만달러어치를 수출할 수 있었을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