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부부 사이에서 흔히 하는 말이다. 부모의 거듭되는 이혼과 재혼으로 가족 관계가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프랑스어에는 절반이 형제, 절반이 자매라는 의미의 ‘이복형제’를 일컫는 ‘드미 프레르(demi-freres)’와 ‘드미 쇠르(demi-sœurs)’란 단어가 있다. 부계나 모계를 통해 반쪽의 피가 섞인 경우를 뜻하기도 하지만 부모의 거듭된 이혼과 재혼으로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자녀들을 일컬을 때도 통용되는 단어다. 프랑스 기혼남자들이 ‘친자 확인’을 위해 해외로 원정을 가는 사례도 급속히 늘고 있다.
침대는 함께, 지갑은 따로
국민의 절반이 ‘기혼남녀의 외도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불륜에 관해 독보적으로 관대한 통계를 지닌 프랑스인들에게 ‘법적 싱글’인 국가 최고 권력자가 여배우와 스캔들을 일으킨 것이 심각한 문제가 아니냐고 묻는 것은 난센스다. ‘배꼽 아래 사정은 논하지 말라’는 불문율이 유독 프랑스에서 힘을 발휘하는 것은 ‘초록은 동색’이라는 감정 때문인지도 모른다. 나도 똑같은데, 남을 탓할 수 없는 노릇 아닌가.
‘클로저 게이트’가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에게 정치적 타격을 줄 수 있을까. 올랑드는 대통령선거 초기부터 니콜라 사르코지의 ‘블링블링’한 삶에 비견되는 ‘보통(Normal) 대통령론’을 주창하며 “국민과 가까운 평범한 대통령이 되겠다’는 공약으로 표심을 얻었다. 그가 호언장담했던 대로 프랑스의 ‘보통 대통령’은 보통 사람들처럼 불륜을 저질러 2014년 벽두 전 세계 언론을 들끓게 만들었다.
엘리제궁과 담 하나 사이인 곳에 유명 연예인 쥘리 가예를 ‘내연의 처’로 두고 비밀리에 왕래를 해오던 대통령의 뒷덜미를 잡은 대중연예잡지 ‘클로저’를 정치인들은 일제히 ‘쓰레기 매체’라고 비난했다. 이 같은 비난에는 권력자의 불륜 스캔들은 싸구려 바에서나 논할 ‘술 안주거리밖에 안 된다’는 식의 프랑스인들의 성(性)에 대한 개방적인 인식이 반영돼 있다. 정치인의 여성 스캔들에 대해 늘 그랬듯 이번 사건도 눈을 감아주는 분위기가 압도했다.
다만 재야 및 여성계에서는 정치인의 도덕적, 윤리적 일탈을 계속 옹호하는 것이 프랑스 국민 저변에 확대된 불륜에 대한 ‘도덕 부재 현상’을 더욱 부추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집권 20개월 만에 불거진 유명 여배우와의 불륜 스캔들이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는 알 수 없으나 경제 침체 등의 이유로 올랑드는 역대 대통령 중 최악 수준인 지지율 19%라는 불명예를 기록했다.
스캔들이 불거진 후 프랑수아 코페 대중운동연합(UMP) 총재는 엘리제궁에 머무는 대통령의 공적인 동거녀 발레리 트리에르바일레에게 지출되는 엄청난 국가 예산을 당장 끊으라는 으름장을 놓았다. 법적 부부의 절차도 거치지 않고 엘리제궁의 안주인이 돼 국가 예산을 사용하는 일명 ‘퍼스트 걸프렌드’의 거취에 대한 여론의 반응은 냉정했다. 대통령에게 ‘내연의 처’가 생긴 마당에 더 이상 나랏돈을 들여가면서 동거녀를 대접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침대는 공유해도 지갑은 공유하지 않는다”는 게 프랑스식 ‘러브’의 불문율이기도 하다.
“첩이 첩 두는 꼴 못 본다”
올랑드가 취임 후 “누구나 결혼할 권리가 있다”면서 ‘동성결혼 합법화’에 나섰다. 그런데 올랑드 자신은 한 번도 법적으로 결혼한 적이 없는 ‘생판 총각’이다. 그런 그는 25년간 동거한 세골렌 루아얄과도 트리에르바일레에게 한 것과 같은 형태로 2010년 결별을 선언했다. 올랑드는 루아얄과의 사이에 4명의 자녀를 뒀다. 현 파리 부시장이자 내년 파리시장선거에 후보로 나설 안 이달고와의 사이에도 아들을 한 명 두고 있다. 아이들의 출생 시기를 보면, 루아얄과 동거할 때도 이중생활을 했음이 드러난다.
클로저 게이트가 터지자 그 충격으로 트리에르바일레는 병원 신세를 졌다. 동거녀의 퇴원 즉시, 그러니까 사건 발생 2주 만인 1월 27일 올랑드는 차가운 몇 줄의 문장으로 동거녀와의 공식 결별을 선언했다. 8년간 동고동락했던 여인을 미결재 서류 다루듯이 속전속결로 처리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