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상을 바꾼 책 이야기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 김학순 │고려대 미디어학부 초빙교수·북칼럼니스트 soon3417@naver.com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2/2
기술적 전체주의 국가

이 책을 스탈린주의가 중심이 되는 정치적 전체주의를 다룬 것으로 착각해서는 곤란하다. 오웰의 경고는 특정 시대, 특정 국가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권력이나 사회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감시하고, 특정 이익을 위해 사실과 역사를 왜곡하려는 시도가 이어지는 한 그의 경고는 여전히 유효하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초강대국 오세아니아에 속한 ‘에어스트립 원’은 자본주의 국가인 영국을 가리킨다. 윈스턴이 살고 있는 도시는 런던이다. 높이가 300m나 되는 초고층 건물들과 인간을 끊임없이 감시하는 ‘텔레스크린’ 등으로 미뤄 보아 오세아니아는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나라다. 오세아니아 사회는 폭력과 억압만이 정치 이데올로기를 이루는 ‘정치적 전체주의’ 국가인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고도의 ‘기술적 전체주의’ 국가이기도 하다. 소설에서는 ‘정치적 전체주의’와 ‘기술적 전체주의’가 교묘하게 혼합해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실제로 그가 그린 ‘감시사회’는 최첨단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욱 실감 나게 재현된다. 2013년 미국 국가안보국의 도·감청 실태를 폭로해 세계적 파장을 일으킨 전 중앙정보국(CIA) 요원 에드워드 스노든은 정부의 사생활 감시가 오웰의 소설 ‘1984’보다 심하다고 주장했다.

소설의 무대인 영국에서조차 세계에서 감시가 가장 일상화된 나라가 됐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영국 사생활 보호단체인 ‘빅브라더워치’는 영국에 최대 600만 대의 CCTV가 설치·운용 중인 것으로 추산한다. 선진국 정부는 말할 것도 없고 대기업까지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빅 브라더’ 논란이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오른 지 오래다.



이동통신회사들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의 문자메시지, e메일, 통화 기록, 방문한 웹사이트, 열람한 동영상을 속속들이 파악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빅 브라더’가 따로 없다는 염려의 목소리가 지구촌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독일에서는 포에버드라는 시민단체가 매년 빅브라더 상을 준다. 이 상은 개인정보를 가장 많이 침해한 개인이나 단체에 돌아간다. 눈길을 끄는 건 2004년 내무부장관이 받았다는 사실이다.

현대판 ‘빅 브라더’ 논란으로 책 판매량이 급증하기도 했다. 스노든 사건 직후 미국에서 한때 5800%의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2008년 하버드대 학생들이 가장 많이 구입한 도서 1위, 2009년 뉴스위크 선정 역대 세계 최고의 명저 2위에 꼽히기도 했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예브게니 자마친의 ‘우리들’과 더불어 세계 3대 디스토피아 소설로 꼽힌다.

‘매트릭스’ ‘1Q84’에 영감

이 책은 수많은 신조어를 낳았다. 조직화돼 인간성을 잃은 ‘오웰리언’, 선전활동을 위한 사실의 조작과 왜곡을 의미하는 ‘오웰주의’, 감시가 심한 사회를 일컫는 ‘오웰리언 사회’ ‘오웰식 논리’ ‘오웰식 사상’ ‘오웰식 각성’ ‘오웰식 사고방법’ 같은 용어가 새로 탄생했다. ‘빅 브라더’는 정보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권력을 의미하는 대명사가 됐다. ‘빅 브라더’는 미국에서 출간된 책 ‘가장 영향력 있는 허구 인물 101명’ 가운데 인류의 삶을 바꾼 가상인물 2위에 꼽혔다.

‘오웰식 언어’라고도 불리는 이중화법 표현은 ‘불경기’나 ‘경기 후퇴’라는 말 대신 ‘경기 순환’ 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둘러대는 식이다. ‘실업’은 ‘미고용’, ‘증세’는 ‘세입 증대책’, ‘가격 인상’은 ‘가격 현실화’라는 단어로 치환된다. ‘1984’는 정치 지도자들이 시민들에게 주는 충격을 줄이려 말을 에두르거나 모순된 표현을 흔히 사용한다고 빗댔다.

이 작품은 많은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었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는 ‘1984’에서 문제의식을 빌렸다. 마이클 래드퍼드 감독의 동명영화 ‘1984’와 리들리 스콧이 만든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 CF도 같은 해에 나왔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2009년 가장 직접적이고도 창조적인 ‘1984’ 오마주인 ‘1Q84’를 내놓았다.

미국 미래학자 데이비드 굿먼이 1972년 ‘1984’에서 예언한 137가지를 검토해보았을 때 80가지가 실현됐으며, 1978년에 다시 비교했더니 실현된 게 무려 100가지가 넘었다고 한다. 지금 조사해보면 95% 이상이 맞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문학의 놀라운 예언력을 방증하는 통계다.

신동아 2015년 2월호

2/2
김학순 │고려대 미디어학부 초빙교수·북칼럼니스트 soon3417@naver.com
목록 닫기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