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언:좀 다른 얘기를 해 볼까요? 오마이뉴스에서 다루는 주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NGO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오마이뉴스만 봐서는 우리 사회 전반의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경제 정책이나 정치 문제에 대해서도 일반인의 시각을 가지고 비판할 건 비판해야 되는데, 이 부분이 매우 미흡한 것이 사실이죠. 특히 경제 분야의 경우 거의 기사가 없어요. 그렇다면 오마이뉴스는 결국 ‘보충적 매체’ 수준에 머문다는 한계가 있다고 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또 기사제목이나 내용이 매우 자극적이라는 부분도 지적해야겠군요. 지나가는 말로 입에 담는 욕설 비슷한 말을 제목으로 다는 경우도 있고요. 나아가 자기 눈으로 보고 쓴 것이 아니라 전해 들은 내용을 기사로 쓰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386의원들의 술판’ 기사 같은 경우도 나중에 상당히 문제가 됐잖습니까. 시민기자들이 훈련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쪽으로 편향된 시각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언론매체로서 꼭 보완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허행량:매체는 두 가지를 먹고 삽니다. 그 첫째가 공기(公器)로서의 신뢰성, 즉 ‘저 사람이 말하는 것은 거짓말이 아니다’라는 믿음이지요. 오마이뉴스가 상당히 성공한 건 사실이지만 실제로 온라인에서 독자나 네티즌들이 이용하는 신문은 역시 주요 일간지 사이트거든요. 아마도 독자들이 오마이뉴스 기사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은 아닐까요. 또 하나, 요즘 독자들은 정보뿐 아니라 세상을 보는 ‘눈’을 언론을 통해 얻고 싶어합니다. 그런데 오마이뉴스는 ‘누가 어쨌다더라’는 정보 제공에 그치고 있습니다.
최영:오마이뉴스를 포함한 인터넷신문들이 신뢰성까지 확보해야 하느냐, 과연 그것까지 요구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학계에서도 고민중입니다만, 예를 들어 미국 ‘드러지 리포트’의 운영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하거든요. ‘우리의 경쟁력은 속보성이다, 속보성 하나로 우리 매체의 몫을 다 하는 거다’라는 거죠. 제 생각에도 인터넷신문에 신뢰성까지 요구하는 건 좀 무리라고 봅니다. 오프라인의 신뢰성 있는 신문들과 온라인상의 속보성 기사들이 적절히 조화되면 그 가운데서 소비자들이 선택하는 거죠.
물론 이 많은 뉴스를 취합해서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주는 중간 브로커들, 인포미디어리(info-mediary)도 등장하게 될 겁니다. 비유를 하나 들어볼까요. 예전에 우리는 전자상거래 얘기를 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면 소비자가 알아서 구매한다’는 모델을 그렸었죠. 그런데 실제로 소비자에게는 그럴 능력이 없거든요. 지식도, 시간도 없고요. 그래서 전자상거래를 매개하는 사이트들이 생기지 않았습니까. 뉴스를 소비하는 행위도 같은 방향으로 갈 거라고 봅니다. 또 다른 형태의 중재자들이 생기는 거죠. 이렇게 되면 결국 온라인을 통해 나오는 뉴스들이 다시 한 번 정제될 수 있겠죠.
속보성이 갖는 매력
김주언:예를 들어 최근 오마이뉴스의 삼성 주주총회 보도를 보면 1신, 2신, 3신 하며 현장에서 계속 중계를 했거든요. 누가 무슨 말을 했는지, 자기가 느낀 건 뭔지 등이 바로 보도되고 어떤 경우에는 동영상도 활용합니다. 그런 의미의 속보성은 일반 네티즌들이나 뉴스 소비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매력이 되지요.
단 확인되지 않은 뉴스나 다른 매체에 보도되지 않은 기사를 내보낼 때는 속보성보다는 신뢰성에 강조점을 두어야겠지요. 주변 취재로 많이 보충해서 말입니다. 오마이뉴스에도 ‘생나무 기사’라는 게 있어요. 확인되지 않은 뉴스는 따로 모아놨다가 나중에 편집자가 별도로 편집해서 내보내거든요. 담당기자가 못 하면 적어도 편집책임자 수준에서는 확인이 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터넷 상거래에서도 한 상품에 대한 쇼핑몰별 가격을 비교하는 검증이 있지 않습니까. 최 교수님이 말씀한 대로 인터넷 뉴스의 영역에서도 사이트별 장단점을 중간자의 눈으로 분석해주는 사이트가 생겨난다면 신뢰성 문제도 일정부분 해결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허행량:보통 경제학자들은 인터넷신문이라 하지 않고 콘텐츠 프로바이더라는 말을 씁니다. 신문이라는 말에는 공신력 내지 신뢰도에 대한 이미지가 들어 있기 때문이죠. CNN은 현장에서 일어난 일을 바로 보여주겠다고 하지만, BBC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 일어나는 일이든 간에 1시간 이내에 해설보도할 능력이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각자 자신의 강점이 있는 거죠.
제가 알기로는 기존 신문에서도 e-포터 같은 제도를 통해 현장중계를 시도하려 했는데 뜻대로 안 됐다고 하더군요. 내부적으로 자기 신문의 신뢰도, 브랜드 이미지를 해칠 위험이 있다고 판단했다는 거죠.
김주언:오마이뉴스도 정부기관 등의 출입처에 상주해 브리핑을 받고 취재하려고 시도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정치·경제 분야의 경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출입처에서 나오는 뉴스를 얻을 필요가 있다는 거죠. 단적으로 IT산업과 관련된 공신력 있는 취재는 정통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거든요.
최영:동아일보와 동아닷컴 기자들 사이에도 출입증 문제로 얘기가 오간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는 출입처 자료를 받아 쓰는 기존 방식을 온라인 미디어가 답습하는 건 별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봅니다. 결국 뉴스 소스가 겹치면 내용이 차별화될 수 없거든요. 물론 출입처 정보를 얻으면 좋겠지만 그러려면 법원부터 경찰서까지 모두 들어가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 부분은 오프라인 쪽에 맡겨두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김주언:오마이뉴스의 경우 공식적인 뉴스 소스를 얻을 수 없으니까 주로 연합뉴스에 의존하더군요. 연합뉴스와 전재계약을 맺지 않았으니 도용문제가 제기됩니다만, 어쨌든 기자실에 합류하지 않아도 접근할 수 있는 통로는 있습니다. 연합뉴스를 참고해 그걸 토대로 오마이뉴스에 맞게 가공할 수도 있고요.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