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부자와 미술관

소련이 사랑한 재벌 러시아 미술의 등대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 최정표 |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jpchoi@konkuk.ac.kr

소련이 사랑한 재벌 러시아 미술의 등대

2/3
러시아 모스크바의 붉은광장, 그리고 이 광장에 우뚝 선 크렘린은 한때 세계의 절반을 지배한 사회주의의 아지트다. 붉은광장의 언덕을 넘어 10여 분 남쪽으로 걸어가면 조그마한 마당을 만난다. 트레티야코프 미술관(Tretyakov Gallery)이 그곳에 있다.

러시아에서도 이제 레드오션이 끝나고 블루오션이 열리기 시작했다.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러시아 블루오션의 찬란한 등대다. 러시아에서 세 번째로 관광객이 많이 찾아오는 미술관으로 러시아 작가의 작품 13만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러시아 유명 작가의 중요 작품은 모두 갖췄다고 볼 수 있는, 러시아 미술품의 데이터베이스인 셈이다.

러시아에는 4개의 유명 미술관이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미술관(Hermitage Museum)과 러시아 미술관(Russian Museum), 모스크바의 트레티야코프 미술관과 푸시킨 미술관(Pushkin Museum)이다. 러시아 미술관과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러시아 작가의 작품을, 에르미타주 미술관과 푸시킨 미술관은 유럽 및 외국 작가의 작품을 소장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 자국 작품과 외국 작품을 주로 소장한 미술관이 각각 하나씩 쌍으로 있는 셈이다. 물론 의도적으로 그렇게 배치했다.



피난지 시베리아에서도 전시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19세기 말 러시아 최대 재벌이던 파벨 트레티야코프(Pavel Tretyakov·1832~1898)가 수집한 미술품으로 세워졌다. 트레티야코프는 1856년 자택에서 미술관을 시작해 1892년 작품과 미술관을 모두 국가에 기증했다. 당시 기증한 작품은 회화 1362점, 드로잉 526점, 조각 9점이었다. 당대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이 총망라돼 있었다.



현재의 위치에 미술관이 건립된 것은 1904년. ‘요정들이 사는 집’을 형상화한 환상적인 건물이다. 당시 러시아 최고 예술가 빅터 바스네초프가 설계를 맡았는데, 그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된다. 소장품이 점점 늘어나자 그 옆에 부속 건물을 지어 오늘날의 형태가 됐다. 또 약간 떨어진 곳에 신관을 지어 컨템퍼러리 작품을 소장케 했다.

이 미술관이 러시아 미술관과 더불어 러시아 미술사를 관통하는 보고(寶庫)가 된 것은 전적으로 트레티야코프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됐다. 당시 러시아 컬렉터들은 프랑스, 네덜란드 등 서유럽 작품을 즐겨 수집했지만 트레티야코프는 러시아 미술 수집에 몰입했다. 덕분에 이 미술관은 러시아 미술의 메카로 러시아 미술 전공자에게 필수 방문 코스가 됐다.

1917년 레닌의 혁명으로 사회주의 국가가 되면서 러시아는 모든 것이 바뀌었다. 사유재산은 인정되지 않았고 모두 국유화됐다. 사회주의 정부는 트레티야코프가 혁명 전에 모스크바 시에 기증한 미술관을 1918년 국가 소유로 바꿨다. 운영 방식 등도 다 달라졌다.

사회주의 국가라고 미술관을 등한시한 것은 아니다.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국가의 지원을 업고 발전을 거듭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때 커다란 위기를 맞았다. 1941년 독일이 모스크바에 대규모 폭격을 가하자 미술관은 ‘피난작전’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1942년 9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대대적인 미술품 수송 작전이 진행됐다. 액자를 뜯어내고 안전하게 포장해 시베리아로 옮겼다. 독일의 공습으로 미술관 건물은 부서졌지만, 소장품은 모두 안전하게 시베리아로 옮겨졌다.

피난지 창고에서 작품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쥐와 같은 동물, 벌레도 문제고,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일이나 화재 위험 등도 문제다. 다행히 작품들에 큰 피해는 없었다. 러시아가 전쟁에 승기를 잡자 작품들은 1944년 10월부터 모스크바로 역수송됐다. 미술관 건물도 수리를 마치고 1945년 5월 다시 문을 열었다.

전쟁을 무사히 난 것은 미술관 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이었다. 이들은 피난지 시베리아에서도 전시회를 개최해 일반인이 관람하도록 했다. 1942년은 미술관이 모스크바 시에 기증된 지 50년 되는 해로, 스태프들은 시베리아에서 50주년 행사를 대대적으로 개최했다.


재산 절반 넘게 기부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민간인의 기부와 기증은 미술관에 큰 힘이 됐다. 미술관을 위한 별도 재단이 만들어지고 독지가들의 기부도 줄을 이었다. 1977년에는 미술관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맞았다. 러시아 최고의 미술품 수집가 조지 코스타키스가 자신의 중요 수집품을 모두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에 남긴 것. 사회주의 체제에서 작품을 수집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텐데, 코스타키스는 아방가르드 작품을 집중적으로 수집해 기증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늘어나는 소장품과 잦은 전시회, 넘쳐나는 관람객 등으로 인해 대대적인 공사를 거쳐 기존 건물은 새롭게 단장하고 부속 건물을 세웠다. 러시아 혁명이후 많은 미술관이 통폐합됐는데 이 과정에서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여러 미술관을 흡수했다. 명실 공히 러시아 미술품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러시아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많은 재벌이 출현했다. 트레티야코프는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재벌이다. 그는 먼저 섬유 분야에서 막대한 부(富)를 쌓았다. 당시 섬유업은 ‘산업화의 꽃’이자 ‘황금알 낳는 거위’였다. 어느 나라나 산업화 초기에는 섬유업이 최첨단에서 산업을 이끄는 노릇을 한다. 한국도 광복 후 최고 재벌이 섬유업에서 나왔다. 트레티야코프는 섬유산업에서 엄청난 돈을 모은 뒤 은행, 유통업, 무역업, 부동산업에 진출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트레티야코프는 매우 특이한 재벌이었다. ‘자선사업의 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사회 곳곳에 많은 기부를 했다. 음악 등 각종 예술지원사업, 교육사업, 장애인 보호시설 등 그의 손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었다. 크림전쟁과 러시아-터키 전쟁에서 생겨난 유가족을 돕는 일에도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는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에 기부했다. 그야말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표본이다. 부자를 백안시하는 사회주의 국가도 트레티야코프라는 이름을 지울 순 없었다. 러시아는 1977년 자신들이 발견한 새로운 별에 트레티야코프 형제의 이름을 붙였다. 러시아인들이 그를 얼마나 존경하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톨스토이의 초상화

트레티야코프는 가족에게 “돈이란 일상적인 용도 이상의 더 좋은 목적에 쓰여야 한다”고 가르쳤다. 사람이 아무리 호화스럽게 산다고 해도 의식주에 쓰는 돈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특히 부자는 자기 재산의 극히 일부만 의식주에 쓴다. 따라서 이를 넘어선 아름다운 어떤 것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차떼기’ ‘밭떼기’ 하듯 작품을 대량으로 구매할 정도로 미술품 수집에 ‘중독’된 사람이었다. 22세이던 1854년부터 미술관을 세울 꿈을 안고 미술품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당대 어느 정도 명성이 있는 러시아 작가라고 하면 그 작가의 작품을 반드시 수집했다. 시리즈 작품은 해당 시리즈 전부를 사 모았다. 예술가를 돕는 일에도 매우 열심이었다. 많은 예술가와 친구로 지내며 그들의 금전적 지원 요청을 거절한 적이 없다. 화가를 돕기 위해서라도 그림을 샀다. 그의 수집품은 주로 회화였다. 조각은 극소수였다.

트레티야코프는 특히 초상화를 좋아했는데, 이와 관련한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그는 톨스토이의 초상화를 제작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톨스토이가 말을 듣지 않았다. 아마도 자유분방한 톨스토이는 화가 앞에서 오랫동안 포즈를 취해야 하는 것이 싫었을지 모른다. 트레티야코프는 많은 사람을 동원해 무려 4년이나 설득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마침내 이반 크람스코이라는 유명 화가가 나섰다. 그는 톨스토이에게 “살아 있을 때 초상화를 그려놓지 않으면 죽은 후에 누군가가 당신을 상상으로 그릴 것이다. 그는 당신이 생존해 있을 때 선배 화가들이 그려놓지 않은 것을 매우 안타까워할 것이다”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톨스토이는 결국 자신의 초상화를 두 점 그리도록 했다. 하나는 트레티야코프에게 주고 다른 하나는 자신이 갖기 위해서였다.

트레티야코프는 자신의 초상화 또한 남겼다. 1876년 크람스코이는 트레티야코프의 집에 머물며 트레티야코프 부부의 초상화를 그렸다. 1883년 러시아 국민화가 일리야 레핀도 트레티야코프의 초상화를 그렸다.

트레티야코프는 처음에 자신의 집에 미술관을 열었다. 그러다 수집품이 계속 늘어나자 집 확장을 거듭했고, 1881년부터는 일반인에게도 개방했다. 그의 자택 미술관은 매우 인기가 좋아 한 해에 3만 명이나 찾아왔다. 그런데 그로부터 10년 후 많은 그림이 도난당하는 일이 발생하자 미술관은 잠시 문을 닫는다.

1892년에는 동생이 수집한 서유럽 작품까지 기증받아 자택 미술관은 러시아 최고의 미술관으로 등극한다. 그의 동생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도 미술품 수집가로 명성이 높았다. 동생은 형과 다르게 하기 위해 주로 유럽 작품을 수집했다. 이해에 트레티야코프는 자택과 함께 모든 수집품을 모스크바 시에 기증했다. 모스크바 시는 1893년 이 미술관을 시립미술관으로 만들어 공식 개관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이다.



러시아판 측천무후

미술관이 소장한 예카테리나 여제의 초상화는 꼭 짚어봐야 한다. 그림의 의미보다 러시아 역사에서 차지하는 예카테리나의 비중과 특수성 때문이다. 초상화의 제목은 ‘정의의 여신 신전에 선 입법자 예카테리나 여제(Catherine the Great As a Legislator in the Temple of the Goddess of Justice)’.

그림은 매우 위엄 있는 중년 여인의 전신 초상화다. 화려하게 차려입고 황제의 풍모를 마음껏 뽐낸다. 드미트리 레비츠키라는 우크라이나 태생의 러시아 화가가 1783년에 그렸다. 그녀의 나이 54세, 황제가 된 지 21년 됐을 때다. 나이로는 원숙의 경지이고 권력으로는 절정기일 때다. 레비츠키는 당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최고의 초상화가로 여제의 후원까지 받았다. 그러나 경제적 지원은 빈약해 말년에는 빈곤한 생활을 면치 못했다고 한다.



예카테리나는 독일 태생으로 프러시아의 하급 귀족 출신이다. 어머니의 치맛바람 덕에 표트르 3세의 아내가 됐고, 남편이 황제에 등극하자 황후가 됐다. 예카테리나는 표트르 3세가 왕위에 오른 지 6개월 만에 쿠데타를 일으켜 스스로 황제에 오른 뒤 표트르 3세를 죽였다. 무시무시한 여자가 아닐 수 없다.

그녀는 남편과 18년간 결혼생활을 유지했는데, 거의 ‘무늬만 부부’였다고 한다. 표트르 3세는 성생활이 어려운 장애인으로 알려졌다. 수술로 성생활이 가능해졌다곤 하나 다른 여자들과 지냈다. 예카테리나도 다른 남자들과 놀아났고 3명의 혼외 자녀를 뒀다고 한다.

예카테리나 여제는 재위 중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능란한 외교를 통해, 또는 전쟁까지 하면서 러시아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민생 안정, 내분 수습, 경제 발전 등을 통해 국력도 크게 신장해 러시아인들은 그 업적을 높게 평가한다. 그러나 잔인성으로는 러시아의 측천무후다.

그녀가 어떤 사람이었는지를 알고 다시 초상화를 들여다보면 거기에 여러 의미가 숨어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우선 긴 제목을 붙인 것은 그녀의 존엄을 최대한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임에 틀림없다. 정의의 여신을 모신 신전보다 더 권위 있는 신전이 있을까. 그 신전의 입법자가 바로 예카테리나다. 다시 말해 예카테리나는 정의의 여신이다. 황제에 대한 최고의 예우가 아닐까.



왜 ‘사회주의’여야 했나

예카테리나는 로마노프 왕조(1613~1917)의 황금기를 연 여황제다. 로마노프 왕조는 레닌이 왕조를 없애고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시킬 때까지 300여 년간 유지된 러시아의 마지막 왕조다. 이 왕조의 최고 황제는 단연 러시아의 영웅 표트르 대제(Peter the Great)다. 예카테리나 여제는 그다음이다.

레비츠키가 그린 똑같은 예카테리나 초상화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미술관에도 걸렸다. 마치 판화같이 똑같지만 판화는 아니고 각기 다른 유화다. 황제를 두 번이나 꼿꼿이 세워놓진 못했을 것이고, 아마도 하나를 먼저 그린 후 나머지는 모사해서 그렸을 것이다.

러시아가 사회주의 종주국이 된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당시 시대가 사회주의 이외의 해결책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에는 그러한 시대상을 대변하는 그림이 여럿 있는데, 그중에서도 놓쳐선 안 될 그림 한 점이 있다. 바실리 푸키레프의 ‘어울리지 않는 결혼’(The Unequal Marriage, 1862)이다. 이 그림은 정말로 어울리지 않는 결혼식을 묘사한다. 신랑은 여든 살은 넉넉히 돼 보이는 노인이다. 신부는 10대로 보인다.

19세기 후반 러시아 서민과 농민들의 처지가 최악이었다.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나는 등 혁명의 기운이 용틀임했다. 예술가들은 이런 시대 상황을 외면하지 못했다. 빈민들의 비참한 생활상이 화가의 손끝으로 옮겨졌다. 이 작품은 그러한 작품들 중 유달리 눈길을 끈다. 그림 속 어린 신부는 러시아의 유명 극작가 오스트로프스키의 희곡에 나오는 불쌍한 여인이 모델이다. 당시 처녀들은 지참금이 있어야 시집을 갈 수 있었다. 지참금이 없으면 팔려갈 수밖에 없었다.  

신부는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노인 신랑은 고위 관리. 곁눈질로 신부를 내려다보는 모습이 매우 음탕하다. 그림은 모순된 사회상과 관료의 부정부패를 함께 드러낸다. 늙은 하객들 또한 유쾌하지가 않다. 그들도 사람인데 이런 결혼식장에서 속마음이 편하겠는가.



그림 속 혁명의 기운

이런 시대에 혁명의 기운이 싹트지 않는다면 그것이 오히려 이상하다. 인구의 80%가 농노이고 국민 대다수가 학대와 빈곤에 허덕이는데 혁명이 싹트지 않는다면 인간이 사는 사회라고 할 수 없다. 마르크스가 사회주의 이론을 설파하자 러시아 혁명가들은 열광했다. 레닌은 혁명의 지도자, 트로츠키는 행동하는 이론가였다. 고리키는 리얼리즘 문학으로 러시아인의 마음을 흔들었다.

‘어울리지 않는 결혼’은 이런 시대상은 물론 혁명의 불가피성을 역설하는 그림이다. 얼마나 상식에 벗어난 모습인가. 기득권 세력이 이렇게 안하무인으로 행동하면 그들의 운명도 다해가는 것이다.

시간은 다소 오래 걸렸지만 이 그림이 나오고 55년이 지난 후 로마노프 왕조는 끝내 무너지고 러시아에 사회주의 국가가 들어섰다.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는 시베리아로 끌려가던 중 온 가족이 쥐도 새도 모르게 처형됐다.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은 사회주의 혁명과 그 속에서도 이어져온 예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미술관이다.  

최 정 표


● 1953년 경남 하동 출생
● 미국 뉴욕주립대 박사(경제학)
● 공정거래위원회 비상임위원, 건국대 상경대학장
● 저서 : ‘경제민주화, 정치인에게 맡길 수 있을까’ ‘재벌들의 특별한 외도’ ‘한국재벌사연구’ ‘공정거래정책 허와 실’ ‘한국의 그림가격지수’ 등
● 現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경실련 공동대표





2/3
최정표 |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jpchoi@konkuk.ac.kr
목록 닫기

소련이 사랑한 재벌 러시아 미술의 등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