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명사의 웰빙

국회의원 정병국 - 인라인스케이트

“바퀴 위에 서면 나를 낮추고 세상을 넓게 봅니다”

  •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김성남 기자 photo7@donga.com

국회의원 정병국 - 인라인스케이트

2/3
국회의원 정병국 - 인라인스케이트

인라인스케이트를 타고 출근해 국회 건강단련실에서 마무리 운동을 하고 있는 정병국 의원.

정 의원이 인라인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한 건 16대 국회 때인 2002년. 한나라당 소장파 모임인 ‘미래연대’에서 젊은 계층에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 끝에 인라인스케이트를 배우기로 한 것이 계기가 됐다. 본래 운동을 좋아하는 그는 금세 실력이 늘었고, 2003년부터는 인라인스케이트로 출근하는 게 가능해졌다.

“전신운동이 되고 재미도 있는데, 주말에 일부러 시간을 내려니 잘 안 되잖아요. 그래서 아침에 타기 시작했는데 운동량도 적당하고, 사람들 사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어 좋아요.”

매일 인라인스케이트로 출근하는 건 아니다. 조찬모임이 잦아 일주일에 한두 번만 이렇게 인라인스케이트를 탄다. 자동차로 출근하는 날은 러닝머신 위에서 30분간 뛰는 것으로 아침 운동을 대신한다.

인라인스케이트는 지난 총선 때 그가 재선에 성공하는 데도 단단히 한몫했다. 거리 유세를 마치고 난 저녁 무렵, 인라인스케이트를 타고 지역구(경기도 양평·가평)를 누비면 주민들과 훨씬 밀착되는 게 느껴졌다.

“복장을 갖춰 입고 공원에서 주민들과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다 선글라스를 벗으면 아이고 어른이고 깜짝 놀라요. 격의 없이 가까워지는 기회가 됐죠.”



정 의원은 요즘 틈나는 대로 여섯 살짜리 딸에게 인라인스케이트를 가르친다. 첫아이와 아홉 살 터울이 지는 늦둥이다. 일주일에 하루는 반드시 짬을 내 아이와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는 그는 “금요일쯤 되면 딸이 ‘이번 일요일엔 저녁을 같이 먹을 수 있겠죠?’ 하고 묻는데, 그 말을 저버릴 수 없다”며 허허 웃는다.

정 의원이 두 아이와 가끔 찾는 곳이 있다. 요즘처럼 나들이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더울 때 특히 애용하는 장소다. 바로 평창동 일대의 화랑들. 어린이날에도, 북적대는 놀이공원을 찾는 대신 화랑 순회를 했다고 한다.

“그림을 보면 마음이 편안해져요. 설치미술이나 비디오아트를 보면 작가들의 무한한 상상력에 경이감이 생기죠. 같은 사물을 놓고도 작가의 인상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미술세계를 접하고 있으면 경직됐던 사고가 유연해지고, 인식의 폭도 넓어져요.”

정 의원은 김영삼 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 제2부속실장으로 재직할 때도 점심약속 장소를 되도록이면 인사동으로 정했다고 한다. 간단히 식사를 마치고 화랑에 들르면 새로운 그림을 보고, 전시장에 마련된 다과도 공짜로 먹을 수 있기 때문. 덕분에 국회의원이 된 뒤에는 문화관광위원회에 소속돼 미술계 현장의 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었다. 2003년 미술품에 대한 양도소득세 법안이 폐지되기까지 정 의원의 노력이 컸다는 걸 미술계 사람들은 익히 알고 있다.

2/3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김성남 기자 photo7@donga.com
목록 닫기

국회의원 정병국 - 인라인스케이트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