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못이 마르면 귀가 운다
“바다가 산과 골짜기 강물을 다스릴 수 있는 것도 계곡 물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물은 진정 낮아지면서 더 위대해진다. 백성 위에 군림하는 성인이 항상 말을 겸손하게 하여 자신을 낮추는 것도 그 때문이다.”
생일을 ‘귀빠진 날’이라고 하는 것도 물과 귀의 연관성을 말해준다. 물은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필수 불가결한 물질이다. 한의학에선 이를 ‘천일생수(天一生水)’라는 개념으로 풀이하는데 모든 생명은 물에서 시작됐다는 의미다. 지구 위의 생명체가 물에서 비롯됐다면 인간의 생명도 물을 상징하는 귀에서 시작된다는 의미다.
귀는 소리를 듣는 곳이다. 소리는 파동이며 귀는 이 파동을 감지한다. 물이 흘러가는 것도 일종의 파동이다. 귀가 소리를 듣는 데는 하나의 법칙이 있다. 귀는 공기의 진동이 물의 진동으로 바뀌고 그것이 다시 전기신호로 전환될 때 비로소 소리를 느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소라고둥처럼 생긴 귓바퀴에 모아진 소리의 공기 파동이 고막에 닿으면 고막이 진동한다. 이 진동파를 내이(內耳) 속에 흐르는 림프액이 물의 진동으로 바꾼다. 림프액 속의 털처럼 생긴 유모세포는 이 진동을 전기신호로 전환해 뇌로 보낸다. 우리의 뇌는 이를 소리로 인식하고 그 뜻을 파악한다.
이처럼 우리는 소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소리를 내는 주체는 어디까지나 나 자신이다. 바로 귓속에 있는 자신의 유모세포가 떨리면서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가 조용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다만 뇌가 그렇게 느낄 따름일 뿐 그때도 유모세포는 계속 떨고 있다. 우리의 뇌는 20db 전후의 떨림이 있으면 이를 인식할 수 없다. 뇌는 그 정도의 떨림을 ‘조용하다’고 판단한다. 대나무 밭에 가면 대나무 소리가 나고 소나무 숲에 가면 소나무 소리가 나듯 바람이나 자극은 외부로부터 오지만 소리를 내는 주체는 바로 자신인 셈이다. 깊이 살펴보면 유모세포는 림프액이라는 물의 흐름을 뇌에 전달하는 전달체에 불과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