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택지는 두 가지였다. 안으로 들어가서 좀 더 이야기를 나누는 것과 한옥과 미술관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골목으로 걸어가는 것. 쌀쌀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봄 아닌가. 답안지는 쉽게 제출되었다. 일행 중 넷은 담뱃불을 끄고 나서 골목을 향해 걷기 시작했다. 둘은 지하철을 타러 안국역으로 내려갔다.
골목을 걷는다는 것! 이런 경험이란 참으로 오랜만의 일이다. 걷자마자 옛 기억이 순식간에 마음속 스크린에 펼쳐졌다. 몸은 안국동에서 삼청동 쪽으로 느릿느릿 움직였지만 마음은 저마다의 유년시절로 돌아갔다. 누군가 제 유년시절의 골목을 이야기하면 1초도 망설임이 없이 모두들 저마다의 기억을 스캔하면서 맞장구를 쳤다. 마음속으로 봄바람이 살며시 들어왔다.
옳거니 힐링이라! 결국 그 많은 힐링 프로젝트는 자기의 ‘쌩얼’을 마주하는 일 아닐까. 그렇다면 기억을 되살리는 것, 제 삶의 지나온 자취를 환기하는 것, 그것이 힐링의 시작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나는 북촌의 골목을 걸으면서 가져보았다.
골목에 앉아 구슬치기 하던 기억, 막다른 골목 안쪽으로 서로 마주 보며 나란히 서 있던 대문들, 담벼락의 낙서, 그 낙서 위로 피어오른 꽃들, 비좁은 거리며 공터나 골목에서 공을 차다가 그만 가게의 유리창을 박살내던 기억. 아, 그때는 조무래기들이 시끄럽게 떠들다 어느 집 할아버지가 “인석들아, 공터에 가서 놀아!” 소리치면 모두들 키들키들거리면서 우우우 골목을 빠져나가곤 했다. 하긴 요즘이야 동네 할아버지들이 아파트 단지의 꼬마들에게 함부로 고함도 치지 못하는 세상이 되었다.
아무튼 그런 기억이 안국동에서 삼청동에 이르는, 그러니까 ‘북촌’이라고 흔히 부르는 길을 걷는 와중에 우르르 몰려나왔다. 꽤 많은 사람이 평일 오후의 산보를 즐기고 있었다. 이 시간대의 북촌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흘러갔다. 어디 먼 데로 힐링 코스를 찾아 떠날 필요도 없을 만큼 여유 있는 웃음이 가벼운 발걸음들 사이에서 툭, 툭 터져 나왔다. 쌀쌀하긴 하였으나 그런 기억들로 인하여 봄이 온 듯하였다.
“넘칠 때 낭비하는 건 미덕”
박완서의 단편 ‘그 남자네 집’을 생각한다. 이 애틋한 단편은 작가의 회심에 의하여 동명의 장편으로 개작되었다. 개작 장편은 읽어보지 못했다. 최인훈이 ‘광장’을 여러 번 고쳐 쓴 것만큼은 아닐지라도 노년의 박완서가 단편을 장편으로 힘겹게 개작한 데는 남다른 까닭이 있을 것이다. 개작 장편을 읽지 않았으니 그 행간을 헤아릴 수는 없다. 다만 문학평론가 김윤식이 이 노력에 대하여 언급한 부분은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베토벤 만년의 작품을 논하는 마당에서 아도르노는 ‘후기 스타일’이라는 특별한 말을 썼소. 예술가란 만년에 이르면 모가 깎여 원만해진다는 식의 통념을 송두리째 뒤엎는 경우가 베토벤이라 했소. 원만해지기는커녕 더욱 격렬해졌으니까. 박완서의 후기 장편 ‘그 남자네 집’(2004)이 그러하다고 나는 여기고 있소. 성북동에서 살았던 시대를 떠올리며 집에도 영혼이 있다는 식으로 이끌어간 회고형 단편 ‘그 남자네 집’(2002)을, 불과 두 해 뒤에 장편으로 다시 쓴 것. 그렇소. 다시 쓴 것이오. 어째서 제목을 그대로 둔 채 장편으로 다시 썼을까. 아마도 그럴 수밖에 없는 내적 격렬성이 그를 가만두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터. 왜냐면 이제 작품 쓰기의 한계에 닿았으니까. 말을 바꾸면 소설보다 훨씬 중요한 것, 소설 초월 혹은 소설 미달이어도 상관없는 그런 경지에 닿았으니까. 소설이면 어떻고 또 아니면 어떠랴. 써야 할 것을 써야 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