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1/2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1984<br>조지 오웰 지음, 김기혁 옮김, 문학동네

“2084년 구글은 빅 브라더가 된다.”

뉴욕타임스는 2005년 구글 어스의 무서운 카메라를 이렇게 풍자했다. 뉴욕타임스는 당시 2084년 구글의 가상 홈페이지를 그려놓고 사용자의 과거와 현재는 물론 미래까지 구글이 보여줄 것이라며 냉소했다.

1998년 말 개봉한 미국 첩보영화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는 정보통신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발전이 ‘감시사회’를 탄생시킬 것이라고 일찌감치 예측했다. 강직한 변호사 로버트 클레이턴 딘(윌 스미스 분)의 명대사는 사생활 침해의 심각성을 고발한다. “정부가 우리 집 안방까지 침입할 권리는 없다.” “프라이버시는 사라졌다. 안전한 것은 오직 머릿속에 있는 것뿐이다.”

두 사례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서 착안한 또 다른 경종이다. ‘1984’는 전체주의 비판과 함께 미래의 예지력이 담긴 명작으로 상찬받는다. 이 작품이 주는 메시지는 전체주의가 인간의 육체뿐 아니라 감정과 사고까지 철저히 파괴해 상상력마저 앗아가는 전율스러운 미래에 대한 경광등(警光燈)이다. ‘1984’는 당초 제목이 ‘유럽의 마지막 사람’이었다. 이를 너무 밋밋하게 여긴 출판사가 책 완성 단계의 해인 1948년의 마지막 숫자 48을 84로 바꿔 제목으로 달았다고 한다.

텔레스크린, 사상경찰



소설의 무대인 가상의 초강대국 오세아니아는 영사(영국사회당)의 우두머리인 ‘빅 브라더’가 통치하는 전체주의 국가다. 1984년, 전 세계는 오세아니아, 유라시아, 이스트아시아라는 거대한 3개 국가로 재편된다. 세 초강대국은 역설적이게도 끊임없이 전쟁을 벌임으로써 평화를 유지한다.

오세아니아에는 ‘빅 브라더가 당신을 주시하고 있다’고 협박하는 대형 포스터가 모든 거리와 건물에서 유령처럼 나부낀다. 사람이 존재하는 곳이면 어디든 송수신이 가능한 텔레스크린이 걸려 있어 개인의 내밀한 삶까지 샅샅이 감시한다.

심지어 인적이 드문 숲이나 들에도 마이크로폰이 숨어 있다. 시내에는 수시로 헬리콥터가 떠다니며 건물 안을 들여다본다. 거리엔 사상경찰이 돌아다닌다. 반체제 인사는 고문을 통해 새로운 인간으로 개조된다. 성욕까지도 국가가 통제한다. 결혼의 단 한 가지 목적은 당에 봉사할 아이를 낳는 것이다.

빅 브라더의 목표에 걸맞지 않으면 문서, 신문, 서적, 녹음, 영화에 이르기까지 과거의 모든 기록을 수시로 삭제하고 조작한다. 당의 슬로건이 이론적으로 잘 뒷받침한다. “과거를 지배하는 자가 미래를 지배하며, 현재를 지배하는 자가 과거를 지배한다.”

모든 정부기관은 진리부, 평화부, 애정부(愛情部), 풍부부(豊富部) 네 개 부서로 이뤄졌다. 부서 이름은 하는 일과 정반대다. 진리부는 보도·연예·교육·예술을 담당하지만 과거를 조작하는 일을 전담한다. 평화부는 전쟁을, 애정부는 법과 질서를 엄격히 유지하는 일을 한다. 풍부부는 경제 문제를 책임진다. 지배자는 허황된 수치로 경제성과를 자랑하면서도 인민을 굶주리게 한다.

당은 기존 언어 대신 ‘신어’를 만든다. ‘신어’ 창조는 ‘좋은’의 반대가 ‘나쁜’이 아니라 ‘안 좋은’으로 바꾸는 것과 같이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시작됐다. 어휘를 줄임으로써 사람들 생각을 단순화해 이단적인 생각과 행동을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정부청사에는 당의 세 가지 슬로건이 우아한 필체로 쓰여 있다. ‘전쟁은 평화, 자유는 예속, 무지는 힘.’ 역설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진리부에서 일하는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자유는 ‘2 더하기 2는 4’라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2 더하기 2는 5라고 소리친다.

‘1984’는 전체주의라는 용어의 이미지를 정립하는 데 절대적인 기여를 했다. 이때부터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냉전체제 아래서 자본주의 국가들의 힘을 결집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정치용어로 자리 잡는다. 문학평론가들도 ‘1984’가 스탈린 치하에서 전체주의 국가로 변질하던 소련의 모습을 비판한 작품이라고 여겼다.

1/2
김학순 │고려대 미디어학부 초빙교수·북칼럼니스트 soon3417@naver.com
목록 닫기

테크노피아 시대에 더 와 닿는 ‘빅 브라더’ 출현 경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