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 ① 포스코

14조원 투자해 일관제철소 건설 추진, 세계 최대시장 인도에 불가능은 없다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 ① 포스코

1/5
  • 최악의 기후조건과 반군의 근거지, 인도에서도 손꼽히는 오지 중 오지. 산림지역 해제에만 3년6개월이 걸렸다. 포스코가 제2의 광양제철소를 짓는 곳은 대략 이런 곳이다. 세계 최대 철강회사도 손들고 나갔지만 포스코는 달랐다. 언제 끝날지 모를 이 사업에 세계 최고의 철강기술을 자랑하는 포스코는 명운을 걸었다. 올해 1월, 이명박 대통령의 인도 방문은 막혀 있던 사업에 물꼬를 터주는 계기가 됐다.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 ① 포스코

지난 1월 인도를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만모한 싱 인도 총리를 만나 정치, 안보, 경제, 통상 등 5개 분야의 협력방안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인도의 수도 델리에 도착했을 때, 시간은 이미 자정을 넘겼다. 한국시간으로 새벽 4시. 졸음이 쏟아졌다. 그러나 졸음보다 견디기 힘든 것은 가혹하다 싶은 날씨였다. 아직 우기가 시작되지 않아 비교적 건조하다는데, 부담스럽고 낯설었다.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에 내걸린 온도계는 38℃를 가리키고 있었다. 빗방울까지 더해지자 습식 한증막에 들어와 있는 듯한 느낌마저 들었다. 공항에서 만난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그래도 비가 오니 기온이 내려가 살 만하다”며 이런 우스갯소리를 들려줬다.

120억달러 제철소 추진

“인도 날씨는 딱 둘로 나뉩니다. 골프 치기 좋은 날과 골프 칠 수 없는 날. 골프를 칠 수 있는 때는 11월부터 2월까지 4개월뿐입니다. 인도 날씨는 간단합니다. 3월에는 30℃, 4월에는 40℃, 5월에는 50℃.”

인도는 ‘기회의 땅’이다. 수출과 해외투자에 의존하는 한국에는 더 그렇다. 더운 날씨, 제도적 이질감 등이 발목을 잡지만 그걸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의 장점이 있다. 먼저 인도에는 풍부한 자연자원이 있다. 일본과 중국의 위협이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것도 큰 강점이다. 인도 사람들은 자신들과 오랫동안 전쟁을 했던 중국에 여전히 감정이 안 좋다. 약속 좋아하고 딱딱한 일본과는 체질적으로 맞지 않는다. 인간적이지만 글로벌하고, 적당히 엉기는 문화가 살아있는 한국이 인도사람들과 잘 맞는다.

1991년 시장을 개방한 이후 인도는 매년 6% 이상의 성장을 해왔다. 세계적인 경제위기가 닥친 지난 2~3년 동안에도 성장동력은 꺼지지 않았다. 극한의 인내를 요구하는 환경이지만 12억 인구가 뿜어내는 구매력과 성장잠재력은 우리 기업들의 도전정신에 기름을 부었다.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철강기업 포스코가 이런 시장을 놓칠 리 없다. 흔히 철강업계에서 시장잠재력을 측정하는 척도로 보는 인구 1인당 철강소비량만 봐도 ‘왜 인도인가’라는 물음에 답이 나온다. 현재 인도의 1인당 철강소비량은 40㎏. 1인당 1t을 소비하는 우리나라와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다. 산술적으로만 봐도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것이다. 현재 인도 인구는 대략 12억명 정도다.

인도에 짓는 제2 광양제철소

포스코는 인도 동쪽 벵골만에 접한 오리사주에서 일관제철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일명 ‘포스코 프로젝트’. 제철소 설립을 맡은 포스코 인도 현지법인 ‘포스코 인디아’는 오리사주 주도인 ‘부바네스와르’에 자리 잡고 있다. 오리사주는 인도 28개 주 중에서 경제수준이 가장 열악한 곳이다. 4000만명의 인구에 면적은 우리나라의 1.7배 정도 된다. 포스코는 2005년 인도 정부와 1200만t 규모의 제철소를 짓기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투자규모는 120억달러(약 14조원). 인도에 투자한 전세계 기업이 벌이는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크다. 포스코가 인도 오리사 주정부와 맺은 MOU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철광석 6억t 탐사권 및 채굴권 부여 ▲제철소 지역 특별경제구역 지정 및 세제 지원 ▲제철소 부지 유상제공 및 주민 이주 ▲전용항만 허가 및 철광석 운송용 철도라인 건설 등.

포스코가 지으려는 제철소는 철광석 원료공급에서 제선, 제강, 압연 등 전 과정을 동시에 처리하는 일관제철소다. 규모나 생산능력으로 보면 우리나라의 광양제철소와 비슷한 수준이다. 포스코는 이 사업을 위해 자본금 1억달러를 들여 법인을 설립했다.

양질의 철광석이 풍부한 인도는 전통적으로 철강 수출국이었다. 조강 기준으로 2010년 6000만t, 2015년 1억t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장 속도는 무서울 정도다. 인도 전체를 볼 때, 철강재 수요 증가율은 6~7%이지만 자동차용 냉연재 등 고급철강 산업만 보면 매년 10% 이상 고속성장을 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철강시장이다.

1/5
한상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greenfish@donga.com |
목록 닫기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 ① 포스코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