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막걸리 열풍, 막걸리 大戰

국순당 생막걸리 맹추격에 장수막걸리 덜덜

막걸리 열풍, 막걸리 大戰

1/5
  • 막걸리 업체의 맹주인 장수막걸리, 막걸리의 변신을 주도해온 국순당, 포천막걸리를 포함한 중형 막걸리 제조장, 막걸리에 새로 뛰어든 소주회사. 여기에 유통에서 강세를 보이는 식음료회사들까지 합류하면서 막걸리 시장이 격전장으로 변모했다.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까.
막걸리 열풍, 막걸리 大戰
2009년 말 농림수산식품부의 한 국장은 국회에서 열린 ‘막걸리 세계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2012년에는 막걸리 시장이 1조원 시대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나는 그것이 좀 과장된 목표라고 여겼다. 막걸리의 세계화처럼 일종의 희망 사항이지 실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2008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 술 시장은 출고가 기준으로 8조6224억원 규모. 그중에서 맥주가 3조5680억원으로 42.7%, 희석식소주가 2조8803억원으로 33.4%를 차지했는데, 탁주인 막걸리는 고작 1471억원으로 1.7%에 불과했다. 막걸리 매출은 2005년 1330억원, 2007년 1427억원을 기록했다. 2009년엔 2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상황에 느닷없이 1조원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그런데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2010년 여름의 현실은 다르다. 막걸리 시장의 팽창은 더욱 가속화해 올 연말까지 5000억원 달성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이렇게 놀라운 신장세를 보인 동력은 어디에 있을까? 어디서 수요가 발생하고, 누가 생산량을 감당하는 것일까? 그 현장은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국순당의 발 빠른 변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막걸리는 한순간도 뉴스의 중심에서 멀어지지 않고 있다. 2009년 막걸리 바람의 진원지로 엔고 현상에 따른 일본인 관광객의 증가, 언론의 지속적인 취재 열기, 막걸리 품질 향상에 대한 소비자의 재인식, 등산 인구 증가, 건강에 좋은 웰빙주에 대한 관심 증대, 햅쌀 누보 막걸리 행사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렇다면 2010년 막걸리 열풍의 동력은 어디에서 생겨난 것일까? 그 동력의 한 축으로, 국순당이 2010년 1월부터 내보내기 시작한 최초의 막걸리 TV광고를 꼽을 수 있다.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인기를 얻은 탤런트 황정음을 앞세우고, 가수 윤종신에게 ‘막걸리나’ 노래를 의뢰해 만든 광고 방송을 통해서 상큼 발랄한 이미지, 고급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국순당이 요즘 막걸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생막걸리의 국내 유통 기간을 기존 10일에서 30일로 늘였고, 수출 생막걸리 유통 기간은 90일로 늘였으며 전국으로 냉장 유통망을 확대했다. 또한 단품종에 머물지 않고, 배용준을 이용한 일본수출용 고시레 막걸리, 최고가에 팔리는 탁주 이화주, 감초가 들어간 막걸리, 우리쌀 100%로 만든 우국생막걸리 등으로 변신을 주도하고 있다.

국순당은 1996년부터 캔막걸리를 생산하고 2007년 10월 페트병 쌀막걸리를 출시했지만, 2009년 5월 이전까지는 막걸리 시장에 주력하지 않았다. 그러다 2009년 5월 생막걸리를 처음 출시하면서 1년 만에 3000만병을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막걸리를 출시하기 전 3000원대에 머물던 국순당의 주가는 1년 사이 5배인 1만5000원대로 올라섰다.

국순당의 2007년 막걸리 매출은 5억원이었다. 2008년 86억원, 2009년 105억원으로 성장하더니, 2010년 1분기에만 매출 105억원을 기록했고, 연말까지 500억원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순당이 기록한 경이로운 매출 확대는 막걸리 열풍을 등에 업은 것이다. 물론 이 지표가 모든 양조장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광고비를 쓰고, 생산 시설을 늘리는 등 다양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런데 막걸리 업계 안팎에서는 국순당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한 다양한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1/5
허시명│술 평론가 sultour@naver.com│
목록 닫기

막걸리 열풍, 막걸리 大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