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방 머리 위로 떨어질 것 같은 별들이 총총하게 떠 있는 한적한 해변의 야외카페에서 접시를 닦고 불볕더위 속에서 과일을 따는 일을 젊은 시절에 경험해보지 않으면 또 언제 하겠는가. 그렇게 번 돈으로 홀연히 길을 떠나는 젊은이는 아름답다. 깨달음은 꼭 책상머리에서만 얻어지는 게 아니므로.
세계화 선언으로 얻은 ‘횡재’
이런 현상이 본격적으로 일기 시작한 것은 1995년 7월1일부터다. 올해로 꼭 10년째인 한국과 호주의 워킹홀리데이 비자 협정이 물꼬를 텄다. 아주 뜻밖의 기회에 성사된 이 협정은 한국의 세계화 선언과 맞물려 얻은 ‘횡재’ 비슷한 일이기도 했다.
1994년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담에 참가한 김영삼 당시 대통령이 귀국길에 호주를 방문했다. 그는 정상회담을 위해 행정수도 캔버라로 가던 중, 시드니에서 하루를 머물며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세계화 선언’을 공표했다. 혹자는 IMF 외환위기가 그 순간 잉태됐다고 말한다.
바로 그날 밤이었다. 대통령 순방 취재기자로 시드니에 온 동아일보 송영언 기자(현 논설위원)가 필자에게 몇 가지 자문을 구해왔다. 그는 “한국 기자단을 대표해서 폴 키팅 호주 총리에게 양국의 현안을 질의하기로 예정돼 있는데, 호주 한인동포 사회의 숙원사항을 함께 전하고 싶다”고 했다. 숙고 끝에 내린 결론은 워킹홀리데이 비자 협정체결 요구였다.
당시에 거론된 한인동포 숙원사항은 한인 불법 체류자 부분 사면, 한인회관 건립을 위한 재정지원, 워킹홀리데이 비자 협정체결이었는데, 호주 당국은 그중에서 세 번째 항목만 받아들였다.
그 후속조치로 1995년 3월, 닉 볼커스 이민부 장관이 한국을 방문해 워킹홀리데이 비자 협정을 체결했고, 같은 해 7월1일 협정이 발효돼 오늘에 이르렀다. 당시 호주는 1인당 국민소득이 자국과 비슷한 국가(약 2만 US달러)인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네덜란드, 일본 등 6개국과 협정을 체결하고 있었다.
1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지금, 워킹홀리데이와 관련해서 한국과 호주 당국간 현안은 없는지 궁금해졌다. 궁금증을 풀기 위해 시드니가 주도(州都)인 뉴사우스웨일스(NSW)주와 퀸즈랜드주의 영사업무를 담당하는 시드니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김만석 영사를 만났다.
호주 산업조정위원회의 역할
-한국에서 오는 워킹홀리데이 메이커들에 대한 호주 당국의 반응은 어떤가.
“호주 이민부 당국은 아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들이 호주 경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고용주들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고 평했다.”
-시드니 총영사관은 한국에서 온 워킹홀리데이 메이커의 실태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나.
“주로 호주 이민부 담당자나 공식통계를 통해서 실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그들이 주로 출석하는 ‘주안교회’와 ‘형제사랑교회’를 통해서 정보를 얻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