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중세의 거리 누비는 ‘온실가스 제로’대중교통의 마법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1/3
  • ‘전통과 현대의 조화’는 진부한 말일 수도 있다. 그러나 로마시대에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이 도시는, 옛 건물을 보존하되 그 안에서 현대적 편리함을 누릴 수 있도록 개선하는 노하우를 꾸준히 축적해왔다. 옛것을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환경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들은 알고 있었다.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앞 광장의 오후.

어쩌면 라인 강을 타고 사흘 밤낮을 달려온 스위스의 나그네 상인이었을 것이다. 소속 길드의 품질 높은 흑색화약을 인근 선창가에 부려두고, 흐뭇한 마음으로 알자스 와인에 취해 세바스토폴 거리의 매끈한 포석 위를 흔들리듯 걷고 있는 중일 게다. 아니면 구텐베르크 인쇄공장의 솜씨 좋은 식자공이었을지도 모르지. 경건한 마음으로 마태복음 조판을 마치고 샤토 광장을 가로질러 늦은 귀갓길을 서두르고 있었을 것이다.

늦은 밤, 달빛에 강물이 반짝이는 스트라스부르의 옛 중심가 그랑딜르(Grande ille)가 뿜어내는 교교한 아우라는 지구 반 바퀴를 홀로 날아온 여행자를 갖가지 상념에 빠지게 만드는 힘이 있었다. 솟아오른 성당의 첨탑과 중세 거리를 잇는 고풍스러운 다리, 주위를 아무리 둘러봐도 수백 년 된 건물밖에 없는 낯선 분위기. 기억하지 못하는 14세기쯤의 어느 전생으로 되돌아온 게 아닐까 하는 아찔한 상상이 머릿속 가득히 피어오른다.

그런데 저건…. 머릿속을 유영하던 상념을 단숨에 제압하는 물체가 눈앞에 나타난다. 날렵한 유선형으로 잘 빠진 금속과 유리의 탄탄한 조합체가 매끄럽게 석조 다리를 건너는 모습은 단연 비현실적이다. 중세의 거리에 등장한 SF 영화 속 물건이라니. 문득 정신을 차리고 보면 지금은 21세기이고, 내가 보고 있는 것은 스트라스부르가 자랑하는 도심형 대중교통수단 트램(tram)이다.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중세 프랑스의 모습이 간직돼 있는 프티프랑스.

혹시 알자스-로렌 지방을 기억하시는지. 독일과 프랑스의 접경지대에 자리하고 있어 영토 싸움의 희생양이 됐던 고장이자 알퐁스 도데의 단편소설 ‘마지막 수업’의 배경으로 우리에게도 낯익은 이름이다. 바로 이 알자스의 중심도시인 스트라스부르는 현재도 독일과의 국경선으로부터 불과 3km 떨어져 있다. 라인 강과 론 강, 마른 강을 잇는 운하를 끼고 있는 이 도시는, 이미 로마시대부터 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해 7~8세기 무렵에는 중부 유럽을 대표하는 교통 중심지로 떠올랐다.

파리 노트르담 성당을 연상케 하는 대성당이 하늘 높이 첨탑을 세운 것이 이 시기였고,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갈고 닦은 곳이 이 도시였다.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강변의 프티프랑스(Petite France)는 1988년 지정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세기 후반 유럽연합 의회(European Parliament)가 자리하면서 유럽 통합의 상징으로 떠오른 이 도시에는 또 하나의 별명이 있다. 바로 ‘프랑스 제일의 환경도시’다.



온실가스가 없는 대중교통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 시가지를 가로지르는 트램.

중세에는 양조와 제분, 산업혁명기에는 철강과 화학, 기계공업이 발달했던 이 도시는 빠른 산업화와 분지 지형 때문에 1980년대까지만 해도 프랑스에서 대기오염이 가장 심한 지역이었다. 여기에 녹색당이 돌풍을 일으키는 등 환경문제를 일찍부터 고민해온 독일과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가까운 특성 덕분에, 공격적인 환경정책을 내걸었던 사회당 후보가 1989년 시장에 당선되는 이변이 벌어진다. 당시의 선거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이 바로 트램 노선 구축이었다.

소음이나 진동이 거의 없고, 매연도 배출하지 않으며, 생김새마저 깔끔한 이 지상 전기열차는, 중세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한 시내 중심부와 주택가·공장지대로 이뤄진 외곽지역을 연결하는 5개 노선으로 구성돼 있다. 대부분의 구간에서 레일 위에 잔디를 심어놓은 것 역시 트램의 친환경적 특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스트라스부르 시청의 홍보담당자 베로니크 프티프레즈씨는 말한다.

“트램에 사용되는 전기는 주변지역의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양이 80%를 차지합니다. 나머지는 인근 강의 수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고요. 한마디로 트램 때문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거의 없는 셈이지요. 우리가 트램을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친환경 교통수단의 전형’이라고 자랑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트램 운영을 담당하는 기업 CTS (Compagnie des Transports Stras-bourgeois)는 독특한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공공자본과 민간자본이 공동으로 참여하되 항상 공공지분의 의결권이 앞서도록 유지하는 형식. 기업 자체는 시에 소속된 형태지만 민간기업의 경영노하우를 접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시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운영비용 역시 요금에서 충당되는 부분은 2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공공영역의 보조금으로 부담한다.

흥미로운 것은 운영비용을 보조하는 주체 가운데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포함돼 있다는 것.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의 확산을 고민하고 있는 유럽연합 측은 스트라스부르와 계약을 맺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신, 트램의 선구자인 스트라스부르는 유럽 각 도시에 트램의 설치나 운영에 관한 노하우를 제공하는 형태다. 트램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던 1990년대 중반에는 매주 3~4팀의 방문단이 이 도시를 찾았을 정도라고 한다. 몽펠리에나 리용, 보르도 등 프랑스 도시들은 물론 아일랜드의 더블린이나 이스라엘의 텔아비브도 스트라스부르의 도움을 받아 트램을 도입했다.

1/3
황일도│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목록 닫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