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의 스모그를 처음 봤을 때는 제법 운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던 게 사실이다. 당시는 시진핑이 공산당 총서기로 등극한 지 한 달 남짓 지난 때다. 그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정책을 펼 생각인지 가늠할 수 없을 때였다. 이미 G2국가로 올라선 중국이지만 정치체제가 워낙 베일에 싸여 있기에 베이징특파원으로서 기사를 쓰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 상황이 스모그에 오버랩되면서 ‘베이징과 스모그는 어울리는 조합’이라는 생각에 젖기도 했다.
목감기 달고 살아
그때만 해도 스모그가 그다지 두렵진 않았다. 이방인의 눈에 비친 이국의 신기한 광경쯤으로 여겼다. 하지만 한 달여가 지나니 기침이 나기 시작했다. 아침에 일어나면 목이 칼칼해 불편했다. 목에 좋은 감기약을 먹어도 마른기침은 잦아들지 않았다. 기자만 그런 게 아니었다. 주변 동료, 대사관의 외교관, 기업 주재원들 중에 목감기에 걸린 사람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렇게 찾아온 스모그는 쉽사리 걷히지 않았다. 4~5일 동안 스모그가 자욱한 날이 이어졌다. 슬슬 인내심에 한계가 오기 시작했다. 2013년 1월 중순 무렵부터 일본과 미국, 영국 등지에서 파견 나온 주재원들이 가족을 본국으로 돌려보내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유럽에서는 중국 주재원들에게 거액의 생명수당을 지급한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낭만으로 느껴지던 베이징의 스모그는 그야말로 대재앙의 시작이었다.
2013년 초 베이징의 겨울은 스모그에 뒤덮였다. ‘언제쯤 바람이 불어 스모그가 걷힐까’라는 생각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들었다. 그만큼 혹독했다. 3월 중순이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다. 중국에서는 일괄적으로 난방을 실시한다. 거의 모든 집이 중앙난방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매년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 4개월 동안만 난방을 공급한다. 석탄을 때서 난방하는 아파트 단지가 많은 탓에 스모그가 생겼다는 해석이 분분했기에 난방 공급이 끊기면 이 지독한 스모그도 사라질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3월 중순이 지나도, 난방 공급이 중단되어 집이 싸늘한데도 스모그는 사라지지 않았다. 사람들은 갸웃했지만 중국 당국은 스모그의 원인에 대해 구체적인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마스크도 무용지물
“대기오염 문제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더라. 시종일관 서울시의 공기가 어떻게 좋아졌는지에 대해서 물어오더라.”
2013년 4월 22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궈진룽 서기를 면담한 후 박원순 서울시장이 한 말이다. 박 시장이 서울시와 베이징의 우호협력 강화를 위해 중국을 방문한 당일에도 베이징엔 스모그가 뒤덮였다. 당시 베이징의 초미세먼지(PM2.5) 수치는 200㎍/㎥에 육박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PM2.5 기준치가 25㎍/㎥이니 무려 10배 가까운 미세먼지가 베이징을 뒤덮고 있었던 셈이다.
PM2.5는 머리카락 직경의 30분의 1∼200분의 1인 직경2.5㎛(1㎛는100만분의 1m)이하 크기의 미세먼지로, 흡입하면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포까지 침투해 심장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스모그가 극심했던 2013년 1월 베이징의 대기 PM2.5수치는 500까지 치솟기도 했다. 1월중 베이징에서는 한 달 가운데 5일만이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하는 대기질 2급 수준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베이징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은 스마트폰에 대기오염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깔고 날마다 체크해 마스크를 착용한다든지, 외부활동을 자제한다든지 하는 나름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웬만한 마스크가 아니면 미세한 입자까지 걸러줄 리 만무하고, 생업에 바쁜 일반인이 외부활동을 자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