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도 당 지도부의 지원 유세가 큰 도움이 됐을 텐데요.
“나경원 의원에게 특히 고마워요. 여러 번 찾아주셨어요. 대중적인 인기가 정말 대단했습니다.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 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천안 유치 문제가 가장 큰 쟁점이었죠.
“거기서 당락이 갈렸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천안 유치라는 구체적인 입장과 정책을 내놓고 이슈 선점에도 성공했습니다. 반면 찬성도 반대도 할 수 없는 입장이었던 민주당은 주춤했습니다. 세종시와 관련된 문제다보니 민주당 입장에서는 어떤 주장도 하기가 어려웠을 겁니다. 난감했겠죠. 민주당은 이번 선거기간 내내 4대강, 세종시, 정권심판론 같은 걸 들고 나왔어요. 사실 우리 지역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이슈들인데 말이죠. 결국 정책싸움에서 제가 이겼다고 봅니다.”
과학벨트 문제는 이미 일단락된 세종시 논란의 한 귀퉁이에 있던 문제다. 원래 이명박 대통령이 2007년 대선 당시 충청권을 겨냥해 내놓은 공약으로, 3조5000억원을 투자해 순수과학센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세종시 수정안을 만들면서 정부부처 대신 이 과학벨트를 세종시에 건설하기로 계획을 세운 바 있다. 하지만 수정안이 폐기되면서 과학벨트는 갈 곳을 잃었다. “수정안이 폐기됐으니 과학벨트 세종시 유치도 원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정부 측의 주장에 맞서 민주당 등 야당은 “원래 세종시 원안에 과학벨트가 있었다”며 맞서고 있다.
지난해 말 국토연구원의 용역조사에서 천안은 과학벨트 후보지 적합도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이를 근거로 “세종시도 원안대로, 과학벨트도 원안대로”란 슬로건을 이번 선거의 모토로 내걸었다. 그리고 민심을 잡는 데 성공했다. 국토연구원 적합도 조사에서 세종시는 6위에 그쳤다.
천안 1위, 세종시 6위
▼ 과학벨트를 전면에 내세운 선거전략이 정확히 맞아떨어졌습니다.
“사실 충청권에서는 한나라당 후보가 마땅히 내세울 게 없었습니다. 민심이 너무 안 좋아서요. 처음에는 고민을 많이 했죠. 될지 안 될지도 모르는 일을 공약으로 내세워선 안 된다는 참모들의 조언도 있었고요. 하지만 위험부담이 큰 만큼 효과도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무엇보다 천안이 전국 도시 중 적합도 1위를 기록했는데, 그럼 이걸 우리가 못 쓰고 감추면 그건 천안에 대해 죄를 짓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어요. 밀어붙이고 최선을 다해서 반드시 성공시키자고 생각했습니다.”
▼ 실패하면 2년 뒤 있을 국회의원 선거를 치르기가 어려울 수도 있었는데요.
“이건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으니 어쨌든 지켜져야 하는 것이고, 세종시 문제로 그 동안 엄청난 국력을 소모했는데 이제 그것도 끝이 났으니 본격적으로 이 문제를 공론화해서 승부를 내야 한다고 본거죠.”
▼ 과학벨트와 관련해서 전·현직 청와대 정무수석이 다른 입장을 내놔 혼란이 있었죠. 특히 정진석 신임 정무수석이 “과학벨트는 예정대로 세종시에 유치하는 게 맞다”는 입장을 밝힌 게 논란이 됐는데요.
“정진석 수석도 개인 생각이었다고 이미 밝혔잖아요. (정 수석의 얘기는) 정부 입장이 아닙니다. 정 수석의 발언을 청와대와 연결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봐요. 솔직히 처음 그 발언을 접했을 때는 당황했습니다.”
정진석 정무수석은 지난 7월14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세종시의 과학벨트 유치와 관련해 “최종 결론을 내릴 위치에 있지 않지만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해 논란을 불렀다. 정 수석의 발언은 전임자인 박형준 전 수석, 안병만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었다. 박 전 수석은 세종시 수정안 폐기 직후 “세종시에 행정부처가 가니까 과학벨트는 들어가기 어렵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