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호영 기자
이런 와중에 호남지역 4선인 김성곤 의원의 지역구 불출마 선언은 당 안팎에 파장을 일으켰다. 비록 지역구 불출마지만 야당의 지지기반인 호남에서, 그것도 자신이 16년간 다져놓은 지역구를 포기한다는 건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얼마 후 3선의 신학용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했지만, 신 의원의 경우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입법비리 사건에 이어 불법 정치자금 조성 혐의로 기소돼 실형 선고를 앞뒀다는 점에서 의미가 다르다.
안철수 의원이 새정연 탈당을 선언하기 5일 전인 12월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만난 김성곤 의원은 이미 이 같은 사태를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다. 분당 가능성을 묻자 “해서는 안 되지만, 이대로 가면 (분당)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주승용 의원이 당 최고위원직을 사퇴한 것에 대해서도 “문재인 대표가 비주류 쪽을 포용하지 못하니 주 의원도 더 이상 협조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문 대표를 비판했다.
“당 중진으로서 책임져야”
김 의원은 당 중앙위원회 의장으로 문 대표를 도와 당 혁신안을 통과시킨 주역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 때문에 호남지역 의원이면서도 친문(親文)계로 분류된다.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것은 ‘선당후사(先黨後私)’의 결단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런 김 의원이 문 대표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선 것이어서 이목이 집중된다. 먼저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솔직한 이유부터 들어봤다.“이유는 두 가지다. 19대 국회의원으로 출마할 때 제1 공약이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이었다. 그게 성공하면 다시 신임을 묻고, 공약을 못 지키면 물러나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 9월 말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 및 매각 임대공고가 있었는데, 결과가 기대에 못 미쳤다. 또 하나는 당이 혼돈에 빠진 것에 대해 당 중진으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5명이나 불출마를 선언하는데, 야당은 한 명도 없느냐는 기사들을 보고 스스로 압박을 느꼈다.”
▼ 당 혁신안대로 공천할 경우 하위 20%에 걸려 탈락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건 아닌가.
“솔직히 공천 보장을 누구인들 장담할 수 있겠는가? 지역 주민이 4선 이상 다선 의원들에 대해 피로감을 갖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현역 의원이고 당 조직이 튼튼해서 경선하면 이길 것이다. 후진들과 경선하는 것도 부담스럽고, 박수 칠 때 물러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서 불출마를 결심한 것이다.”
▼ 불출마를 선언하기 전 문 대표를 만났는데, 뭐라고 하던가.
“(문 대표는) 당에 대한 여러 가지를 걱정했다. 그러면서 ‘결단해줘서 고맙다’ ‘당을 수습하는 데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 뭐, 이런 이야기를 했다. 그외 특별히 내게 부탁한 것은 없다. 그냥 ‘당을 끌고 가기 참 어렵다’거나 주로 본인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이야기였다.”
▼ 왜 지역구 출마만 포기했나.
“그냥 불출마를 선언하면 사실상 정계 은퇴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나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았다. 그동안 외교통일 쪽에서 4년 정도 일하면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비전도 나름 갖고 있고, 통일을 위해 뭔가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려면 우리 당이 2016년 총선에서 승리하고 대선에서 정권을 바꿔야 한다. 그러기 위해 당을 떠나지 않고 다른 지역에 출마하든, 아니면 다른 기회를 찾든 뭔가 역할을 하고 싶었다.”
▼ 비례대표를 염두에 둔 건 아닌지.
“지금 당이 이런 상황에서 ‘수도권 어디에 나가겠다’거나 ‘비례대표로 나가겠다’고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도리가 아니다. 지금 당에서 재외동포위원장을 맡고 있다. 당 분열을 막고, 재외국민 투표 독려에만 최선을 다하려 한다.”